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517호 2018.12.2 |
---|---|
글쓴이 | 김효희 젤뚜르다 |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코헬렛 3장) ~ 어느날의 인사
김효희 젤뚜르다 / 노동사목센터 지원실장 free6403@daum.net
한 해를 보내는 이맘때쯤이면 문득 생각나는 한 자매님의 인사가 있습니다. 매일 때와 상관없이 좀 전에 본 사람들인데도 마치 처음 만나는 것처럼 “하이하이~ 잘 살았어?”라고 인사를 건네는 분이었죠. 중년을 훌쩍 넘은 나이의 그 자매님은 보통사람들과 달리 어린 시절 시간에 머물러 계셨고 나이만큼이나 많은 시간과 풍파들이 자매님의 삶을 흔들고 지나가면서 결국 에이즈 쉼터 공동체라는 곳과 또 다른 인연을 맺고 생에 마지막 인사까지 나눈 분이었습니다.
정말 예기치 않은 어느 날, 천주교라는 신앙에 첫발을 내딛고 그 인연으로 특수사목에 속한 에이즈 쉼터의 봉사활동으로 시작된 만남들이 제 삶에는 인생의 큰 전환점이었고 기적과도 같은 선물이었지요. 제게 늘 인사를 건네던 자매님을 처음 봤을 때도, 그분에게 하루란 별 의미 없는 시간의 연속처럼 보였고 그분이 건네는 인사는 그런 하루의 안부라기보다 마냥 장난을 걸고 싶어 하는 한 어린아이의 것처럼 보였습니다. 신기하게도 시간이 지날수록 그런 제게 문을 두드리듯이 언제부턴가 평범한 일상이 달라 보이고, 사람과 삶을 바라보는 방향과 시야가 넓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그 자매님과 공동체를 떠나 또 다른 여정을 걷고 있는 저는 이곳 노동사목에서 제 역할을 수행하면서 아직도 많이 부족함을 느끼지만, 이렇게 주님은 적지 않은 경험을 통해 저를 준비시키신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잘 살았냐’는 인사는 지금 삶 속에서 자주 그 안부를 물어봐 주는 사람들의 온기처럼 에너지원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구약성경에 “모든 것에는 다 때가 있다”는 말씀처럼 어느 날 만난 그 특별한 만남들이, 또 그 구절의 의미들이 무엇보다 끈끈한 힘이 되어 저를 이끌어 주었고 지금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내가 선택하는 모든 것을 내 의지만 있으면 된다고 자만하며 보냈지만, 이제는 주님의 뜻이 성령으로 인도되었음을 알아차리고 준비시키셨음을, 그 모든 것에 때가 있듯이 거듭나는 자신으로 나아가기 위해 깨어있어야 함을 알게 됩니다.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서 그런 성령을 만나고 신앙의 굳건한 믿음을 확인받으며 묵묵히 그 하루의 발걸음들을 맞이해봅니다.
호수 | 제목 | 글쓴이 |
---|---|---|
2522호 2018.12.30 | 가정 성화의 길로 | 김재원 세실리아 |
2520호 2018.12.23 | 가난한 이웃에게도 인권이 있습니다. | 김검회 엘리사벳 |
2519호 2018.12.16 | 제 마구간에 말구유가 있었으면…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517호 2018.12.2 |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코헬렛 3장) ~ 어느날의 인사 | 김효희 젤뚜르다 |
2516호 2018.11.25 | 동방의 예루살렘-북한? | 김상진 요한 |
2515호 2018.11.18 | 여권 | 하창식 프란치스코 |
2514호 2018.11.11 |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 차광준 신부 |
2513호 2018.11.04 | “식사 한 번 하시죠” | 탁은수 베드로 |
2512호 2018.10.28 | 산티아고 순례길 |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
2511호 2018.10.21 | 당신은 누구십니까? | 성지민 그라시아 |
2510호 2018.10.14 | 딸의 느린 엽서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509호 2018.10.07 |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 조수선 안나 |
2508호 2018.09.30 | ‘천주교 부산교구 노동사목센터’ 문을 열며…. | 이영훈 신부 |
2507호 2018.09.23 | 하느님 네비게이션 | 김상진 요한 |
2506호 2018.09.16 | 우리 집 성모님 | 김나현 가브리엘라 |
2505호 2018.09.09 | “주님 안에 우린 하나 - 두려워하지 마라” | 시안비 마리아 |
2504호 2018.09.02 | 신앙인의 ‘워라밸’ | 탁은수 베드로 |
2503호 2018.08.26 | 선택 | 하창식 프란치스코 |
2502호 2018.08.19 | 정치는 공동선을 추구하는 사랑의 형태입니다. | 김검회 엘리사벳 |
2501호 2018.08.12 | 착한 목자의 목소리 | 박주영 첼레스티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