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가을느낌

가톨릭부산 2015.10.28 09:37 : 27

호수 1966호 2008.11.23 
글쓴이 김욱래 아우구스티노 

언제나 가을은 쓸쓸하고 뭔가 비워가는 듯한 알싸한 아픔이었다. 얼마 전 무심코 올려다 본 하늘엔 밝은 달빛이 가득했다. 달빛이 유난히 따뜻해 한참 올려다보며 그 포근함을 가슴 한 가득 담아 보았다. 왜 이리 달빛이 따뜻하게 느껴지는 걸까. 아마 늦은 가을의 쓸쓸함과 차가움이 달빛을 따뜻하게 느낄 수 있게 한 이유였던 것 같다. 하지만 나에겐 가을이 쓸쓸함과 차가움으로 기억되지만 곡식과 열매를 떠올리는 누군가에게 가을은 풍성하고 넉넉하지 않을까. 이렇듯 마음에 따라 가을느낌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그 동안 나는 타인들 역시 나와 같은 가을을 느끼고 있으리라 단정했다.

세상을 바라보는 일방적 관점은 자신을 좁게 만들뿐만 아니라 주변을 아프게 하거나 강제하기도 한다. 내가 가진 관점이 최선이고 진리에 근접한 것이라고 믿는 그 순간에도 그것을 확정해서는 안 되고 타인에게 강요해서도 안 된다. 이를 테면 계절의 변화를 알고 계절의 맛을 아는 순간 철이 들었다고 한다면, 이는 세상의 이치를 깨닫고 진리로 가까이 다가갔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누군가에게 철이 든다는 것은 순수함의 상실일 수도 있다. 세상모르고 살던 천진난만한 아이의 시기로 돌이키고픈, 즉 무겁고 오염된 삶의 변화로 철이 들어감을 아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가 어떤 일을 하려는데 한 친구는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하고, 다른 한 친구는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한다. 도대체 누구의 말이 진리일까?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 가치들이 세상에 분명하게 정리되어 있다면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쉽고 분명할 것인가. 어느 정도 그런 ‘가치 서열’이 정돈되어 있지 않다면 세상은 혼돈과 갈등 그 자체일 터이다. 하지만 개인과 사회가 갖는 가치 서열도 늘 동요하게 마련이며, 가치 서열 간에는 균열과 갈등이 있다. 친구나 연인들의 다툼의 원인도 따지고 보면 대부분 가치 체계나 가치 서열의 갈등이다. 그러나 갈등을 풀어나가는 과정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풍부하게 해주고 사람들 사이에 애정의 깊이를 더해주는 활력소가 되지 않을까.

옛날에 대홍수가 있었는데 이 홍수에 휩쓸린 원숭이와 물고기가 있었다. 원숭이는 다행히 나무 위로 올라가 홍수를 피할 수 있었고, 안전한 나뭇가지에서 급류를 거슬러 버둥대는 물고기를 보았다. 선의를 가지고 그는 팔을 뻗어 물고기를 건져내었다. 그러나 결과는 물고기를 죽음에 이르게 했다. 이렇듯 원숭이의 선의는 고마운 것이었지만 일방적이었다. 내가 바라보는 인간, 자연, 신에 대한 믿음이 최선일 수는 있지만 그것이 진리는 아니라는 생각과 함께 늦은 가을을 보낸다.

호수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