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71호 2016.02.28 
글쓴이 장재봉 신부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 선교사목국장 gajbong@hanmail.net

  죄는 고해성사를 통해서 용서받습니다. 하지만 잊고 고백하지 못한 죄에 대한 벌이 남을 수 있고 고해신부가 부여한 보속이 죄에 비례되지 못할 수도 있지요.(보속이 적다고 좋아할 것만은 아닌 겁니다^^) 전대사는 하루에 한 번 허용되지만 한 번의 고해성사로써 8일간 전대사를 이어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듯 큰 은총을 주신 주님께 감사드리는 교회는 전대사를 받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여 충족시킬 것을 요구합니다. 모든 신자들이 조건을 실천함에 사랑과 정성이 깃들기를 청합니다. 죄악에 대한 애착을 끊어내는 의미의 고해성사와 성체를 모시고 교황님의 지향에 따른 기도를 진심으로 바치는 것이 필수인 것이지요. 진정한 영적 회개만이 우리를 고쳐줍니다. 주님의 자비를 닮게 합니다. 주님처럼 가난하고 상처받은 이에게 마음 문을 활짝 여는 사랑을 살게 합니다. 그런 만큼 자신을 위해서, 가까운 이들을 위해서 전대사를 얻는다는 의미만으론 주님께 너무 송구한 행위일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죄를 고백할 줄 아는 것은 하느님의 선물이요 하느님의 작품”이라 하셨습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고해소를 찾으라고 재촉하셨습니다. 전대사는 보속되지 못한 잠벌을 면제받고 영혼이 정화되는 은총의 작업임을 잊지 마세요. 무엇보다 고해성사가 신앙생활의 짐이나 걸림돌이 아니라 깊고‘따순’주님의 엄청난 자비의 열매라는 걸 기억해주세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56 2358호 2015.12.13  마음이 불안해서 견디기가 힘듭니다. 머리로는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마음은 여전히 불안해서 잠도 잘 자지 못하고, 해야 하는 일에도 집중하지 못합니다. 이런 불안함을 어떻게 해야 없앨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273
155 2359호 2015.12.20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쉬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203
154 2361호 2015.12.27  본당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데,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좀 지친 것 같습니다. 활동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99
153 2363호 2016.01.03  하루 중 문득 문득 나쁜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그 생각이 하루를 지배할 때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생각들을 떠오르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15
152 2364호 2016.01.10  성경을 읽다보면 ‘아멘’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337
151 2365호 2016.01.17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126
150 2366호 2016.01.24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맞습니다. 신심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387
149 2367호 2016.01.31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29
148 2368호 2016.02.07  저는 오랫동안 레지오 단장 등 여러 단체의 간부를 맡아 왔습니다. 지금은 본당 사목회 임원으로 활동합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제 자신을 살펴보니 성당 일을 하기엔 정말 형편없는 죄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69
147 2369호 2016.02.14  성경을 읽다 보면‘할렐루야’라는 표현이 종종 나옵니다. 전례 때도 자주 사용되던데, 어느 나라 말이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274
146 2370호 2016.02.21  성찬의 예식에서“스스로 원하신 수난이 다가오자”라는 사제의 기도가 머리에서 계속 맴돕니다.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스스로 원하셨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면서,‘하느님께서는 왜 이들을 도와주지 않으실까?’라는 의문이 들곤 하였는데,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이 그러셨듯이 우리도 고통을 스스로 원해서 겪기를 바라시는 것입니까? 홍성민 신부  246
» 2371호 2016.02.28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563
144 2372호 2016.03.06  가족들끼리 함께 하는 시간이 줄면서 대화도 점점 없어져 하숙집이 되어버렸습니다. 단란한 가족은 환상일 뿐인가요? 홍경완 신부  173
143 2373호 2016.03.13  매월 한 번 봉사 활동을 하러 근처 요양병원에 갑니다. 하지만, 노인들을 위해 봉사할 때 마음속에 우러나오는 사랑의 감정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의 본 모습을 숨기고, 가식적으로 그들을 위하는 척할 수도 없고, 그럴 바엔 봉사를 그만두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416
142 2374호 2016.03.20  약은 집사 이야기(루카 16, 1~8)에서 주인의 재물을 마음대로 탕감해준 집사를 주인이 도리어 칭찬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염철호 신부  221
141 2375호 2016.03.27  삼위일체 교리가 이해하기 너무나 어렵습니다. 머리로 알아듣는 교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믿는 교리라고 배웠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듣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65
140 2376호 2016.04.03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인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장재봉 신부  484
139 2377호 2016.04.10  어떤 이는 마지막까지 모든 것 다 누리다가 하느님 품으로 가고, 어떤 이는 가난과 질병의 고통 속에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하느님의 공평하심을 믿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홍경완 신부  493
138 2378호 2016.04.17  사람들은 점점 종교에 관심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교회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선교를 할 때 SNS이나 인터넷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그것이 좀 더 빠른 시간에 좀 더 효과적으로 좀 더 다각적으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수 있지 않을까요? 청소년들을 성당에 오게 하기 위해 인터넷 게임을 교리에 이용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4
137 2379호 2016.04.24  성경은 언제부터 있었나요? 예수님 시대 때도 있었나요? 염철호 신부  17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