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1867호 2007.01.28 
글쓴이 장재봉 신부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장재봉 신부

 

하느님께서는 너그러우시니까 늦게라도 미사에 오는 것을 기특해 하시겠지요. 하지만 미사에 집중하고 싶은 입장에서는 분심이 들기 십상입니다. 저는 미사에 앞서서 항상 30분전에 미사를 위한 마음가짐을 갖추고 미사에 임합니다. 고해성사를 위한 목적도 있지만 간혹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본인의 마음가짐도, 주어지는 은총도 분명히 다르다는 사실을 체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몸과 피로 한 혈육, 한 피붙이, 한 핏줄, 일심동체의 가족이 된 우리들이기에 사정이 있어 늦게 온 사람이 있다면 너그럽게 대하는 마음도 필요합니다. 주님의 잔치는 자비의 성사이자 일치의 표징이며 사랑의 고리입니다. 이러한 미사의 정신을 깨닫고, 영성체를 통하여 주님의 구원 제사에 보다 완전하게 참여하게 되시기 바랍니다. 그분과 일치하고 형제들과 일치하는 일을 통해서 우리는 영원한 생명을 보장 받습니다. 무엇보다 하느님을 뵈옵기 위한 미사를 위해서 미리 미리 성전에 들어가 준비하는 모습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미사는 주님의 몸과 피를 음식으로 먹고 마시는 식사 예식인 만큼 큰 죄가 없다면 늦게 오셨더라도 성체를 영하시기를 권합니다. 가족 중에 누가 늦게 왔다고 밥을 주지 않는 경우는 없으니까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1867호 2007.01.28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장재봉 신부  107
355 2022호 2009.11.22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 장재봉 신부  75
354 2072호 2010.10.17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 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장재봉 신부  70
353 1890호 2007.07.0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장재봉 신부  104
352 1869호 2007.2.11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장재봉 신부  114
351 1871호 2007.2.25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장재봉 신부  527
350 2522호 2018.12.30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한 일이었는데, 상처도 받고 어려움도 겪다 보니 그만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시작할 때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는 제멋대로 그만두어도 되는지 걱정이 됩니다. 홍성민 신부  264
349 2520호 2018.12.23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면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르 15,34; 마태 27,46)라고 외칩니다. 스스로 원하신 수난인데 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하느님을 원망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낸 말인지요? 염철호 신부  126
348 2519호 2018.12.16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미워하지 않기도 어려운데 사랑까지 하라니 힘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실천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22
347 2518호 2018.12.09  무슨 일이든지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 차 있습니다. 놀면 죄 짓는 것 같고, 그냥 아무 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괜히 두렵기도 합니다. 홍경완 신부  94
346 2517호 2018.12.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210
345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0
344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58
343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1
342 2513호 2018.11.04  어느 신문에서 외국의 가톨릭 성직자들이 아동 성추행 사건을 일으키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아마도 이런 문제들도 가톨릭 성직자들이 자연의 본성에 반해서 독신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제 성직자의 독신제에 다시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6
341 2512호 2018.10.28  주일에 일하지 말고 쉬라는 파공의무가 여전히 유효한지요? 하는 일에 따라 밤낮이 따로 없고, 평일과 휴일의 구분도 모호해진지 오래라서 던지는 질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70
340 2511호 2018.10.21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7
339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4
338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2
337 2506호 2018.09.16  ‘아버지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도록 기도는 매일 합니다만, 실은 어떤 것이 내 뜻이고 어떤 것이 하느님의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9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