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떠난 후

가톨릭부산 2015.11.02 11:57 조회 수 : 22

호수 2011호 2009.09.11 
글쓴이 탁은수 베드로 

한국의 상가(喪家)문화는 독특하다. 조문객들이 둘러 앉아 술도 마시고 빈자리 없이 왁자지껄 해야 장례를 제대로 치른 것처럼 생각한다. 최근 다녀온 상가 중의 한 곳도 그랬다. 이른 저녁부터 조문객이 가득 찼고 새벽까지 술잔이 이어졌다. 술기운이 번지면서 조문객들 끼리 이런 저런 시비가 오가기도 했다. 술기운에 눈동자가 흔들릴 때쯤 고인의 영정 앞에 술 한 잔 씩을 올렸고 그 즈음 중년의 남자들이 훌쩍거리기 시작했다. 훌쩍거림이 다른 조문객들에게 번지면서 누군가가 체면쯤이야 아랑 곳 없다는 듯 엉엉 울기 시작했다. 위로하던 조문객까지 울먹이면서 상가는 울음바다가 됐다. 평소 눈물을 참고 살아야하는 배 나온 중년 남자들이 한참을 꺼이꺼이 울고 나서야 슬픔을 거두고 고인과의 이별을 받아 들였다. 조문객들 끼리 시비를 다투던 오해도 눈 녹듯 사라졌다. 고인의 죽음을 통해 관계의 정리와 새로운 화해가 생긴 것이다. 

떠남과 이별이 새로운 화합으로 이어진 놀라운 장면이 올해 여러 번 있었다. 그 첫 번째는 고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이다. 스스로를 “바보야”라고 칭하시고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는 말씀을 남기신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은 자기 일에만 바빠 굳어진 국민들의 마음을 감동으로 열어 젖혔다. 길게 늘어선 추모객의 행렬은 그 자체로 놀라움이 됐고 추기경을 따라 장기기증이 잇따랐다. 가난한 사람의 친구로, 독재정권과 맞서 싸운 정신적 지도자로, 또 유머를 지닌 따뜻한 인간으로서의 김수환 추기경의 생애가 알려지면서 종교를 넘어 온 국민이 감동했다. 추기경이 남기신 사랑과 화해의 메시지는 얼어붙은 사람들의 마음을 열고 한국 가톨릭의 소중한 자산이 됐다. 이어서 노무현, 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의 서거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넘어 온 국민을 추모의 마음으로 하나가 되게 했다. 최근에는 젊고 예쁜 여배우가 죽음을 앞두고 영원한 사랑을 약속하며 올린 결혼식이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다. 하지만 이름 뿐 아니라 용서와 사랑의 씨앗을 남기는 위인도 많다.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고 인류 구원의 길을 내셨다. 테레사 수녀처럼 사랑의 모범을 후대에 남기신 성인들도 많다. 하지만 나 같은 보통사람은 후대에 전해질 희생과 사랑의 업적은 고사하고 남긴 이름이 부끄럽지 않을 까 걱정하고 산다. 꼭 죽음이 아니더라도 내가 떠난 곳곳의 자리에서 어떤 기억을 남기게 될 지도 궁금하다. 그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바란다면 욕심일까?

호수 제목 글쓴이
2017호 2009.10.18  명절 보고서 이명순 막달레나 
2016호 2009.10.11  가을 타는 남자 탁은수 베드로 
2015호 2009.10.04  군인주일을 맞으며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2013호 2009.09.27  어떤 결혼식 김 루시아 수녀 
2012호 2009.09.20  순교자 대축일을 맞아… 김종일 
2011호 2009.09.11  나 떠난 후 탁은수 베드로 
2010호 2009.09.06  노인 사목에 대해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2009호 2009.08.27  특별한 인연 김루시아 수녀 
2008호 2009.08.23  어떻게 할 것인가? 박주미 
2007호 2009.08.16  내비게이션 작동 중? 탁은수 베드로 
2005호 2009.08.09  안창마을 이야기 김양희 레지나 
2004호 2009.08.02  원주민(아이따스)들의 삶 file 김 루시아 수녀 
2003호 2009.07.26  교육과 종교에 가르침이 없다 김욱래 아우그스띠노 
2002호 2009.07.19  휴가 어디 가세요? 탁은수 베드로 
2001호 2009.07.12  그 분의 사랑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2000호 2009.07.05  신부님! 고맙습니다 김 루시아 수녀 
1999호 2009.06.28  복음화에 대한 짧은 생각 김종일 요한 
1998호 2009.06.21  꿈이 뭐니? 탁은수 베드로 
1997호 2009.06.14  OSJ(오순절 평화의 마을 중창단) 이야기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1996호 2009.06.07  삼손 아저씨! 김 루시아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