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장갑 한 짝

가톨릭부산 2015.11.05 09:01 조회 수 : 130

호수 2215호 2013.05.12 
글쓴이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잃어버린 장갑 한 짝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 수필가, su303@hanmail.net

고요한 아침이 골짜기의 맑은 물소리와 뭇 새들의 지저귐으로 부산하다. 조용히 아침을 즐기던 장끼가 바로 눈앞에서, 갑자기 나타난 내방객의 발자국 소리에 놀라서 소리도 지르지 못하고 푸드덕 건너편 골짜기로 줄행랑을 놓는다. 나도 덩달아 놀라 한동안 망연하게 서 있는다. 아침 햇살에 연둣빛 숲이 황홀하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감상할 겨를이 없이 발밑을 뚫어지게 살피며 걷는다. 어제 오후, 산을 다 내려와서 보니 오른쪽 장갑이 없어졌다. 길이 꺾이는 길목 부근에서 전화를 받느라 벗었던 것 같은데 급히 내려오느라 떨어뜨린 모양이다. 오래 쓰던 것이라 짝을 잃은 한쪽이 외롭다 여겨진다. 뒤돌아 몇 걸음 오르다가 마음을 바꾸었다. 이미 날이 저문 데다 내일 아침 일찍 오면 쉽게 찾을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발길을 되돌렸던 것이다.

조금 전 떠오른 햇살을 등으로 받으면서 어제 내려온 길을 따라 오르며, 뚫어지게 여기저기를 살펴도 보이지 않는다. 길목에서 다시 돌아내려 오면서 자세히 살핀다. 눈은 발아래를 보지만 침묵 가운데 온갖 생각으로 범벅이 된다. 

문득 ‘간디의 신발 한 짝’이 떠올랐다. 벗겨진 신발 한 짝. 기차는 이미 달리고, 간디는 한 짝 신발마저 벗어서 떨어진 신발 쪽으로 던진다. “누군가 저 신발을 줍는다면 두 쪽이 다 있어야 신을 수 있을 것이 아닌가.” 의아해하는 동행인에게 한 말이다. 영국의 오랜 식민통치로 피폐해진 인도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젊은 시절 간디의 사랑이 담긴 한 일화이다. 몸에 배어 있는 철학이 없고 서는 쉽게 실천할 수 없는 일이다. 그는 인도의 성자라고 칭송받지 않는가?

그런데 이어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하심이 떠올랐다. 하나뿐인 생명을 기꺼이 내어놓는 사랑. 온갖 박해에도 의연하게 대처하시고 가장 버림받은 사람들의 힘이 되어주신 분. 미망의 늪에서 허덕이는 우리에게 생명의 말씀과 실천으로 우리를 감싸 안으신 분. 부활하고 승천하여 성령을 보내주시고 우리의 삶 속에 현존하시는 예수님. 

나는 잃어버린 한 짝의 장갑을 찾기 위해 눈을 부라리는데, 간디는 가진 반쪽마저 던져 주었고, 예수님은 온 인류의 죄를 다 감싸 안으면서 생명을 던지셨으니 나의 속됨을 자책해 본다. 

장갑은 찾지 못했지만 예수님의 참사랑을 느끼는 귀한 시간이 되었다. 아침 햇살을 받으면서 산을 내려가는 나의 발걸음은 가벼웠다. 햇살에 반사된 신록의 싱그러움이, 부활 시기를 보내는 이 아침에 더욱 생명으로 다가오고…….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