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주의 9일 기도

가톨릭부산 2015.11.02 15:52 조회 수 : 291

호수 2048호 2010.05.09 
글쓴이 하창식 프란치스코 

묵주의 9일 기도

하창식 프란치스코 / 부산대 교수 csha@pnu.edu

묵주기도의 모후이신 성모님을 생각한다. 정성을 다해 묵주기도를 바치는 주님 백성들에게 어김없이 하느님 은총을 분배하시는 성모님이시다. 내게도 성모님은 특별한 분이시다. 나를 성 교회로 부르신 그 날은 물론이고 지금 여기에서도 하느님 향한 삶이 흔들리지 않도록 나를 이끌어 주신다. 
성 교회에서 배운 기도 중에 묵주의 9일 기도를 나는 가장 즐겨 드린다. 간절히 은혜를 구하며 54일 동안 드리는 9일 기도만큼 아름다움과 힘, 그리고 은총이 넘쳐나는 기도가 또 있을까 싶어서다. 장미꽃 55 송이로 엮어 만든 꽃다발을 날마다 성모님의 발아래 드리며, 예수님의 삶과 죽음과 부활, 그리고 티 없으신 성심으로 평생을 하느님 뜻에 따라 사셨을 성모님의 삶을 생각하는 것 자체가 큰 위로이며 기쁨이다. 
9일 기도를 바칠 때마다 성모님의 도우심과 내 안에 살아 계신 하느님을 체험한다. 때로는 기도 중에 즉시, 때로는 기도를 바친 몇 년 후. 놀라운 은총이 아닐 수 없다. 성모님은 내 기도 안에서 하느님 뜻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신다. 간절한 내 기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처럼 여겨져 낙심할 때조차, 시간이 지나면서 ‘더 좋은 것을 주시려고 그랬구나.’ 하는 것을 깨닫게 될 때가 적지 않다. 
전 교구적으로 ‘잃어버린 양’들을 찾기 위해 애쓰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냉담 중인 교우들을 성 교회로 다시 돌아오게 하기가 생각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다. 성 교회를 잠시 떠난 그분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어루만지고 언 마음을 녹여, 성 교회로 다시 돌아오게 하는데 너그러우시고 자애로우신 우리 신앙의 어머니 성모님께 의탁하는 길, 그보다 더 확실한 방법이 또 있을까. 
잃으신 아들 예수님을 사흘 만에 성전에서 다시 찾으신 성모님이시다. 그런 분이시기에 잃어버린 양들을 찾기 위해 애쓰는 우리 마음을 충분히 헤아리실 것이다. 성모성월이다. 이번 성모성월엔 특별히, 냉담 중인 내 가족, 내 이웃이 성 교회로 돌아오도록 온 마음을 다해 묵주의 9일 기도를 바쳐야 할 것 같다. 우리의 정성을 성모님께서는 인자롭게 돌아보시고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을 청할 것이기 때문이다. 카나의 혼인잔치는 공생활을 시작하신 예수님의 첫 기적이 이루어진 무대이다. 물을 포도주로 바꾼 예수님의 첫 기적이 성모님의 전구로 이루어졌음을 묵상하며 기도한다. “천주의 성모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