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밭에 계신 하느님

가톨릭부산 2018.07.11 14:03 조회 수 : 169

호수 2497호 2018.07.15 
글쓴이 김상진 요한 

감자밭에 계신 하느님
 

김상진 요한 / 언론인 daedan57@hanmail.net
 

   얼마 전에 텃밭에서 감자를 캤다. 호미로 두둑을 헤치자 감자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다. 감자밭을 헤집고 다니는 동안 모든 잡념은 사라지고 오로지 하느님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감자밭에서 만난 하느님은 이랬다.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느라 그 작은 씨감자 한 조각에서 5∼10개의 새 감자를 맺게 하셨다. 감자밭에 굼벵이 약은 물론 농약을 전혀 치지 않았더니 대부분 감자에는 굼벵이가 파먹은 흔적이 남았다. 굼벵이 상처는 보존성을 떨어뜨리고, 감자를 빨리 상하게 했다. 그럴 줄 알았지만 내가 덜 먹고 굼벵이와 나눠 먹자는 생각에 약을 치지 않았을 뿐이다.
   감자밭에 굼벵이가 살게 하는 데도 뜻이 있었다. 감자는 뿌리가 따뜻해야만 수확량이 많다. 그래서 관행농법은 검은 비닐 피복을 씌운다. 나는 비닐피복도 하지 않고 농약도 치지 않았다. 그렇다면 많은 굼벵이 때문에 감자 농사를 망치는 게 맞다. 그러나 나의 감자 농사는 관행농법의 80% 수확은 거두었다. 그 이유는 두더지 때문이었다. 두더지가 굼벵이를 잡느라 땅속을 헤집고 다니면서 흙 속에 바람구멍을 많이 만들었다. 그 바람구멍을 통해 한낮의 따뜻한 공기가 감자 뿌리까지 닿았다. 여기에다 굼벵이가 흙을 떼알 구조로 만들면서 흙 속의 수분과 양분을 넉넉하게 만든 효과도 봤다. 덕분에 내 감자는 굼벵이 자국은 있지만 싱싱하고 맛이 좋았다.
   아하, 굼벵이라는 미물도 헛되이 창조하신 것이 아니구나. 또 굼벵이가 마구 번식하지 못하도록 두더지라는 천적도 창조하셨구나. 하느님의 계획아래 창조되지 않은 생명체는 없구나. 그러한 묵상들이 떠올랐다.

   씨감자를 심을 때 작은 것은 통째로, 큰놈은 여러 조각으로 잘라서 심었다. 그런데 통째로 심은 감자보다 여러 조각으로 자른 씨감자에서 많은 감자가 열렸다. 상처와 시련이 더 많은 성과를 거두게 하시는구나.

   아울러 우리가 시중에서 구입하는 겉이 매끈한 감자에는 얼마나 많은 굼벵이 약이 뿌려졌는지도 알았다. 자연과 공생하지 않으려는 인간의 욕망이 굼벵이만 죽이는 것이 아니라 인간도 병들게 하고 있었다.

   농부는 하느님의 창조 사업을 맡은 첨병이다. 인류의 첫 직업이기도 했다. 그토록 신성한 직업인데도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농민 주일을 맞아 농업과 농부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기도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2876호 2025. 6. 29  주님 사랑 글 잔치 김임순 
2875호 2025. 6. 22  “당신은 내 빵의 밀알입니다.” 강은희 헬레나 
2874호 2025. 6. 15  할머니를 기다리던 어린아이처럼 박선정 헬레나 
2873호 2025. 6. 8  직반인의 삶 류영수 요셉 
2872호 2025. 6. 1.  P하지 말고, 죄다 R리자 원성현 스테파노 
2871호 2025. 5. 25.  함께하는 기쁨 이원용 신부 
2870호 2025. 5. 18.  사람이 왔다. 김도아 프란치스카 
2869호 2025. 5. 11.  성소의 완성 손한경 소벽 수녀 
2868호 2025. 5. 4.  그들이 사랑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사랑하십시오. 김지혜 빈첸시아 
2865호 2025. 4. 13.  다시 오실 주님을 기다리며 안덕자 베네딕다 
2864호 2025. 4. 6.  최고의 유산 양소영 마리아 
2863호 2025. 3. 30.  무리요의 붓끝에서 피어나는 자비의 노래 박시현 가브리엘라 
2862호 2025. 3. 23.  현세의 복음적 삶, 내세의 영원한 삶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61호 2025. 3. 16.  ‘생태적 삶의 양식’으로 돌아가는 ‘희망의 순례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60호 2025. 3. 9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2025년 사순 시기 담화 프란치스코 교황 
2859호 2025. 3. 2  ‘나’ & ‘우리 함께 together’ 김민순 마리안나 
2858호 2025. 2. 23.  예수님 깨우기 탁은수 베드로 
2857호 2025. 2. 16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으니 너는 나의 것이다.”(이사 43,1) 최경련 소화데레사 
2856호 2025. 2. 9.  우리는 낙심하지 않습니다. 안경숙 마리엠마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