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음악(전례음악) 악보 자료실

알쿠인(Alcuin, Flaccus)"Musica"와 그 번역

 

1장 서론

본 연구는 8세기 후반에 활약한 음악이론가인 알쿠인(Alcuin Flaccus, 혹은 Alchuinus, 혹은 Alcvin, 스스로는 Albinus라 칭함, *735-+804)의 라틴어 저작 무지카(Musica)를 살펴보고 이 이론서의 역사적 자리매김과 더불어 처음으로 우리말 번역을 시도하며, 이에 따른 중세 음악이론에 있어 단어 해석의 문제점을 다루려 한다.

 

1.1 Musica의 음악사적 자리매김

그는 음악이론사상 처음으로 그리스 음악체계가 아닌 서유럽의 전통적인 교회선법에 관하여 글을 남긴 이론가이다. 알쿠인 이전의 알려진 이론가로는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Aurelius *354-+430) [: 출생연도는 *, 사망연도는 +로 표기하였다.], 마르티아누스 카펠라(Martianus Capella 4세기말), 보에티우스(Boethius, Ancius Manlius Torquatus Severinus *480-+524), 카시도르(Cassidor, 485?-+580), 이시도르(Isidor from Sevilla +804) 등이 있으나, 이들은 교회음악 전반에 관한 개념적이고 철학적인 글을 남겼거나(아우구스티누스), 음악을 무지카 문다나(Musica Mundana), 무지카 후마나(Musica Humana), 무지카 인스트루멘탈리스(Musica Instrumentalis)로 나누어 천체음악을 논하고 모노코드(Monochord)상의 음정관계와 테트라코드(Tetrachord)를 설명하거나(보에티우스), 그리스 음 체계를 설명하고(예를 들면 도리안 선법이 후의 교회선법과 달리 D가 아닌 E부터 시작 한다), 음악을 무지카 하르모니카(Musica harmonica), 무지카 리트미카(Musica rhythmica), 무지카 메트리카(Musica metrica)로 나누어 개념설명에 그치거나(카시도르), 고대 신화에서의 음악의 위치와 다른 예술과의 관계, 인간에게 미치는 음악의 영향, 음악의 개념과 이론 등을 설명하거나(마르티아누스 카펠라), 인간의 음성은 복스(Vox), 그 밖의 소리는 소니투스(Sonitus)로 규정짓고 하르모니아(Harmonia)와 심포니아(Symphonia)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것으로(이시도르) 그치고 말았다.

 

1.2 알쿠인의 저작

비교적 짧은 알쿠인의 Musica는 마르틴 게르베르트(Martin Gerbert *1720-+1793)의 라틴음악이론 모음집(GS, 1:26-27.)에 처음 소개되었다. 브람바흐(Brambach 1883)에 의해 알쿠인의 진본임이 밝혀진 이후, 독일 교회음악학자인 코른뮐러(Kornmueller 1886)에 의해 중요한 부분적인 내용이 소개되었고, 이 후의 대부분의 사전(, 개정6Grove 음악사전은 제외: 이 사전에서 알쿠인 항목을 쓴 로렌스 거쉬(Lawrence Gushee)는 브람바흐의 연구를 배제하고 Musica의 진본성을 의심하였다.)은 이 두 학자의 연구를 바탕하여 알쿠인을 소개하였다.

알쿠인의 또 다른 이론서 '시편의 사용에 관한 책'(De Psalmorum Usu Liber)Patrologia latina (Band 101, 465ff)에 처음 소개되었고 루마니아의 음악학자 마르가레타 란트베어 폰 프라게나우(Margaretha Landwehr von Pragenau, 1986.)여사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에서 알쿠인은 시편을 사용하는 아홉 가지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데, 음악적인 사용은 전혀 언급이 없이 다만 인생의 도정에서 어떤 경우에 무슨 시편이 도움이 되며, 어떤 마음으로 시편을 대할 것인가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다.

