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 | 2411호 2016.12.04 |
|---|---|
| 글쓴이 | 변미정 모니카 |
편리함과 숫자에 가리워진 사람들
변미정 모니카 / 노동사목 ( free6403@hanmail.net )
텔레비전이 드디어(?) 고장이 났다. 자리만 넓게 차지하고 있는 브라운관 텔레비전을 바꾸자 했다가『찬미받으소서』책을 들이미는 남편 덕분에 지금껏 잘 보던 텔레비전이었다. 새 텔레비전이 온 후 홈쇼핑을 자주 보게 되었다. 그 안의 세상은 신기한 요술램프와도 같다. 바르기만 해도 미인이 되는 화장품은 어찌 그리 많으며, 건강에 좋다는 온갖 먹을거리, 갈수록 편리한 기능을 장착한 생활용품도 줄을 잇는다. 그뿐이랴 당장 사지 않으면 다시 오지 않을 절호의 찬스는 얼마나 많은지! 그래서일까? 일하고 돌아온 아버지보다 초인종이 울리면‘버선발’로 뛰어나가 반기는 택배란 웃지 못할 소리가 들린 지도 꽤 되었다. 요술램프를 쓰다듬듯 전화 한 통, 컴퓨터 클릭 몇 번으로 요술같은 이 편리함이 생활 속에 자리 잡은 것이다. 그런데 광고 중‘무료배송’,‘총알배송’이란 문구가 눈에 걸린다. 주문한 물건이 우리 손으로 오기까지 많은 과정을 거치지만, 물건 고르기도 바쁜 우리는 그 과정을 미처 생각할 겨를이 없다. 그런 탓일까? 신문이나 방송에서도 복잡한 사회 현상을 한눈에 설명해주거나 혹은 다른 것과 비교하기 위해 숫자나 통계를 사용한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그 숫자를 보는 마음이 영 불편하다. 예를 들어 아침에 나가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산업재해로 죽는 노동자가 하루 평균 5명이란 기사를 읽으면 5라는 숫자 속에 드러나지 않은 그 사람의 삶과 가족들의 슬픔, 그 일이 왜 일어났는지를 미처 헤아려보지 못하고 그냥 숫자 5로만 받아들이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한 달 월급이 200만 원에도 못 미치는 노동자가 전체 노동자의 45.8%, 한국 연간 노동시간 2113시간,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1일 평균 사망자수 37위) 의 현실.
부산교구에서는 정의평화위원회 주관으로 사회교리 학교를 기초와 심화과정으로 매년 진행하고 있다. 사회교리 과정을 마친 분들이 본당으로 가서 사회교리반을 시작한 곳도 생겨나고 있다고 들었다. 반갑고 고마운 일이다. 사회교리는 이 사회를 살아가며 가져야 할 가톨릭신앙인으로서의 분별력 즉 우리의 편리함이 누군가의 인권을 해치고 만들어진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며 숫자나 통계 속에 드러나지 않는 사람들, 그 삶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닐까? 사회교리주간을 맞아 편리함과 숫자 속에 드러나지 않았던 내 이웃들과 함께 하는‘하느님의 나라’를 생각한다.
| 호수 | 제목 | 글쓴이 |
|---|---|---|
| 2897호 2025. 11. 9 |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 추승학 베드로 |
| 2896호 2025. 11. 2 |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 김경란 안나 |
| 2895호 2025. 10. 26 |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 김지수 프리실라 |
| 2893호 2025. 10. 12 |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 정성호 신부 |
| 2892호 2025. 10. 6 | 생손앓이 | 박선정 헬레나 |
| 2891호 2025. 10. 5 |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 차재연 마리아 |
| 2890호 2025. 9. 28 |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 김동섭 바오로 |
| 2889호 2025. 9. 21 |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
| 2888호 2025. 9. 14 | 순교자의 십자가 | 우세민 윤일요한 |
| 2887호 2025. 9. 7 |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
| 2886호 2025. 8. 31 |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
| 2885호 2025. 8. 24 |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 탁은수 베드로 |
| 2884호 2025. 8. 17 | ‘옛날 옛적에’ |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
| 2883호 2025. 8. 15 |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 박시현 가브리엘라 |
| 2882호 2025. 8. 10 |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 조규옥 데레사 |
| 2881호 2025. 8. 3 | 십자가 | 조정현 글리체리아 |
| 2880호 2025. 7. 27 |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 도명수 안젤라 |
| 2879호 2025. 7. 20 |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 서현진 신부 |
| 2878호 2025. 7. 13 | 노년기의 은총 | 윤경일 아오스딩 |
| 2877호 2025. 7. 6 |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 이나영 베네딕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