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825호 2024. 8. 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성당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8.07 96
69 ‘축복’과 ‘축성’은 어떻게 다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31 490
68 ‘축복’과 ‘강복’은 어떻게 다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24 1060
67 미사에 늦었을 때 어디부터 참여해야 영성체를 할 수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17 190
66 성모상 등 성인들의 성화상 앞에서 절을 하거나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맞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10 218
65 ‘토요특전미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7.02 527
64 어린이 미사에 어른이 참례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26 284
63 삼종기도를 바치는 자세는 무엇인가요? 기도 중에 고개를 숙여 절해야 하나요? 가톨릭부산 2024.06.19 369
62 미사에 이어 삼종기도를 바치는 것이 맞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12 223
61 미사 시간과 시간전례 시간이 ‘겹칠 때’는 어떻게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6.05 81
60 마침예식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마침예식을 생략할 수도 있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29 110
59 미사를 거행할 때 ‘영성체 후 기도’와 ‘공지 사항’ 중 어느 것을 먼저 해야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21 149
58 성령 강림 대축일 미사의 파견하는 말에 “알렐루야, 알렐루야.”를 덧붙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16 71
57 첫영성체를 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 ‘성체 대신에’ 다른 것을 나누어 주어도 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08 102
56 성체를 ‘성직자에게 받아서’ 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5.02 112
55 손으로 영성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24 466
54 ‘손으로 하는 영성체’의 근거와 주의할 점을 알려주세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17 425
53 평화의 인사는 어떤 의미로 어떻게 인사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11 108
52 거양성체 때 성체를 바라보아야 하나요, 아니면 고개를 숙이고 있어야 하나요? file 가톨릭부산 2024.04.03 265
51 성금요일과 성토요일에는 고해성사를 볼 수 없나요? 가톨릭부산 2024.03.27 314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