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74호 2014.05.25 
글쓴이 권순호 신부 

성경을 읽어보면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이할 것임을 알면서도 그 길을 걸어가셨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죽는 줄 뻔히 알면서 그 길을 피하지 않고 계속 가셨다면, 그것은 간접적인 자살행위가 아닙니까? 제가 알기로는 교회는 자살을 금지하고 있는데,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은 간접적 자살로 교회의 가르침과 상반되는 것이 아닙니까?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께서 아이를 낳다가 죽은 어느 한 어머니를 성인품에 올리신 적이 있었습니다. 그 어머니는 아이를 가졌을 때, 의사들이 자녀를 낳으면 어머니의 목숨이 위험하다는 진단을 내렸습니다. 교회 가르침에서도 어머니의 목숨에 직접적인 위험을 가져 올 경우 인공 유산을 허락합니다. 하지만, 그 어머니는 아이를 낳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죽음을 맞이합니다. 우리는 아이를 살리기 위해 자신의 죽음을 선택한 어머니를 간접적으로 자살을 선택한 것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아이를 살리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거룩한 어머니라고 칭송합니다. 침몰하는 배에서 다른 사람들을 살리기 위해서 자신의 구명복을 양보하고 배에 먼저 내리지 않은 사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그들을 간접적인 자살을 선택한 사람이라고 말하지 않고, 사랑의 희생의 모습을 보여준 사람이라고 존경합니다. 자살은 현실의 고통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죽음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교회가 금지하는 안락사는 바로 이런 맥락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철학자 맥머래이는 사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사랑은 타인을 돌보기 위해 자신에 대해 잊어버리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을 위해 그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고통과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은 사랑의 숭고한 희생 행위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은 바로 이런 사랑의 숭고한 희생 행위인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274호 2014.05.25  성경을 읽어보면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이할 것임을 알면서도 그 길을 걸어가셨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죽는 줄 뻔히 알면서 그 길을 피하지 않고 계속 가셨다면, 그것은 간접적인 자살행위가 아닙니까? 제가 알기로는 교회는 자살을 금지하고 있는데,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은 간접적 자살로 교회의 가르침과 상반되는 것이 아닙니까? 권순호 신부  200
235 2276호 2014.06.08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97
234 2277호 2014.06.15  신앙의 가르침을 따라 살아가기가 무척 힘이 듭니다. 현실은 많은 경우 적당히 타협도 하고 불의도 눈감아 주면서 살아가길 요구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지식한 사람, 완고한 사람으로 따돌림을 받기도 합니다. 신앙의 가르침을 따르며 살고 싶은데 고지식하고 완고하다는 소리를 듣기는 싫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71
233 2278호 2014.06.2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인데요. 천주교에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너무나 강조하는 것 같아 어떨 때는 마음이 불편합니다. 솔직히 성모 마리아에 대한 천주교의 가르침은 성경에도 거의 나오지 않는데, 후에 사람들이 지어낸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됩니다. 권순호 신부  242
232 2279호 2014.06.29  대학생 딸이 음식을 많이 먹은 뒤, 화장실에 가서 토하곤 합니다. 밤에 혼자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고는 토하고, 다음날 또 그럽니다. 요즘 많이 예민해져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275
231 2280호 2014.07.06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장재봉 신부  184
230 2281호 2014.07.13  같은 하느님을 주님으로 고백하면서도 오히려 비신자보다 못한 모습으로 우리 교회에 먹칠을 하는 사람을 보면 속이 상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답답합니다. 홍경완 신부  124
229 2282호 2014.07.20  흔히들 개신교 신자들에게 천주교는 성모님을 믿는 종교라는 오해를 받곤 합니다. 그런데 제가 봐도 지나치다 싶을 만치 과도하게 성모신심에 빠져 있는 신자들을 보면, 그런 오해도 살만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천주교는 다른 성인들과 다를 바 없는 인간인 마리아를 너무 신격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권순호 신부  192
228 2283호 2014.07.27  저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길 때마다 하느님께서 왠지 벌주시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합니다. 머리로는 하느님께서는 그런 분이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왠지 마음 한구석엔 저도 알 수 없는 불안과 죄책감이 있습니다. 무엇 때문일까요? 홍성민 신부  82
227 2284호 2014.08.03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 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71
226 2285호 2014.08.10  성경에 우상숭배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는 구절을 자주 접합니다. 어떤 행위들이 우상숭배가 되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홍경완 신부  268
225 2287호 2014.08.17  저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만나게 되면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제가 싫고, 무기력함 때문에 기도 조차하기 힘이 듭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193
224 2288호 2014.08.24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 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장재봉 신부  144
223 2289호 2014.08.31  대학생 아들이 성당에 다니지 않으려 합니다. 하느님은 믿지만 그렇다고 꼭 성당에 다녀야만 하느님을 믿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따지는데 답을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72
222 2290호 2014.09.07  저는 매일 양심성찰을 통해 자신이 죄인임을 잊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항상 회개의 삶을 살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양심 성찰 중에 어떤 잘못이 떠오르면 그것에 대한 후회 때문에 나 자신이 완전히 형편없는 사람 같아서 잠을 못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개의 삶이 오히려 저를 더 우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37
221 2291호 2014.09.14  중2 아들을 둔 엄마입니다. 저는 공부보다도 신앙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토요일마다 주일학교에 보내려고 애를 쓰지만, 종교의 자유 운운하며 도대체 성당에 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성당에 보낼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194
220 2292호 2014.09.21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장재봉 신부  121
219 2293호 2014.09.28  딸이 갑자기 물어왔습니다.‘엄마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이야?’‘어떤 하느님이긴, 그냥 하느님이지’라고 서툴게 답하고 말았지만 실은 대답을 못 했습니다. 내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인가요? 홍경완 신부  89
218 2294호 2014.10.05.  어떤 신부님들은 왜 경제나 가난이나 정치 문제에 대해 발언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정치, 경제 문제는 정치인이나 경제인들에게 맡기고, 교회는 그저 기도와 신앙, 십계명과 같은 종교에 관한 것만을 가르쳐야 하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20
217 2295호 2014.10.12  아내가 SNS에 너무 많이 집착합니다. 솔직히 저는 저의 일상이 공개되는 것이 유쾌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반응에는 신경을 쓰면서 정작 남편인 저에게는 소홀한 아내에게 섭섭함도 느낍니다. 홍성민 신부  15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