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로드 중
2012년
1-12월 아름다운 세상을 여는 미사 및 주제 강의
(부산: 매월, 가톨릭센터 소극장, 울산대리구: 분리별, 야음성당)
1-12월(격주) '사회교리'와 교회의 사회적 관심 홍보 <PBC부산평화방송>
'사랑이 있는 세상' "복음으로 풀어보는 사회교리" (정평위원장 및 위원사제들 고정출연)
1.16 동해안 탈핵 천주교연대 출범미사(영해성당)
2. 1 밀양 분신대책위 출범식(밀양관아 앞)
2.10-11.9(매주 금요일) 밀양 765KV 송전선로 반대! 고 이치우 어르신 분신사태의 정의로운 해결을 촉구히는 미사(밀양 영남루 앞)
2.28 탈핵 종교인 선언 기자회견 (부산시청 앞)
3.10 '후쿠시마 핵사고 1주기, 3.10 핵 없는 세상을 위한 부산시민 한마당(부산역, 남포동 일대)
3.17-18 탈핵 희망버스(밀양)
4. 1 제19대 총선과 제18대 대선을 위한, 만화 '선거와 그리스도인의 자세' 정평위 제작 및 120개 본당배포, 정책질의서 발송 지역시민사회단체 연대활동
4.18-6.13 제1기 사회교리학교 입문과정 개강(9주간) 123명 수료(가톨릭센터 교육실)
4.26 그린피스 '후쿠시마의 교훈' 한국판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밀양현황 발표(부산 연안여객터미널, 그린피스 '에스페란자호' 선상)
4.28-29 탈핵 희망버스(기장, 정관, 밀양)
4.28 고리 1호기 폐쇄 인간띠 잇기(기장군 고리 핵발전소 앞)
6. 2 지금여기 신학특강 '우리시대의 신앙, 다시 생각한다'(정양모 신부, 서공석 신부) (가톨릭센터 교육실)
7.19, 8.22 한진중공업(영도조선소) 노동조합 천막농성장 지지방문
8. 6 4대강 회복과 두물머리 유기농지 보존을 위한 전국 집중 생명평화미사(경기도 영수리 두물머리, 부산참가단 35명)
8.20 창조보전연대, 종교인 탈핵 도보순례 출발 기자회견(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앞)
9.10 사회문제에 대한 교회의 문헌, 자료 <번역팀> 구성
1차 번역 자료: 'economic justice for all (모든 이를 위한 경제 정의)'/미국주교회의 문헌(1986년)
10.10 쌍용차 해고노동자 돕기 모금 활동(부산교구 24개 본당, 신학교/17,475,825원)
'희망바구니' 전달식/ CBCK
10.17-11.14 '모든 이를 위한 경제 정의' <경제 민주화 특강> (5주간, 가톨릭센터 소극장)
10.20 탈핵 전국집중대회(서울 청계광장)
11.28- (격주 수요일) 밀양 765KV 송전탑 백지화를 위한 생명 평화 미사(밀양 영남루 앞)
-제주 해군기지 백지화를 위한 생명 평화 미사(6차례, 1박 2일, 제주 강정마을)-부산교구 본당 2회(9.24 야음성당, 10.29 서면성당)
해군기지반대 만화 본당 배포, 7.4 촛불이어켜기, 서명운동 등
2011년
1. 3-4.18 <PBC부산평화방송> "정의와 평화 흐르는 곳에" 사무국 고정출연
1-12월 아름다운 세상을 여는 미사 및 주제 강의
- 부산: 매월 둘째 월요일 19:30 / 가톨릭센터 소극장
- 울산대리구: 연 2회 넷째 월요일 19:30 / 본당 순회
1.21-23 제5회 청소년 인권평화캠프(해운청소년수련원, 예비중~고등학생 등 92명)
3.11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사고' 이후 핵발전소 반대활동 및 연대강화
4.18 4대강 되찾기, 김해 낙동강 권역 낙동간 생명 평화 미사(김해 활천성당)
4.21 "청정 밀양 지키기" 76만5천볼트 송전탑 건설 중단을 촉구하는 생명 평화 미사
(밀양시청 앞 밀양송전탑대책위 주민 단식농성장)
5.18-10.19(월1회) <PBC부산평화방송> "그리스도인 세상보기" 사무국 출연
-한진중공업 대규모정리해고반대 및 서민경제살리기 부산시민대책위 참가
(85호 크레인 김진숙 민주노총부산본부 지도위원 고공농성, 희망버스 등)
7.15-11.2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철회 미사(22회 봉헌,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앞,
한진중공업 연대밥상,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철회 관련 기자회견과 대시민 홍보전 등)
9월-12월 제주해군기지 건설 반대활동(평화.군비확산 반대, 생명권보전 등)
9. 1-9. 4 1차 평화비행기 참가 및 생명 평화 미사(제주 서귀포시 강정마을)
10.10-11 <제주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천주교연대> 출범총회 (강정마을)
10.24-26 제주해군기지 건설 반대 대구관구(대구, 부산, 마산, 청주, 안동교구) 생명평화미사
12.26-27 평화의 섬, 전국 2차 집중 생명평화미사(강정마을)
10. 6-12.31(월1회) <PBC부산평화방송> 사회교리프로그램 (정평위원장, 위원 사제)
11.23 한진 노동자들과 함께 하는 감사미사 (가톨릭센터 3층 교육실)
12. 8-12 2011 부산인권문화제 (가톨릭센터 소극장 및 로비)
(사진전: 한진 85크레인과 아름다운 연대, 제주 해군기지 건설반대 강정마을에 평화를!)