알쿠인은 위의 두 저작 외에 많은 신학적인 저서(교리학, 예전학 등등)들과 교육적인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문법, 수사학 등등), 그리고 우화와 찬양 시, 수많은 편지(카알 대제와의 편지를 포함)등을 남겼다. 처음으로 불완전하지만 알쿠인의 전집 출판을 시도한 사람은 앙드레 드 체스네(Andre du Chesne' 1617)였고, 이를 보강하여 포르스터(Forster, Frobenius, 1778)가 전집을 출간하였다. 한편 알쿠인의 편지는 뒤믈러(Duemmler)가 편집한 모누멘타 게르마니애 히스토리카(MGH)에 실려 있다.

 

1.3 알쿠인의 삶

알쿠인의 삶에 대해서는 로렌츠가 서술한 '알쿠인의 삶'(F. Lorenz 1829)에 자세히 나오고, 그 외의 독일어로 된 MGG 사전에도 비교적 자세히 서술되어 있지만, 일반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영문사전과 서적에서는 내용이 빈약하거나 너무 오래되어 구하기 힘든 서적들이기에(: West, 1892, Browne, 1908, Wilmot-Buxton, 1922) 본 연구에서 간략하게 소개한다.

 

알쿠인은 대략 주후 735년 영국의 요오크 지방에서 태어나서 주후 804519일 투우르스(Tours) 근교에서 사망하였다. 알쿠인은 귀족집안에서 태어나 요오크의 대주교 에그베르트(Egbert, 732-66 근무)와 앨베르트(Aelbert, 766-80 근무)에게 사사하였다. 그가 다녔던 요오크 수도원학교는 캔터베리, 재로우, 말메스버리, 웨어마우스 등의 학교와 더불어 영국의 중요한 수도원학교 중 하나였다. 760년 처음으로 그의 스승 앨베르트와 함께 로마여행을 마친후, 엘자스에 위치한 무르바흐 수도원을 방문하고 알쿠인은 부제(副祭)로 부름 받았으며, 곧 이어 요오크 도서관의 사서가 되었다. 766년 에그베르트의 서거와 함께 앨베르트가 직위를 이어 받자 알쿠인은 그 곳 수도원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781년 그의 친구 요오크 대주교 에안발트 I(Eanbald, 780-96 근무)의 부탁으로 견의를 가져오기 위해 두 번째로 로마방문에서 돌아오는 길에 파르마에서 카알 대제를 만난다. 카알 대제는 알쿠인의 능력을 알아보고 먼저 왕립 궁중학교의 책임자 자리를 맡기고, 곧 이어 전 프랭크 지역의 교육 전반에 관한 개혁 책임자에 임명한다. 그 후에 마아스트리흐트에 있는 성 세르바티우스 베네딕트 수도원의 운영과 페리에레스의 성 이우푸스 수도원, 796년 부터는 투우르스의 성 마르티누스 수도원의 운영을 임명 받는다. 투우르스 수도원 학교에서 알쿠인은 요오크와 로마에 있는 서적을 복제하여 학교 도서관에 비치하도록 명하는 등, 학교 발전에 이바지한다. 카알 대제의 명에 따라 790-93년에 메르시엔의 왕 오파와 외교상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영국령을 마지막으로 밟게 된다. 794년 프랑크푸르트의 종교회의에서 당시 스페인으로부터 번지고 있었던 '입양론'을 연설과 글을 통해 훌륭하게 막아내고, 799년부터 마지막까지 투우르스에 완전히 정착하여 카알 대제의 오른손이 되어 모든 교회와 교육문제에 있어 훌륭한 동반자와 보좌관이 되었다. 카알 대제는 그를 친구로써, 또한 후견인으로 대단히 아끼었다고 한다.

