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떠난 후

가톨릭부산 2015.11.02 11:57 조회 수 : 22

호수 2011호 2009.09.11 
글쓴이 탁은수 베드로 

한국의 상가(喪家)문화는 독특하다. 조문객들이 둘러 앉아 술도 마시고 빈자리 없이 왁자지껄 해야 장례를 제대로 치른 것처럼 생각한다. 최근 다녀온 상가 중의 한 곳도 그랬다. 이른 저녁부터 조문객이 가득 찼고 새벽까지 술잔이 이어졌다. 술기운이 번지면서 조문객들 끼리 이런 저런 시비가 오가기도 했다. 술기운에 눈동자가 흔들릴 때쯤 고인의 영정 앞에 술 한 잔 씩을 올렸고 그 즈음 중년의 남자들이 훌쩍거리기 시작했다. 훌쩍거림이 다른 조문객들에게 번지면서 누군가가 체면쯤이야 아랑 곳 없다는 듯 엉엉 울기 시작했다. 위로하던 조문객까지 울먹이면서 상가는 울음바다가 됐다. 평소 눈물을 참고 살아야하는 배 나온 중년 남자들이 한참을 꺼이꺼이 울고 나서야 슬픔을 거두고 고인과의 이별을 받아 들였다. 조문객들 끼리 시비를 다투던 오해도 눈 녹듯 사라졌다. 고인의 죽음을 통해 관계의 정리와 새로운 화해가 생긴 것이다. 

떠남과 이별이 새로운 화합으로 이어진 놀라운 장면이 올해 여러 번 있었다. 그 첫 번째는 고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이다. 스스로를 “바보야”라고 칭하시고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는 말씀을 남기신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은 자기 일에만 바빠 굳어진 국민들의 마음을 감동으로 열어 젖혔다. 길게 늘어선 추모객의 행렬은 그 자체로 놀라움이 됐고 추기경을 따라 장기기증이 잇따랐다. 가난한 사람의 친구로, 독재정권과 맞서 싸운 정신적 지도자로, 또 유머를 지닌 따뜻한 인간으로서의 김수환 추기경의 생애가 알려지면서 종교를 넘어 온 국민이 감동했다. 추기경이 남기신 사랑과 화해의 메시지는 얼어붙은 사람들의 마음을 열고 한국 가톨릭의 소중한 자산이 됐다. 이어서 노무현, 김대중 두 전직 대통령의 서거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넘어 온 국민을 추모의 마음으로 하나가 되게 했다. 최근에는 젊고 예쁜 여배우가 죽음을 앞두고 영원한 사랑을 약속하며 올린 결혼식이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다. 하지만 이름 뿐 아니라 용서와 사랑의 씨앗을 남기는 위인도 많다.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고 인류 구원의 길을 내셨다. 테레사 수녀처럼 사랑의 모범을 후대에 남기신 성인들도 많다. 하지만 나 같은 보통사람은 후대에 전해질 희생과 사랑의 업적은 고사하고 남긴 이름이 부끄럽지 않을 까 걱정하고 산다. 꼭 죽음이 아니더라도 내가 떠난 곳곳의 자리에서 어떤 기억을 남기게 될 지도 궁금하다. 그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바란다면 욕심일까?

호수 제목 글쓴이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2876호 2025. 6. 29  주님 사랑 글 잔치 김임순 안젤라 
2875호 2025. 6. 22  “당신은 내 빵의 밀알입니다.” 강은희 헬레나 
2874호 2025. 6. 15  할머니를 기다리던 어린아이처럼 박선정 헬레나 
2873호 2025. 6. 8  직반인의 삶 류영수 요셉 
2872호 2025. 6. 1.  P하지 말고, 죄다 R리자 원성현 스테파노 
2871호 2025. 5. 25.  함께하는 기쁨 이원용 신부 
2870호 2025. 5. 18.  사람이 왔다. 김도아 프란치스카 
2869호 2025. 5. 11.  성소의 완성 손한경 소벽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