12.26 한진중공업 최강서 열사 투쟁대책위원회 결성
-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한 서명운동, 생명평화미사 등 활동
-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 활동
- 밀양 765kV 송전선로 반대, 고 이치우 어르신 분신대책위
- 부산일보 편집권독립과 정수재단 사회반환을 위한 부산시민연대 활동
2010년
1-12월 아름다운 세상을 여는 미사 및 주제 강의
- 부산: 매월 둘째 월요일 19:30 / 가톨릭센터 소극장
- 울산대리구: 연 2회 넷째 월요일 19:30 / 본당 순회
1.13 '한진중공업 대규모정리해고반대 및 서민경제살리기 부산시민대책위' 결성 기자회견,
시민사회단체 정당 간담회(영도 한진중공업)
2.22 낙동강 권역-함안보 생명 평화미사 / 낙동강 함안보 공사 현장
2-12월 4대강 사업 중단 촉구 활동(강연회 3회, 4대강 훼손 전과 후 사진전 4회, 각 본당 서명운동 및 강론자료 배포, 부산교구 본당 현수막 걸기 운동, 연대참가 기자회견 및 지지활동)
5. 6 '5.3 동의대사건'겨냥, 부산 정치집단의 '민주화운동 보상 심의를 위한 법률 개악안상정시도'에 따른 진정서 제출(수신: 한나라당부산시당 위원장, 국회의원)
6. 9 '615부산본부' 국정원 압수수색 규탄 부산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부산지청 앞)
6.10 '전교조 탄압, 민주노동당 후원 부산교사 20명에 대한 불징계 요구 탄원)
6.13 제14회 생활신앙학교 "역사와 교회"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6.26 <낙동강, 생명의 숨결 느끼기 순례>와 <4대강 사업 중단! 삼락둔치 수변 농지보존을 촉구하는 생명 평화미사>/ 우포늪~낙동강 순례~삼락둔치(미사)
7. 5 낙동강 생명평화미사(창원 사파공동성당)
7.14 용산참사 철거민 탄원서 제출(용산철거민진상규명대책위)
7.16 4대강사업 중단, 생명의 강 지키기 촛불문화제(매일 19:30/ 서면 태화 앞)
7/23-25 제4회 청소년 인권평화캠프
7.26 밀양 765KV 송전탑 백지화 활동 전개(항의서한 발송, 본당 서명운동 시작)
7.29, 9.3 낙동강 함안보 타워크레인 고공농성 지지방문 및 농성장 생명평화미사
8. 6-7 정평위 연수 & 농촌 봉사활동 (밀양송백공소)
8.27 낙동강 국민소송 공판 방청 및 생명 평화 미사(부산지방법원 앞)
9. 9, 9.16 <4대강 사업중단, 삼란둔치 수변보존을 촉구하는 생명평화미사>(삼락둔치)
9.20 4대강 사업 중단, 낙동강 순례, 낙동강 삼락둔치 보존을 촉구하는 활동
11.15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는 울산지역 각계각층 기자회견(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정문 앞)
12. 8-13 2010 부산인권문화제
-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입법해결을 촉구하는 50만명 서명운동
2009년
1-12월 아름다운 세상을 여는 미사 및 주제 강의
-부산: 매월 둘째 월요일 / 가톨릭센터 소극장
-울산지역: 연 2회 상하반기 비정기적 / 본당순회 아세미 시작
1.16-18 제3회 청소년 인권캠프 / 해운청소년수련원
1.31-12월 용산참사 해결을 위한 범국민추모문화제 / 부산역 광장
5.28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부산시민 추모문화제 / 부산역 광장
7.20 '7.20 용산참사 반년, 범국민 추모의 날' 용산참사 현장 부산 방문단(38명)
8.22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부산시민 추모문화제 / 부산역 광장
9.20 4대강 정비사업 중단과 생명, 평화를 기원하는 시민 행동의 날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낙동강하구 삼락둔치
9.25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환경소위원회 생태복음화교육
"생태적 치유와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부산정평위 후원 (14:00 가톨릭센터 소극장)
