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답게 사는 길

가톨릭부산 2015.11.05 07:42 조회 수 : 22

호수 2201호 2013.02.03 
글쓴이 이동화 신부 

나답게 사는 길

이 동 화 타라쿠스 신부 / 노동사목 담당

빅터 플랭클은 유태인이자 심리학자였으며 정신과 의사였다. 그는 단지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3년 동안 나치의 수용소에 갇히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몸과 영혼이 어떻게 파괴되고 죽어 가는지를 생생하게 목격했고, 그 체험을 바탕으로 ‘죽음의 수용소에서’라는 책을 쓰게 되었다. 그에 의하면, 나치 수용소가 가족과 재산, 자유와 존엄 등 인간의 모든 것을 다 빼앗아 가버렸다. 하지만 인간이 참으로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은 외부적으로 빼앗기는 것들 때문이 아니라, 자기 깊숙한 곳에서 희망의 불꽃을 날려버리고 삶의 의미를 놓쳐버리기 때문이라 한다. 사람을 살리는 것은 바깥에서 주어지는 그 어떤 것들이 아니라, 자기 자신 안에서 발견하고 간직하는 것들 바로 희망, 죽음보다 강한 사랑, 그리고 삶의 의미이다.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희망의 불꽃, 죽음보다 강한 사랑,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란 자기 자신 가장 깊숙한 곳에서 가능한 일이다. 그것은 가장 깊은 차원의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그 모습대로 살아갈 때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그것은 창조의 시간에 하느님이 빚어준 자신의 살결을 회복하고, 하느님이 자신에게 불어넣어 주신 숨결로 살아갈 때 가능한 일이다. 진짜 ‘나’를 발견하고 진짜 ‘나’답게 사는 것이 바로 그 길이다. 

그럼에도 오늘날 많은 사람은 내가 누구인지를 남의 판단에 맡기며 살아간다. 하느님이 나에게 불어넣어 주시고 빚어주신 좋은 모습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찾으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통해서, 내가 소비하고 있는 것들을 통해서,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통해서 다른 사람이 내가 누구인지를 판단해주기를 기대하며 살아간다. 그래서 소비자본주의의 꽃이라 하는 광고의 미학은 서슴없이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을 말해줍니다”라고 말한다. 오늘날의 물질문명이 이렇게 우리의 눈과 마음을 흐리게 만드는 것이다. 

빅터 플랭클이 말하듯, 사람을 살리는 것은 희망과 사랑,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그것은 참된 나를 찾고 나답게 사는 길이다. 그리고 그것은 창조의 시간과 창조의 하느님을 바라볼 수 있을 때 가능한 일이다. 

물질문명이 꾸며주는 내가 아니라 진짜 나답게 살 수 있을 때, ‘너’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너’를 귀하게 여기고, ‘너’의 아픔을 ‘나’의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것이야말로 죽음보다 더 큰 사랑을 키우는 것이고, 그 사랑이 내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해주기도 한다. 그러니 참으로 사람을 살리는 것은 ‘나’답게 사는 것이고, ‘너’를 귀하게 여기는 것이며, 하느님의 숨결을 느끼는 일이다. 

참다운 생명은, 행복한 삶은 그렇게 ‘나답게 사는 것’에서 시작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2876호 2025. 6. 29  주님 사랑 글 잔치 김임순 안젤라 
2875호 2025. 6. 22  “당신은 내 빵의 밀알입니다.” 강은희 헬레나 
2874호 2025. 6. 15  할머니를 기다리던 어린아이처럼 박선정 헬레나 
2873호 2025. 6. 8  직반인의 삶 류영수 요셉 
2872호 2025. 6. 1.  P하지 말고, 죄다 R리자 원성현 스테파노 
2871호 2025. 5. 25.  함께하는 기쁨 이원용 신부 
2870호 2025. 5. 18.  사람이 왔다. 김도아 프란치스카 
2869호 2025. 5. 11.  성소의 완성 손한경 소벽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