호수 | 2692호 2022. 2. 13 |
---|---|
발췌 | 43항~47항 |
43. 인간도 생명권과 행복권을 누리며 고유한 존엄성을 지닌 이 세상의 피조물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환경 훼손, 현재의 개발 방식, 버리는 문화가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44. 오늘날 우리는 많은 도시들이 불균형적이고 무분별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46. 세계적 변화의 사회적 요인들 가운데에는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혁신, 사회적 소외, 에너지와 그 밖의 공공 서비스의 불평등한 분배와 소비, 사회적 붕괴, 폭력 증가, 새로운 형태의 사회 폭력의 증가, 마약 매매, 젊은이들의 마약 사용 증가, 정체성 상실이 있습니다.
47. 더 나아가 매체와 디지털 세계가 어디에나 존재하면서 사람들이 현명한 삶의 방식을 배우고 깊이 생각하며 넉넉히 사랑하는 법을 배우지 못하도록 영향을 행사합니다.
『찬미받으소서』 43항~47항 발췌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농업, 농촌의 가치를 귀하게 여기며, 석탄 발자국 줄일 수 있는 로컬 식료품 구매하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Ⅳ. 인간 삶의 질의 저하와 사회 붕괴
![]() | 가톨릭부산 | 2022.02.09 | 35 |
10 |
Ⅲ. 생물 다양성의 감소
![]() | 가톨릭부산 | 2022.02.03 | 41 |
9 |
Ⅱ. 물의 문제
![]() | 가톨릭_부산 | 2022.01.26 | 29 |
8 |
공공재인 기후
![]() | 가톨릭_부산 | 2022.01.19 | 39 |
7 |
Ⅰ. 오염과 기후 변화 - 오염, 쓰레기, 버리는 문화
![]() | 가톨릭_부산 | 2022.01.12 | 31 |
6 |
제1장 공동의 집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까?
![]() | 가톨릭부산 | 2022.01.05 | 49 |
5 |
저의 호소
![]() | 가톨릭부산 | 2021.12.29 | 33 |
4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
![]() | 가톨릭부산 | 2021.12.22 | 22 |
3 |
동일한 관심을 통한 일치
![]() | 가톨릭부산 | 2021.12.15 | 27 |
2 |
이 세상의 그 어떤 것도 우리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 | 가톨릭부산 | 2021.12.07 | 52 |
1 |
찬미받으소서
![]() | 가톨릭부산 | 2021.12.02 | 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