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510호 2018.10.14 
글쓴이 임성근 신부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 우동성당 부주임 pantaleon@naver.com
 

   자녀의 신앙 교육을 막막해하시는 분을 종종 뵙습니다. 우리는 교육을 아웃소싱하는 데 길들여져있습니다. 영어는 영어학원에서 태권도는 태권도장에서 피아노는 피아노학원에서. 그런 풍토에서 신앙은 성당에서 맡아서 해야지 하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신앙 교육은 결코 아웃소싱이 될 수 없습니다. 왜냐면 신앙은 자기 신앙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비유컨대 부모가 아닌 사람은 자녀에게 유전자를 물려줄 수 없다는 생각해봅니다.
   부모는 자녀에게 “최초의 신앙선포자”(『가톨릭교회교리서』 2225항)입니다. 신앙 교육은 부모의 특권입니다. 자신의 신앙을 자녀에게 선물해주는 것만큼 부모로서 큰 보람은 없을 것입니다. 동시에 신앙 교육은 부모의 의무입니다. “부모는 자녀들에게 기도를 가르치고,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소명을 발견하도록 가르칠 사명을 띠고 있다.”(『가톨릭교회교리서』 2226항)
   그렇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될까요? 우선 신앙을 신비 교육으로 봐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신앙교육은 단순히 어떤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 방식을 훨씬 뛰어넘습니다. 부모님은 종종 ‘나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가르칠 수 있나요?’ 하십니다. 지식 전달의 교육에서는 잘 아는 사람만이 가르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비 교육에서는 무지가 가장 훌륭한 스승입니다. ‘나도 잘 모르는 데 같이 찾아볼래?’ 하는 것입니다. 신앙은 신비입니다. 신앙 교육에서는 정답을 알고 가르치려는 태도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신앙 교육은 밭에 숨겨진 보물을 찾는 것과 비슷합니다. 우리 인생 안에 하느님께서 숨겨두신 은총을 자녀와 함께 찾아보는 기쁨을 누려보시기를 기원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 2504호 2018.09.02  어릴 적 성당을 잘 다니던 아들이 커서는 신을 믿지 않겠다고 합니다. 임성근 신부  96
15 2505호 2018.09.09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장재봉 신부  104
14 2506호 2018.09.16  ‘아버지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도록 기도는 매일 합니다만, 실은 어떤 것이 내 뜻이고 어떤 것이 하느님의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90
13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4
»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4
11 2511호 2018.10.21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7
10 2512호 2018.10.28  주일에 일하지 말고 쉬라는 파공의무가 여전히 유효한지요? 하는 일에 따라 밤낮이 따로 없고, 평일과 휴일의 구분도 모호해진지 오래라서 던지는 질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70
9 2513호 2018.11.04  어느 신문에서 외국의 가톨릭 성직자들이 아동 성추행 사건을 일으키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아마도 이런 문제들도 가톨릭 성직자들이 자연의 본성에 반해서 독신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제 성직자의 독신제에 다시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6
8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1
7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64
6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3
5 2517호 2018.12.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210
4 2518호 2018.12.09  무슨 일이든지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 차 있습니다. 놀면 죄 짓는 것 같고, 그냥 아무 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괜히 두렵기도 합니다. 홍경완 신부  94
3 2519호 2018.12.16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미워하지 않기도 어려운데 사랑까지 하라니 힘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실천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22
2 2520호 2018.12.23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면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르 15,34; 마태 27,46)라고 외칩니다. 스스로 원하신 수난인데 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하느님을 원망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낸 말인지요? 염철호 신부  127
1 2522호 2018.12.30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한 일이었는데, 상처도 받고 어려움도 겪다 보니 그만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시작할 때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는 제멋대로 그만두어도 되는지 걱정이 됩니다. 홍성민 신부  264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