 

 

2장 본론

 

2.1 Musica의 여러 단어 해석의 문제

Musica는 총 250여개의 단어로 구성된 비교적 단순하고 짧은 이론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을 번역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은 틀린 단어(:quatuor-quattuor)와 내용을 강조하기위하여 자주 등장하지만 오역의 여지를 두고 있는 단어(:autem), 앞뒤의 연관성을 분명히 밝히지 않은 단어(: 다시 한번 quatuor-quattuor), 어미변화가 확실하지 않은 단어(:pressior), 느닷없이 등장하는 단어(:superiorum)등 뿐아니라,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전혀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들이 매우 자주 등장한다는 것이다. 우리말에서 '소리', 혹은 ''으로 번역될 수 있는 Tonus, Sonus, Vocis와 함께, '노래' 혹은 '선율'이라고 번역될 수 있는 cantilena, modulatio등이 이에 속한다.

라틴어로 쓰인 음악이론서를 자주 대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런 단어들의 올바른 해석과 번역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중세음악의 이론서 중 그 제목이 'Tonar' 혹은 'Tonarius'로 되어 있는 것은 예외 없이 모두 시편 송가와 안티폰, 이에 따르는 Differentia(et saecula saeculorum Amen, 다른 말로는 각 음절의 모음만을 본 따 euouae)에 관하여 기술한 것임을 아는 사람은 Tonus라는 단어가 때로는 '교회선법'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쉬울 것이다. 알쿠인의 Musica의 첫 소절은 "Octo tonos in Musica"로 시작한다. 이를 '음악에 있어서 여덟 개의 음들은'라고 번역한다면 "eo modo et sonorum tonorumque linea omnis cantilena modulatur." 라는 글은 거의 번역이 불가능하다. Musica 전체 내용을 전후 연계성을 고려하여 살펴보면 Tonus'교회선법'으로 번역함이 옳다. 또한 Sonus'음들' 혹은 '노래', Vocis성부로 번역함이 옳다.

알쿠인이 교회선법을 정의할 때 사용한 디퍼런치아(differentia)와 쿠안티타스(quantitas)는 각각 여러 종류장단으로 번역하였다. 디퍼런치아(differentia)는 위에서 설명한 음악적 구성요소인 에우오우아에(euouae=saeculorum Amen)의 의미는 전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구별혹은 구별함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겠으나 여기에선 여러 선법을 뜻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 여러가지의 것의 의미로 번역되었다.

이미 토누스(Tonus)에 관한 정의로써 디퍼런치아와 쿠안티타스를 사용한 것은 카시도르 [: Tonus est totius constitutionis harmonicae differentia et quantitas, quae in vocis accentu, sive tenore consistit.(Gerbert Scriptores, vol. I, 17) ] 와 이시도르 [: Tonus est acuta enuntiatio vocis; est enim harmoniae differentia, et quantitas, quae in vocis accentu vel tenore consistit;....(Gerbert Scriptores, vol. I, 21)] 이지만, 그들은 이 단어들을 교회선법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 그리스의 음 체계를 설명할 때 사용하였다. 알쿠인은 카시도르의 정의를 그대로 자신의 글에 인용함으로써 그가 카시도르의 저서를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교회선법에 관한 설명에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독창성을 증명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인용은 한편으로는 서유럽의 교회선법이 그리스의 음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한 것이라는 사실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Cantilena의 의미는 '이미 알려진 오래된 노래'Musica에서는 찬가로 번역되었다. Modo선법'이 아니라 방법으로 번역되었다.

알쿠인의 교회선법 설명 자체가 이미 상당히 불안정하기 때문에 그 번역 역시 불안정하게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으나, 이를 토대로 하여 그동안 일반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중세 음악이론이 다시 한번 조명을 받게 되기 바란다.

 

2.2 원문 번역

 

라틴어 원문

 

Flacci Alcuini, seu Albini musica.

 

Octo tonos in Musica consistere musicus scire debet, per quos omnis modulatio quasi quodam glutino sibi adhaerere videtur.

Tonus est minima pars musicae regulae. Tamen sicut minima pars Grammaticae littera, sic minima pars Arithmeticae unitas: et quomodo litteris oratio, unitatibus acervus multiplicatus numerorum surgit, et erigitur eo modo et sonorum tonorumque linea omnis cantilena modulatur.

 

Definitur autem ita: Tonus est totius constitutionis harmonicae differentia et quantitas, quae in vocis accentu sive tenore consistit.

