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답게 사는 길

가톨릭부산 2015.11.05 07:42 조회 수 : 22

호수 2201호 2013.02.03 
글쓴이 이동화 신부 

나답게 사는 길

이 동 화 타라쿠스 신부 / 노동사목 담당

빅터 플랭클은 유태인이자 심리학자였으며 정신과 의사였다. 그는 단지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3년 동안 나치의 수용소에 갇히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몸과 영혼이 어떻게 파괴되고 죽어 가는지를 생생하게 목격했고, 그 체험을 바탕으로 ‘죽음의 수용소에서’라는 책을 쓰게 되었다. 그에 의하면, 나치 수용소가 가족과 재산, 자유와 존엄 등 인간의 모든 것을 다 빼앗아 가버렸다. 하지만 인간이 참으로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은 외부적으로 빼앗기는 것들 때문이 아니라, 자기 깊숙한 곳에서 희망의 불꽃을 날려버리고 삶의 의미를 놓쳐버리기 때문이라 한다. 사람을 살리는 것은 바깥에서 주어지는 그 어떤 것들이 아니라, 자기 자신 안에서 발견하고 간직하는 것들 바로 희망, 죽음보다 강한 사랑, 그리고 삶의 의미이다.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희망의 불꽃, 죽음보다 강한 사랑,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란 자기 자신 가장 깊숙한 곳에서 가능한 일이다. 그것은 가장 깊은 차원의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그 모습대로 살아갈 때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그것은 창조의 시간에 하느님이 빚어준 자신의 살결을 회복하고, 하느님이 자신에게 불어넣어 주신 숨결로 살아갈 때 가능한 일이다. 진짜 ‘나’를 발견하고 진짜 ‘나’답게 사는 것이 바로 그 길이다. 

그럼에도 오늘날 많은 사람은 내가 누구인지를 남의 판단에 맡기며 살아간다. 하느님이 나에게 불어넣어 주시고 빚어주신 좋은 모습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찾으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통해서, 내가 소비하고 있는 것들을 통해서,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통해서 다른 사람이 내가 누구인지를 판단해주기를 기대하며 살아간다. 그래서 소비자본주의의 꽃이라 하는 광고의 미학은 서슴없이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을 말해줍니다”라고 말한다. 오늘날의 물질문명이 이렇게 우리의 눈과 마음을 흐리게 만드는 것이다. 

빅터 플랭클이 말하듯, 사람을 살리는 것은 희망과 사랑,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그것은 참된 나를 찾고 나답게 사는 길이다. 그리고 그것은 창조의 시간과 창조의 하느님을 바라볼 수 있을 때 가능한 일이다. 

물질문명이 꾸며주는 내가 아니라 진짜 나답게 살 수 있을 때, ‘너’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너’를 귀하게 여기고, ‘너’의 아픔을 ‘나’의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것이야말로 죽음보다 더 큰 사랑을 키우는 것이고, 그 사랑이 내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해주기도 한다. 그러니 참으로 사람을 살리는 것은 ‘나’답게 사는 것이고, ‘너’를 귀하게 여기는 것이며, 하느님의 숨결을 느끼는 일이다. 

참다운 생명은, 행복한 삶은 그렇게 ‘나답게 사는 것’에서 시작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201호 2013.02.03  나답게 사는 길 이동화 신부 
2200호 2013.01.27  당신의 하느님은 몇 번째 입니까? 탁은수 베드로 
2199호 2013.01.20  책 속에 길이 있다 하창식 프란치스코 
2198호 2013.01.13  하늘에서 진정 기뻐하는 것은 김기영 신부 
2197호 2013.01.06  우리 안에 하느님의 자리를 마련한다는 것은 김태균 신부 
2195호 2012.12.30  임진년을 보내며 박주영 첼레스티노 
2194호 2012.12.25  포기의 미덕 정재분 아가다 
2193호 2012.12.23  룸살롱 고해소 김기영 신부 
2192호 2012.12.16  사람은 어디에? 이동화 신부 
2191호 2012.12.09  영혼의 품질관리 김상진 요한 
2190호 2012.12.02  갈급한 마음으로 기다리며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2189호 2012.11.25  신앙인의 초심은 감사의 마음 김기영 신부 
2188호 2012.11.18  위령 성월, 한 청년 노동자의 삶을 돌아보며…… 김태균 신부 
2187호 2012.11.11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탁은수 베드로 
2186호 2012.11.04  아사 가오리! 하창식 프란치스코 
2185호 2012.10.28  할머니, 그래 봤자 이미 낚이신 것을 김기영 신부 
2184호 2012.10.21  이주노동자 노동상담 봉사를 하면서... 정여진 
2183호 2012.10.14  미사 중에 만난 그분 박주영 첼레스티노 
2182호 2012.10.07  아름다운 노래는 은총의 비가 되어 정재분 아가다 
2181호 2012.09.30  당신의 약함을 통해 그분이 드러나심을 김기영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