10.30 용산참사 해결과 문규현 신부님의 빠른 쾌유를 비는 부산지역 촛불문화제 (서면)
12월 초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한 천주교 연대> 출범
12.10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는 전국 사제, 수도자 5005인 선언' (명동성당 들머리)
12.14-15 2009 부산인권문화제 '용산+인권 사진전 및 미사'
- 부마민주항쟁30년사업추진위원회 참가
- 국가인권위 독립성 보장 및 조직 축소반대 부산공동대책위원회 참가
2008년
1-12월 아름다운 세상을 여는 미사 및 주제 강의
1. 5-7 제2회 청소년 인권캠프 2박3일 / 양산 해운청소년수련원
4. 광우병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시위 활동
7.26-27 2008 인권피정(제13회 생활신앙학교) 1박2일, 40명, 양산 해운청소년수련원
8.15-17 본당 요청 청소년 인권캠프 / 양산 해운청소년수련원
9. 장애인시설, 은혜원 피해자 사건관련 엄중한 수사 촉구를 위한 탄원서 제출
12. 인권주일 강론자료(사형폐지) 배포
12. 세계인권선언 60주년기념 <부산인권문화제>
2007년
'고리1호기 수명연장 국가인권위원회 제소' 인단 참여
3. 20 6월민주항쟁 20주년 부산사업추진위원회 참가
7. 2 버마민주항쟁을 지지하는 부산시민연대(부산버마연대) 참가
7. 9 아름다운 세상을 여는 미사-주제 강의 강화(가톨릭센터 소극장으로 장소 고정)
8. 4-5 제1회 청소년 인권캠프 개설(1박2일, 중고생 60명, 기장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인권캠프는 2007년~2010년 진행)
9. 7-18 부산교구 설정 50주년 기념 <인권영화제> - 제12회 생활신앙학교-
+ 그리스도의 평화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에 오심을 환영합니다.
교황청 정의평화위원회는 1967년 교황 바오로 6세의 사도적 서한에 근거하여, 하느님 백성들이 오늘 그들의 역할을 충분히 깨닫고, 가난한 나라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국제적인 사회정의를 권장하기 위한 교회기구로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정의평화평의회를 거쳐, 2016년 8월 31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발표한 자의교서 "인간 발전"(통합적 인간발전 촉진부서 설립)을 통해 기존의 교황청 정의평화평의회, 사회복지평의회, 이주사목평의회, 보건사목평의회를 합쳐 “인간발전성”으로 승격되었습니다. (교황청 온전한 인간 발전 촉진을 위한 부서)
한국 정의평화위원회는 복음을 토대로 하여 현 세계에 정의와 평화를 구현해야 하는 하느님 백성의 사명을 자각시키며, 한국의 종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발전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인간의 존엄성과 더불어 정의와 평화를 추진함을 목적으로 1970년 발족 후 1975년 주교회의 직속기구로 인정되어 활동하고 있습니다.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1986년 5월 12일 개소하여 1987년 6월항쟁을 비롯한 민주화운동에 동참하였고, 사회 정의와 생명 평화 활동을 중심으로 복음과 사회교리의 가르침에 따라 활동하고 있습니다.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Justice & Peace Committee of Busan Diocese
(600-801)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 4가 81-1 가톨릭센터 5층
5th Floor, Catholic Center 81-1, Daecheong-Dong 4ga, Jung-Gu, Busan, S-Korea (60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