Nomina autem eorum apud nos usitata, ex auctoritate atque ordine sumpsere principia: nam quatuor eorum authentici vocantur.

Ad principium eorum sonus refertur, eoquod aliis quatuor quidam ducatus et magisterium ab eis praebeatur. Unde et primi altiores, secundi inferiores.

Authenticum [authentikon] graeca lingua auctorem sive magistrum dicimus: unde et libros antiquissimos atque firmos authenticos vocamus: utpote qui pro sui firmitate aliis possunt auctoritatem magisteriumque praebere.

Primus autem protus [protos] vocatur, id est, primus (scilicet tonus).

Secundus autem deuterus [deuteros]. Deuteros autem eadem graeca lingua secundarius sive recapitulatio vocatur.

Unde et Deuteromium lex secunda, vel legis recapitulatio vocatur.

Tertius tritus [tritos] dicitur, qui similiter, eo quod sit tertius in ordine, triti nuncupatur nomine.

Quartus Tetrachius eodem, quo caeteri, modo ab ordine suum vocabulum sumpsit; quia videlicet quartum principatus locum obtinet: tetra enim graeci quatuor dicunt.

 

Plagii ([plagioi] obliqui, seu laterales) autem coniuncte dicuntur omnes quatuor.

Quod nomen significare dicitur pars sive inferiores eorum: quia videlicet quatuor quaedam partes sunt eorum, dum ab eis ex toto non recedunt; et inferiores, quia sonus eorum pressior est, quam superiorum.

원문 끝.

 

번역문

 

플라쿠스 알쿠인(Flaccus Alcuin), 혹은 알비니(Albini)의 무지카(musica).

음악의 여덟 교회선법은 음악가가 꼭 알아야 하는 것으로, 모든 선율(modulatio)이 마치 접착제로 붙인 것 같이 나타난다.

 

교회선법은 음악 법칙의 가장 작은 부분이다. 그러면서 또한 이것은 문법상의 가장 작은 철자이며, 산술 요소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마치 연설이 철자가 여러 번 더하여져서 하나의 연합이 되어서 이루어지듯이 이러한 방법(modo)으로 노래(sonorum)와 교회선법(tonorumque)에 비례하여 모든 찬가(cantilena)를 연주한다.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교회선법은 모든 어울리는 구성의 여러 종류(differentia)와 장단(quantitas)으로써, 성부의 집합 안에, 악센트 혹은 테너(tenor)를 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늘 사용하여 온 이것들의 이름들은 권위와 질서의 원칙에서 나온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 가운데 네 선법이 정격선법이라 불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노래의 원천에 의거하면, 이들(정격선법)은 다른 네개(선법)에 대해 어떤 면에서 주인과 인도자의 역할을 한다. 첫째는 높은 것이고, 둘째는 밑에 놓이는 것이다.

정격(선법, Authenticus, authentikon)에 대하여 그리스 저자나 규범은 일컫기를: 가장 오래전부터 지켜오고 또한 강한 것을 정격이라 하듯이, 즉 그의 안정성이 영향력 있는 주인을 보여주는 것과 같다.

 

첫 번째 것은 프로투스(protus) 라고 하고, 이 것이 첫째 (교회)선법이다.

두 번째 것은 데우터루스(Deuterus) 이다.

데우터로스(Deuteros)는 그리스어로 '두 번째 것' 혹은 '요약'이라 한다.

데우터루스(Deuterus)는 두 번째 법칙이며, 또한 요약의 법칙이다.

세 번째 것은 트리투스(Tritus) 라 하며, 마찬가지로, 셋째 자리에 있으며, 세 번째 명칭이다.

네 번째 것은 테트라키우스(Tetrachius) 이고,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이름의 순서가 정하는 바와 같이; 분명히 네 번째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테트라(tetra)는 그리스어로 네 번째라는 뜻이다.

변격(선법)은 이미 설명한 모든 네개(교회선법)와 연계되어 있다.

