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한 송이조차

가톨릭부산 2015.11.06 05:30 조회 수 : 65

호수 2346호 2015.09.20 
글쓴이 윤미순 데레사 

꽃 한 송이조차

윤미순 데레사 / 수필가 jinyn5020@hanmail.net

새벽 2시이다. 주섬주섬 옷을 입고 장안사 근처에 있는 연꽃 밭으로 내달렸다. 연꽃이 새벽 서너 시 경이면 밤새 오므렸던 꽃봉오리를 터트리며 소리를 낸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캄캄한 밤의 연못은 또 다른 생명체들의 치열한 삶의 각축장이었다. 온갖 소리들로 도무지 연꽃이 소리를 낸들 구분할 수 있을까 하는 씁쓸함이 밀려왔다.

어떻게 하면 그 소릴 들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연꽃 밭 도랑 사이에 쭈그리고 앉았다. 그리고 그들과 하나가 되도록 숨을 죽이고 더욱더 그들 소리 안으로 들어가 보려고 노력했다. 하나하나의 소리에 귀를 모았다.

‘아, 이런 소리도 있구나… 너는 뭐지? 또 이 소리는? 너는 누구일까? 음… 너의 소리는 별로 이쁘지가 않구나. 너의 소리는 짧지만 꽤 또렷하구나.’그렇게 하나씩 친구가 되어 가고 있을 때였다. 신문에서는 연꽃이 피는 소리가“퍽”하고 난다고 했는데, 나의 귀에“푝!”하는 소리가 살짝살짝 들려왔다. 한 시간이 지나도록 들었던 소리 중 처음 듣는 소리였다. 대체로 풀벌레 소리들은‘쓰르르르~’처럼 뒤에 여운을 남겼다. 근데 이 소리는 아주 간단히‘푝’하는 소리로 끝났다. 하늘에 총총 떠 있던 별들이 서서히 빛을 잃어가며 새벽의 낮은 여명이 산등성이를 드러내 주고 있었다. 네 시를 지나며 그“푝!”소리는 더욱 잦아졌다. 

아! 연꽃의 심장이 터지는 듯한 소리가 이거였구나!

아, 태양의 뜨거움을 견디고 하루의 생명을 더 견디고자 꽃 한 송이조차 이렇게 노력을 하는구나. 

나는 힘들면 힘들다고 하느님께 마구마구 대든다. 저에게 어찌 이러십니까? 이런 말은 기본이다. 성체 앞에서 나의 이야기만 늘어놓는다. 그러다가 제풀에 제가 꺾이듯 풀 없이 돌아 나오며 던지듯 한마디 한다. 당신이 책임지라고. 

심장이 뜯기듯 신음을 토해내며 하느님의 뜨거움을 향하여 그 하루하루를 절실히 바랐던 적이 몇 번이나 되었었는가. 당신의 소리를 듣기 위하여 더 많은 소리에 집중해야 했다. 성인 성녀들과 순교자들을 통하여 얼마나 많은 소리를 들을 수 있었는가. 그분들의 삶이, 말씀으로도 모자라 피까지 흘리며 하느님을 증거했지 않는가. 말 못하는 식물조차 제게 주어진 생명을 하루라도 더 꽃피우고자 저렇게 심장 뜯기는 듯한 소리를 내며 절절한 묵상을 하고 있지 않은가.

하느님께선 나의 소리 하나하나에 저렇듯 귀를 기울이며 하루를 열어주신다는 것을 아는데 정작 나는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나의 자아가 이기심과 욕심으로 선함을 죽이고 있기 때문임을 다시 느낀다. 

아, 그분의 소리가 새벽을 깨웠구나.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