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필사가 주는 것

가톨릭부산 2015.11.06 05:26 조회 수 : 133

호수 2342호 2015.08.23 
글쓴이 박주영 첼레스티노 

성경 필사가 주는 것

박주영 첼레스티노 / 조선일보 부산취재본부 본부장 park21@chosun.com

‘읽기’와‘쓰기’는 달랐습니다.‘당연한 얘기’라고 하시면 뭐라 할 말은 없습니다. 하지만 머리로 아는 것과 몸으로 아는 것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최근 제 본당 레지오에서‘릴레이 성경 필사’를 했습니다. 저도 한 부분을 맡았지요.‘느헤미야기 3장’이었습니다. 정확히 기억이 나진 않는데 몇 년 전에도 필사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세월이 흘렀고, 제 나이도 더 먹었습니다. 예전엔‘에즈라기’였던 것 같기도 하고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그때는 일사천리로 필사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이번엔 그렇게 되지 않았습니다. 집에 있는 성경들 중 눈에 띄는‘해설판 공동번역 성서’를 필사했습니다. 집에서, 사무실서 짬짬이 시간 날 때 열심히 썼지요. 
‘느헤미야기’는 바빌론 유배에서 돌아와 허물어진 예루살렘 성벽을 중건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제가 맡은 3장은 느헤미야가 귀국해서 유다 백성들을 설득해 성벽을 쌓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사제, 예리고 사람, 기브온 사람, 미스바 사람, 드고아 사람, 대장장이, 향료 제조업자, 구역장, 금장이, 상인…. 요즘 말로 각계각층의 수많은 사람들이 나서 이 일을 했습니다.

이들 구절을‘쓰면서’“읽는 거랑 좀 다르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전에 그냥 읽기만 할 때는 ‘누가 어디까지 성벽을 쌓았다’는 반복되는 구절이 지겹게 느껴졌습니다. 대충 읽고 후다닥 지나쳤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쓰니까 생각이, 느낌이 먼저 달려가지 않았습니다.‘엥, 뭐 이리 직업이 많지’‘비슷한 구조의 문장이 반복되니 외우기 쉽겠다’는 등의 생각이 글자 위에 맴돌았습니다.

그렇게 다 쓰고 제 쁘레시디움에 냈습니다.“다른 단원들과 쓴 양식이 다르네요?”“으잉, 이럴 수가…”다시 써야 했습니다.‘대사제 엘야십은 동료 사제들을 거느리고…’

38절까지 모두 새로 썼습니다. 이번엔‘무너진 성을 쌓는 과정을 필사하도록 만드신 다른 이유가 있는 건 아닐까?’,‘느헤미야는 참 신중하고 성실한, 겸손하고 지혜로운 지도자인 듯 하네’ 등의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하늘에서 쏟아지는 비, 내리는 눈이 하늘로 되돌아가지 아니하고 땅을 흠뻑 적시어 싹이 돋아 자라게 하며…씨앗과 먹을 양식을 내주듯이 내 입에서 나가는 말도 그 받은 사명을 이루어 나의 뜻을 성취하지 아니하고는 그냥 나에게로 돌아오지는 않는다.”(이사 55, 10~11 참조) 

성경 필사를 하다 보면 이런 체험을 하게 될지 모릅니다. 구약이든, 복음서든 1~2장이라도 필사해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