그의 이름이 말해주듯이 이것은 '부분'이거나 혹은 '밑에 있는 것'이다: 이것이 네개(선법)의 부분이면서 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노래는, 높은 것과는 달리, 밑으로(밑의 음역으로)눌려지게 된다.

 

번역문 끝.

 

3장 결론

알쿠인의 무지카(Musica)8세기 후반에 서유럽이 완전히 옛 그리스의 음 체계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교회선법을 구축하고, 이에 따른 이론적인 바탕도 어느 정도 확립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알쿠인 이 후의 이론가 중에서 주후 약 1000년에 살았던 오도(Abbat Oddo) 이 후의 사람들은 8개의 선법을 두개씩 짝지어 명명하지 않고 따로따로 프리무스(Primus=1.), 세쿤두스(Secundus=2.), 테르티우스(Tertius=3.), 쿠아르투스(Quartus=4.), 쿠인투스(Quintus=5.), 섹스투스(Sextus=6.), 셉티무스(Septimus=7.), 옥타부스(Octavus=8.) 등의 라틴어로 명명하거나 도리우스(Dorius), 프리기우스(Phrygius)등의 그리스 종족이름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알쿠인은 우선 교회선법을 크게 네 개의 쌍으로 나누고 그 이름을 그리스 용어인 프로투스(Protus), 데우터루스(Deuterus), 트리투스(Tritus), 테트라키우스(Tetrachius)로 각각 명명하고 도리우스(Dorius), 프리기우스(Phrygius)등의 이름은 사용하지 않았다. 다만 정격선법과 변격선법이 존재함과 이에 따른 음역에 관하여 서술 할 뿐이다. 초기의 이론가 중에서 알쿠인 식의 명명방식을 사용한 사람은 레기노 프루미엔시스(Regino Prumiensis 9세기) 정도이다.

이러한 사실은 서유럽의 교회선법이 그 이론적인 바탕을 그리스의 음 체계에 두고 있었고, 후에 점점 라틴화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의 교회선법 설명에서 선법내의 테너(Tenor)의 위치가 이미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는 있지만 테너에 관해 알쿠인은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교회선법은 모든 어울리는 구성의 여러 종류(differentia)와 장단(quantitas)으로써, 성부의 집합 안에, 악센트 혹은 테너(tenor)를 배치하는 것이다."

각 선법의 무슨 음이 피날리스(Finalis)인지에 관해서는 언급이 없다. 왜냐하면 교회선법에서는 한 쌍의 선법 중 정격선법의 제일 낮은 음을 기본음인 피날리스로 규정하는 것에 반해 [: 예를 들어 교회선법 Protus에서는 정격, 변격선법 모두가 DFinalis로 하고 있으나, 그리스의 옥타브선법에서는 Dorius, Hyperdorius, Hypodorius가 모두 a를 기본음인 Mese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스의 음 체계에서는 중간음(Mese)를 기본음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날리스에 대한 설명이 없다는 사실은 알쿠인의 교회선법이 얼마만큼 그리스의 음 체계로부터 독립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스의 음 체계에서 보이지 않던 테너를 언급함으로써, 알쿠인의 이론은 그리스의 음 체계가 아닌 서유럽의 교회선법을 논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알쿠인이 영국 출신으로 로마와 독일에서 활약한 점을 보아, 특히 교육부분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아, 그의 교회선법 이론은 이 시대에 이미 서유럽 전체가 향유하였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의 끝에 사각괄호 안의 것은 약어(略語)를 의미함]

 

(사전류)

Blume, Friedrich. 1949-1986.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Kassel [MGG]

Finscher, Ludwig. 1994-현재.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Zweite, neubearbeitete Ausgabe. Kassel. [MGG]

Sadie, Stanley. 1980.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 6th Edition. London. [Grove]

 

(문헌)

Duemmler, 1881-현재. Monumenta Germanie historica. [MGH]

Coussemaker, CH.H.E. de. 1864-1876. Scriptores de musica sacra potissimum, 3 Bd. Paris. [CS]

