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는

가톨릭부산 2015.11.02 11:35 조회 수 : 6

호수 1993호 2009.05.17 
글쓴이 김양희 레지나 

예수님께서는 잡히시기 전날 게세마니에서 피땀을 흘리시며 간절히 기도하셨다. "내가 이 사람들을 위하여 이 몸을 아버지께 바치는 것은 이 사람들도 참으로 아버지께 자기 몸을 바치게 하려는 것입니다."(요한 17∼19) 성금요일, 무덤 제대 앞에서 봉독하는 제자들을 위한 기도를 새길 때마다 숙연해지는 마음을 어쩔 수가 없다. 목숨을 담보로 한 사랑, 믿음의 힘은 과연 무엇일까.

박해 시대 순교자들은 형틀과 고문에 시달리는 말할 수 없는 고통과 싸우며 주님을 증거하고 죽어갔다. “그냥 있어도 아픈 상처가 감방이 너무 비좁아 움직일 때마다 서로 부딪칩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려면 움직이고 싶어도 참아야 합니다. 또 온 몸에 상처가 나지 않는 곳이 없는데 그 상처마다 온갖 벌레들이 덤벼 옵니다. 상처가 썩어 들어가는 것도 고통이지만 가장 견딜 수 없는 것은 굶주림입니다. 너무 배가 고파서 내 피고름으로 썩는 냄새가 코를 찌르는 멍석 자락을 뜯어 씹으면서 이 배고픔 때문에 주님을 배반하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순교자들의 전기를 읽을 때마다 우리들의 안일한 신앙심을 뉘우치게 된다. 오늘날의 신앙 생활은 배고픔도 순교도 요구하지 않는다. 목숨은커녕 본당을 두고도 한 발이라도 가까운 성당을 찾고, 희생과 애긍마저 하는 사람들의 것이려니 여기기도 한다. 겸손과 이해, 양보와 애덕을 실천하는 것이 오늘날의 백색순교이건만 우리 사회는 사랑과 감사마저 메말라버렸기에 주님께서는 김수환 추기경을 통하여 우리를 깨우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영적인 몸을 입기에 시간과 공간에 제한 받지 않으며 눈에 보이지도 않는다. 엠마오의 예수님이나, 제자들이 문을 걸어 잠그고 있을 때 "너희에게 평화를!"하며 들어오신 예수님의 모습이 그것이다. 끊임없는 기도 생활로 영적인 눈을 뜨게 될 때만이 물질과 정신의 한계를 제한 없이 넘나드는 예수님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토마스의 고백을 들은 예수님은 "보지 않고도 믿는 이는 행복하다"고 하셨다. 부활하신 예수님이 지금 이 순간 나와 함께 계신다는 믿음만이 우리를 자유롭게 해주실 것이다. 어렵고 힘든 세태라지만 세상을 이기는 것은 바로 믿음이기 때문이다.

호수 제목 글쓴이
1991호 2009.05.03  내적 여정 박주미 막달레나 
1990호 2009.04.26  "성당 가자“ 탁은수 베드로 
1989호 2009.04.19  찬란한 부활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1988호 2009.04.12  살루봉(만남) 미사 file 김 루시아 수녀 
1987호 2009.04.05  마음에 드는 한 가지 김욱래 아우구스티노 
1986호 2009.03.29  봄이로소이다 탁은수 베드로 
1985호 2009.03.22  장기 기증과 생명 file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1984호 2009.03.15  장화신은 신부님 김 루시아 수녀 
1983호 2009.03.08  절망을 넘어 이명순 막달레나 
1982호 2009.03.01  예수가 광야로 간 까닭은? 탁은수 베드로 
1981호 2009.02.22  수도원의 아침 김양희 레지나 
1980호 2009.02.15  케냐 수녀님의 기도 김루시아 수녀 
1979호 2009.02.08  세계 병자의 날 박주미 막달레나 
1979호 2009.02.08  예수님과 백수님 탁은수 베드로 
1977호 2009.01.25  영적지수가 높아야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1976호 2009.01.18  새해선물 김 루시아 수녀 
1975호 2009.01.11  성찰(省察) 김종일 요한 
1974호 2009.01.04  잘했어, 성룡! 탁은수 베드로 
1972호 2008.12.28  아버지의 집 김양희 레지나 
1971호 2008.12.25  아기예수님! file 김 루시아 수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