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842호 2024. 11. 24 
글쓴이 박선정 헬레나 
‘내던져진 존재’들에게 부치는 가을 편지

 
박선정 헬레나
남천성당 · 인문학당 달리 소장

 
   ‘세상에 내던져진 존재’. 독일 철학자 하이데거는 인간을 가리켜 이렇게 말했습니다.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지금의 내가 처한 시대와 환경과 상황 속으로 ‘내던져짐을 당한 존재’, 그것이 인간이라고 말입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날 때부터 훌륭한 인격의 부모에게서 금수저로 태어나고, 또 누군가는 부모에게조차 버림받은 채 하루 끼니를 걱정하며 살아야 하는 운명으로 태어나는가 봅니다. 하늘에서 내던진 씨앗이 싹을 틔우기에 딱 알맞은 옥토에 떨어지기도 하고, 가시를 피우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 없는 사막 한가운데 떨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니 자갈밭의 결핍과 갈증 속에서 온통 가시로 뒤덮인 꽃을 피운 엉겅퀴를 누가 탓할 수 있겠습니까. “누군가를 비판하고 싶을 때면, 세상 모든 사람이 다 네가 갖고 있는 것을 누리고 있진 않다는 것을 기억해라.”라는 닉 캐러웨이 아버지의 조언을 가슴에 새겨야 하는 이유입니다.
 
   나보다 더 거친 세상에 ‘내던져진’ 한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그는 자신이 던져진 밭을 원망하기보다는, 엉겅퀴 같은 생명력으로 열심히 물을 찾아내고 싹을 밀어 올렸습니다. 그리고 거칠면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그는 너무 많은 기력을 소모했나 봅니다. 그의 삶의 시간이 비록 우리보다 짧지만 결코 짧았다고만은 말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그의 시간은 우리가 여유롭게 보내던 시간에도 빠르게 흘러갔을 테니까요. 누군가의 삶과 죽음을 하나의 잣대로 평가하거나 비판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가을이 아름다운 것은 봄과 여름의 찬란했던 생명이 최고의 순간을 발하기 때문입니다. 이 찬란한 잎들은 또 다른 생명을 위해 대지의 양분이 될 운명을 겸허히 받아들일 것입니다. 가을의 형형색색은 죽음을 목전에 둔 자연의 눈부신 아름다움이라는 점에서 아이러니합니다. 이것은 곧 인간의 숙명이기도 합니다. 하느님의 나라에서의 영원한 삶과는 달리, 인간은 죽음의 한계를 지닌 존재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삶은 찬란해야 합니다. 이것이 불멸의 하느님께서 필멸의 인간에게 주신 기회이자 선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양하게 던져줄 테니, 한 번 색다르게 살아보고 오거라.”
 
   그러니 지금 내가 던져진 곳이 어떠하든 겸허히, 또는 인내심 있게 살아내 봅시다. 나와는 다른 곳에 던져진 씨앗들을 부러워하거나 비판하지도 말고요. 창문 넘어 도망친 백세 노인이 말하듯, ‘진득하게 살다 보면 어차피 죽을 건데’, 나도 남도 너무 미워하지 말고 조금 더 선하고 후회 없이 진득하게 살아야겠습니다. 그리고 이생을 다하는 날, ‘그 고귀한 존재를 흙 속에서 찾지 맙시다.’ ‘어차피 이 세상 모든 것은 죽어야 하고, 그러면 자연을 지나 하느님의 나라로 간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으니 말입니다.
 
   이 가을, 세상을 떠난 모든 이들과 지금을 살아내는 모든 형제자매를 위해 기도합니다. 아멘.
호수 제목 글쓴이
2842호 2024. 11. 24  ‘내던져진 존재’들에게 부치는 가을 편지 박선정 헬레나 
2841호 2024. 11. 17  찰리 채플린 명언 4가지에 숨겨져 있는 진실! 박옥위 데레사 
2840호 2024. 11. 10  평신도 아카데미에 대하여... 추승학 베드로 
2839호 2024. 11. 3  함께하는 시간 속에서 늘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진효주 로즈마리 
2838호 2024. 10. 27  확증편향 우세민 윤일요한 
2837호 2024. 10. 20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98차 전교 주일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836호 2024. 10. 13  爲羊獻身 司祭本分(위양헌신 사제본분) 전재경 신부 
2835호 2024. 10. 6  하느님을 선택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 정시후 율리오 
2834호 2024. 9. 29  더욱더 넓은 ‘우리’를 향하여 트란쿡퐁 신부 
2833호 2024. 9. 22  우리는 바오밥나무처럼 강하다 윤경일 아오스딩 
2832호 2024. 9. 17  어떤 기적 임재학 하상바오로 
2830호 2024. 9. 8  믿음의 상태 탁은수 베드로 
2829호 2024. 9. 1  선물 정대건 대건안드레아 
2828호 2024. 8. 25  하느님과의 일치를 통한 마음의 여유를 기대하며 원성현 스테파노 
2827호 2024. 8. 18  “물이 그 주인을 만나자 얼굴이 붉어졌다.”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26호 2024. 8. 15  그분의 어머니를 뵙고 싶어지는 때 강은희 헬레나 
2825호 2024. 8. 11  마태오 복음 6장 3절 정효모 베드로 
2824호 2024. 8. 4  아버지 서현우 요셉 
2822호 2024. 7. 21  택배비 무료 맞죠? 쌀 보내 주세요~ file 오창석 신부 
2821호 2024. 7. 14  주님, 저는 당신께 의탁합니다. 김도아 프란체스카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