Gerbert, Martin. Scriptores ecclesiastici de musica sacra potissimum, 3 vols. (St. Blaise: Typis San-Blasianis, 1784; reprint ed., Hildesheim: Olms, 1963) [GS]

Migne, J. P. Patrologia cursus completus, series latina, 221 vols. (Paris: Garnier, 1844-1904) [Patrologia Latina]

 

(연구서)

Appel, Margarete. 1935. Terminologie in den mittelalterlichen Musiktraktaten. Bottrop

Brambach, W. 1883, 1888. "Die Musikliteratur des Mittelalters bis der Bluete der Reichenauer Saengerschule" Mitteilungen aus der Bibliothek zu Karlsruhe. Heft 4 (1883), Heft 8 (1888). Karlsruhe.

Browne, G. 1908. Alcuin of York. London.

Chesne, Andre du. 1617. Alchuini abbatis opera omnia, Paris.

Eggebrecht, Hans Heinrich. 1955 Studien zur musikalischen Terminologie. Wiesbaden.

Forster, Frobenius, 1777-78, Beati Flacci Albini seu Alcuini opera 2 Bd., Regensburg.

Gysin, Hans Peter. 1958. Studien zum Vokabular der Musiktherorie im Mittelalter. Basel.

Kornmueller, P. Utto. 1886. "Die alten Musiktheoretiker" Kirchenmusikalisches Jahrbuch. Regensburg.

Landwehr v. Pragenau, Margaretha. 1986 Schriften zur ARS MUSICA. Heinrichshofen.

Waeltner, Ernst Ludwig. 1960 Die Methode terminologischer Untersuchungen fruemittelalterlicher Musiktraktate. Heidelberg.

Waesberghe, Joseph Smits van. 1972 "Studien ueber das Lesen (pronuntiare), das Zitieren und ueber die Herausgabe lateinischer musiktheoretischer Traktate (9. - 16 Jahrhundert)". Archiv fuer Musikwissenschaft. Wiesbaden.

West, A Fleming. 1892. Alcuin. New York.

Wilmot-Buxton, E. M. 1922. Alcuin. London.

Zaminer, Frieder. 1985-현재. Geschichte der Musiktheorie in 15 Bde. Darmstad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 (임석수 생활성가) 그 길 file YULIA 2018.10.01 535
206 성금요일 - 보라 십자나무 file 김은정 2022.03.03 335
205 2022년 부산교구 사제 및 부제 서품미사 안내 file 김은정 2022.11.22 301
204 사제 은경축가 file YULIA 2018.10.08 280
» 알쿠인의 'Musica'와 그 번역 -교회선법(용어) file YULIA 2018.10.08 258
202 오르간 - Helsingor : St.Olai Domkirke file YULIA 2018.10.08 239
201 2015년 사제 및 부제서품미사 안내 및 악보 file YULIA 2018.10.08 216
200 2017년 부제 및 사제서품미사 성가안내 file YULIA 2018.10.08 215
199 [성주간 전례성가] 2024년 성주간 전례성가 - 임석수 신부 김은정 2024.01.03 210
198 성모송(Ave Maria) file YULIA 2018.10.08 203
197 성금요일 - 비탄의 노래 1 file 김은정 2022.03.03 193
196 (청소년 미사곡) 하느님의 어린 양 file YULIA 2018.10.01 183
195 파스카 찬송 짧은 노래 file 김은정 2022.03.03 179
194 성주간-서간 후 화답송- 장엄 알렐루야 file YULIA 2018.10.08 153
193 (임석수 기타) 소공동체의 노래 file YULIA 2018.10.01 143
192 파스카 찬송 긴 노래 file 김은정 2022.03.03 140
191 바뀐 기도문에 따른 부활대축일 부속가 file YULIA 2018.10.08 140
190 (청소년 미사곡) 마침영광송과 아멘 file YULIA 2018.10.01 140
189 2016년 부제 및 사제서품미사 성가안내 file YULIA 2018.10.08 135
188 (임석수 생활성가) 가난함을 주소서 file YULIA 2018.10.01 1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