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1997호 2009.06.14 
글쓴이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오순절 평화의 마을에 그 곳 가족들로 구성된 OSJ라는 중창단이 있다. ‘오순절’ 매 음절에서 자음만 따서 표기한 이니셜이다. 말이 중창단이지 그들에게는 대중가요 한 곡을 ‘제창’하기조차 버겁다. 대부분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들은 많은 비장애인들에게 감동을 준다. 한 달 여 전에도 어느 콘서트 장에서 그들은 ‘꿈에 본 내 고향’과 ‘가슴 아프게’를 불렀다. 우정 출연을 한 것이다. 한국 최고의 휘파람 연주가도 와서 ‘휘파람을 불며’를 선보였는데, OSJ가 무대에 섰을 때는 정말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졌다. 그것은 단순히 손바닥이 마주치는 소리가 아니었다. 우리가 장애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가르쳐 주는 메시지였다고나 할까? 이들을 지도하는 L형제와 J 자매, 그리고 직원들의 헌신적인 뒷바라지가 눈물겹다. 

평화의 마을 가족 성당 성전에서 미사에 참례해 보자. 신부의 강론이 멋지다. 포커스가 장애 교우들에게 맞추어지기 때문에 알아듣기 쉽다. 그래서 그런지 부모와 같이 더러 찾아오는 어린이들의 얼굴도 편안하기만 하다. 촌철살인이란 말을 이럴 때 써도 될까? 아무튼 5분도 될까 말까 한 시간에 사제는 번뜩이는 복음을 전한다. 

게다가 말이다. 대부분이 OSJ 중창단원들인 그 곳 성가대원들의 성가가 거룩함을 더한다. 물론 그들은 음정이며 박자, 발성 등이 제대로 맞지 않다. 그런데도 그들의 합창(?)이 한없이 거룩하게 들리는 것이다. 인간 승리 아니 주님 승리를 귀로써 확인할 수 있는 현장이다. 우리는 더러 성가를 통해서 기도의 두 배 은총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을 한다. 성가를 부르는 것과 듣는 것, 어느 쪽에서 더 주님의 현존을 확인할 수 있을까? 엉뚱한 자문자답에서 후자 쪽에 동그라미를 그린다. 

OSJ는 ‘평화의 마을=감동’ 라는 등식의 한 부분이다. 평화의 마을에서 ‘치유’를 받은 사람이 많다는 얘기를 그래서 자주 듣는가 보다. 끝없는 감동의 그 현장이 참 좋다. 마더 데레사 수녀도 우리나라에 살았었다면, 거기 가끔 걸음을 하였으리라는 엉뚱한 생각을 해 본다.

호수 제목 글쓴이
2012호 2009.09.20  순교자 대축일을 맞아… 김종일 
2011호 2009.09.11  나 떠난 후 탁은수 베드로 
2010호 2009.09.06  노인 사목에 대해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2009호 2009.08.27  특별한 인연 김루시아 수녀 
2008호 2009.08.23  어떻게 할 것인가? 박주미 
2007호 2009.08.16  내비게이션 작동 중? 탁은수 베드로 
2005호 2009.08.09  안창마을 이야기 김양희 레지나 
2004호 2009.08.02  원주민(아이따스)들의 삶 file 김 루시아 수녀 
2003호 2009.07.26  교육과 종교에 가르침이 없다 김욱래 아우그스띠노 
2002호 2009.07.19  휴가 어디 가세요? 탁은수 베드로 
2001호 2009.07.12  그 분의 사랑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2000호 2009.07.05  신부님! 고맙습니다 김 루시아 수녀 
1999호 2009.06.28  복음화에 대한 짧은 생각 김종일 요한 
1998호 2009.06.21  꿈이 뭐니? 탁은수 베드로 
1997호 2009.06.14  OSJ(오순절 평화의 마을 중창단) 이야기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1996호 2009.06.07  삼손 아저씨! 김 루시아 수녀 
1995호 2009.05.31  내가 사는 곳 이명순 막달레나 
1994호 2009.05.24  말씀 사탕 탁은수 베드로 
1993호 2009.05.17  오늘 우리는 김양희 레지나 
1992호 2009.05.10  성목요일에 드린 약속 김 루시아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