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들을 볼 때마다

가톨릭부산 2015.11.04 08:37 조회 수 : 32

호수 2162호 2012.05.27 
글쓴이 하창식 프란치스코 

외국인 유학생들을 볼 때마다

하창식 프란치스코 / 수필가, csha@pnu.edu

우리 주위에서 다문화 가족, 이주 노동자들을 만나는 것은 이제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생계유지를 위해 낯선 나라에서 고생하며 살아가는 젊은 외국인들의 수는 해가 갈수록 늘어갑니다. 좋은 고용주를 만나 행복한 직장 생활을 영위하는 젊은이들도 있겠지만, 악덕 고용주를 만나 인종차별로 고통받는 젊은 노동자 또한 적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을 고용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그들도 우리 이웃이란 생각으로 따뜻한 가슴으로 안아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떤 사정에서든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젊은이들에 대해 어느 때보다 더욱 큰 관심과 애정이 필요할 때입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 부산교구 이주 노동 사목 관계자 모든 분께 먼저 깊은 경의를 표하며 큰 박수를 보냅니다. 

요즈음 외국인 노동자들 못지않게 외국인 유학생들 또한 적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국력이 그만큼 신장한 덕분입니다. 가족의 품을 떠나 먼 이국땅에서 땀을 흘리는 노동자들에 비해서는 사정이 덜 절박하리라 생각하지만, 학비 및 생활비 마련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유학생들의 고통 또한 그에 못지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선진국의 경우, 대대적인 장학 지원 사업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을 도와주는 사례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종교단체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혜택을 받은 젊은이들이 학업 후 자신들의 고국에서 자리 잡게 되면 자신들에게 도움을 준 그 나라와 그 단체에 대해 평생 고마움을 간직하게 됩니다. 든든한 지원 군사들을 키우는 셈입니다.

특별히 가난한 나라들에서 유학 온 외국인 학생들을 볼 때마다, 우리 가톨릭교회가 교회 차원에서 그들을 위한 장학 지원 사업을 앞장서서 벌이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혜택을 받은 그들이 한국을 잊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언젠가는 우리 가톨릭교회의 든든한 선교사들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우리 부산교구 차원에서도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본격적인 장학 지원 사업이 이루어지면 좋겠다는 작은 소망을 해 봅니다.

“제자들이 말하는 것을 저마다 자기 지방 말로 듣고 어리둥절해하였다.”(사도 2, 6) 오늘 제1독서 말씀입니다. 말이 서로 다른 외국인 젊은이들 모두를, 성령 안에서 우리 친구로 만들고 가톨릭교회의 선교사로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성령강림 대축일이자 청소년 주일을 맞으며 한 번 생각해 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2876호 2025. 6. 29  주님 사랑 글 잔치 김임순 안젤라 
2875호 2025. 6. 22  “당신은 내 빵의 밀알입니다.” 강은희 헬레나 
2874호 2025. 6. 15  할머니를 기다리던 어린아이처럼 박선정 헬레나 
2873호 2025. 6. 8  직반인의 삶 류영수 요셉 
2872호 2025. 6. 1.  P하지 말고, 죄다 R리자 원성현 스테파노 
2871호 2025. 5. 25.  함께하는 기쁨 이원용 신부 
2870호 2025. 5. 18.  사람이 왔다. 김도아 프란치스카 
2869호 2025. 5. 11.  성소의 완성 손한경 소벽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