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갈릴래아

가톨릭부산 2015.11.04 08:45 조회 수 : 33

호수 2169호 2012.07.15 
글쓴이 김기영 신부 

내 인생의 갈릴래아

김기영 신부(안드레아)

지난 6월 8(금)~10(일) 일본 가톨릭 교회에서는 ‘일본 26위 성인 시성 150주년 기념식’이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당시, 진리를 거부했던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모진 박해로 교토에서 나가사키에 이르기까지 800km에 달하는 십자가의 길을 맨발로 걸어갔던 신앙의 선조들은 1597년 2월 5일 순교의 월계관을 받는다. 
막부군의 서슬 퍼런 칼날과 창끝마저 불타는 사랑의 선혈로 녹이고, 천국을 향한 희망으로 박해하는 이들의 가슴마저 울렸던 위대한 신앙의 가치가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또한 그들의 신앙을 물려받은 우리는 무엇을 전해야만 하는지 새롭게 인식하고, 기도하는 시간이었다. 
9일 아침, 드디어 성 디에고 키사이의 오른팔 유해가 오카야마 성당 제대 앞에 안치되었다. 성인은 오카야마현 하가(芳賀) 출신의 예수회 수사로서 26위 성인 중 최연장자였다. 순교 이후, 유해는 신자들의 보호 아래 외국으로 보내어졌다. 그러다가 1993년 스페인 신학교로부터 귀국, 일본 26위 성인기념관에 안치되었다가 이번에 한시적으로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415년 만의 귀향이었다. 
기념미사는 그야말로 성대했다. 교황대사와 주교단, 사제단, 신자들이 모두 모여서 성인과 함께 떨리는 목소리로 하느님을 찬미했다. 미사 참례 중 내내 나를 창조하시고, 구원하시는 하느님을 이렇게 가슴 시리도록 찬미할 수 있다는 기쁨, 이것이야말로 신앙이 내린 가장 큰 선물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영성체 후, 주교님은 이날의 감동을 이렇게 나누어주셨다. “여기 성인께서 십자성호를 그으셨던 오른팔 유해가 우리 앞에 놓여있습니다. 이는 오늘날 우리 천주교 신자들이 긋는 십자성호가 과연 무슨 의미인지 무엇보다 가장 잘 드러내 주는 것입니다……” 이 말씀이 다시 한 번 나를 울렸고, 지금껏 타성에 젖어있던 내 기도를 깊은 회심으로 이끌어 주었다. 
올해, 교황님께서는 ‘신앙의 해’를 선포하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거룩함과 죄가 교차하는 헤아릴 수 없는 신비가 배인 우리 신앙의 역사를 되짚어 보는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주님을 따라나선 뒤에도 수없이 자행된 죄와 반성, 그리고 용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잘못과 배반으로 얼룩진 내 믿음을 깨끗이 닦아주시는 하느님의 자비 앞에 뜨거운 눈물을 흘리고 만다. 그 옛날, 갈릴래아에서 고기 잡던 제자들을 불러주셨던 그 목소리로 나를 불러주시는 주님. 이제 성인들의 전구 아래, 다시금 용기를 내어 내 신앙이 시작되었고 돌아가야 할 곳, 내 인생의 갈릴래아를 찾아 떠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