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들 안에 교회의 일깨움

가톨릭부산 2025.10.28 15:43 조회 수 : 4

호수 2896호 2025. 11. 2 
글쓴이 윤정현 신부 
영혼들 안에 교회의 일깨움

 
윤정현 신부
부산가톨릭대학교 미래상담복지대학원 신학과 학과장

   2024년 2월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이 폐교하였습니다. 이미 2020년부터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과 MOU를 맺었기에 우리 교구 신학생들이 대구 신학교로 이동하였고, 부산 신학교가 있던 자리에는 사제 양성을 목표로 하지 않는 ‘대학원 신학과’가 설립되었습니다. 2025년 현재 이 대학원 신학과는 3기까지 졸업생 10여 명을 배출하였고, 현재 8명의 평신도 신학도들이 신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 신학과에서 평신도들이 신학을 배우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고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사목자가 부족하기에 그 공백을 메우고자 평신도들이 준비해야 한다고 답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평신도는 성직자 부족을 메우기 위한 대체재가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평신도는 성직자나 수도자처럼 온전한 그리스도인이고 또 교회의 완전한 구성원인 하느님 백성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이 하느님에 관해, 교회에 관해, 신앙에 관해 의문을 지니고 또 그 의문에 관해 연구하는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고 말해야 하겠습니다. 오늘날 ‘성직자(수도자)는 잘 알고, 평신도는 모른다’는 말은 통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세속의 전문 분야는 이미 평신도들이 더욱 앞서가기 때문입니다. 이런 전문가들이 교회의 신앙에 관해 연구하지 않는 것 혹은 연구할 수 없다는 것은 여전히 우리 교회가 ‘성직주의적’ 현실에 있다는 것의 반증일 것입니다.

   오늘날 평신도의 수준이 많이 향상되었다고 말합니다. 유튜브의 수많은 클립은 종교적 지식을 향상시켜, ‘듣는 귀’가 고급스러워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계속 이어져오는 관행과 관념을 통하여 신앙의 이해를 이어가려 합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통하여 자신만의 신념을 쌓아가는 것은 ‘신앙적’이지도 않고, ‘신학적’이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방법으로 ‘전통적’인 신앙을 배우고 이해하며 살아가는 것이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요구됩니다.

   우리 교구는 이미 ‘신학원’의 운영을 통하여 평신도가 신학을 공부하고 성장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는 평신도가 신학적으로 성장하여 교회에 여러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 ‘의견의 은사’(dono di consiglio)를 구체화하는 자리가 되길 희망합니다. 100여 년 전인 1922년에 로마노 과르디니(Romano Guardini)는 『교회의 의미』(Il senso della Chiesa)라는 책에서 “영혼들 안에 교회의 일깨움”(Risveglio delle Chiesa nell’anime)을 강조하였는데, 이 대학원 신학과를 통해 믿는 이들에게 교회가 일깨워지면 좋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896호 2025. 11. 2  영혼들 안에 교회의 일깨움 윤정현 신부  4
401 2895호 2025. 10. 26  가톨릭 정신을 바탕에 둔 창의 인재 양성 <대양고등학교> file 가톨릭부산  8
400 2894호 2025. 10. 19  하느님께 칭찬 받는 또 하나의 길, 부산가톨릭대학교와 함께! 원성현 스테파노  20
399 2890호 2025. 9. 28  [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새로운 사태』의 재조명과 우리 시대 정의평화위원회  13
398 2886호 2025. 8. 31  2025 천주교부산교구 청소년·청년 신앙생활이 담긴 숏폼 영상 공모전 file 평신도사도직협의회  22
397 2881호 2025. 8. 3  “하느님께 영광, 사람들의 성화” 임석수 신부  20
396 2880호 2025. 7. 27  제2회 청소년·청년문학상 심사평 이정숙 에스텔  50
395 2879호 2025. 7. 20  순례의 길에서 나를 찾고 당신을 찾다 file 김덕헌 신부  83
394 2876호 2025. 6. 29  김범우순교자성지 박혁 신부  96
393 2875호 2025. 6. 22  대양고등학교 현장에서 피어나는 복음의 불빛 이양수 엘리사벳  47
392 2872호 2025. 6. 1.  오륜대 순교자 성지 교구 역사관 건립을 앞두고 손삼석 주교  43
391 2870호 2025. 5. 18.  레오 14세 교황 약력 file 가톨릭부산  95
390 2868호 2025. 5. 4.  발달장애인선교회 모임을 소개합니다! file 발달장애인선교회  49
389 2867호 2025. 4. 27.  [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 진단, 우리 사회의 극우화 정의평화위원회  38
388 2864호 2025. 4. 6.  제2회 청소년·청년문학상 문예 작품 공모전 부산가톨릭문인협회  55
387 2860호 2025. 3. 9  Alter Christus 복음적 사랑의 실천-부산 교구민과 함께 발전한 메리놀병원 75주년이 되다 김두진 신부  36
386 2859호 2025. 3. 2  부산가톨릭농아인선교회 ‘즐거움의 원천 쁘레시디움’ 2,000차 주회를 맞이하며 file 가톨릭부산  87
385 2858호 2025. 2. 23.  6R 탄소단식 숏츠 대회 file 가톨릭부산  31
384 2856호 2025. 2. 9.  똑똑!! 음악교육원이지요? 임석수 신부  30
383 2855호 2025. 2. 2  2년 동안 너무나 행복했던 신학원 생활들 김숙희 카타리나  2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