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06호 2016.10.30 
글쓴이 장재봉 신부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장재봉 신부 / 선교사목국장 gajbong@hanmail.net

  교회가 오래도록 고민해 왔던 주제에 대한 질문을 해주셨군요. 답은 구원을 위한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응답의 관계라 할 수 있는데요.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는 진실과 인간의 구원은 예수님의 은총뿐이라는 진리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인간의 끝없는 질문인 셈입니다. 예수님의 인간되심은 인류 구원을 위한 하느님의 은총과 사랑이 구체화된 사건입니다.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하심은 모든 인간을 악에서 구하여 하느님의 은총과 새로이 결합시켰습니다. 이 심오한 신비를 아우구스티노 성인은“우리 없이 창조하신 하느님께서 이제 우리와 더불어 구원하신다.”고 설명했는데요.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위한 당신의 구원 사업을 펼치시지만 강요하지 않고 자유에 맡기셨습니다. 하느님에 대한 믿음과 구원의지를 거부한다면 하느님도 어쩔 수가 없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죄가 하느님의 무능이나 하느님의 처벌이라는 생각은 그릇됩니다. 인간은 선 자체이신 하느님을 향하도록 창조된 존재임을 망각하고 선이 아닌 악을 선택하는 것이 죄입니다. 악은 인간 본래의 모습을 잃게 하여 선을 지향해야 하는 본연의 존재에서 멀어지게 합니다. 이러한 점을 깊이 성찰할 때 죄로부터 해방되고 하느님과의 관계 회복이 이루어집니다. 죄에 갇힌 영혼이 진정한 자유를 찾을 때 구원된 존재로 거듭나게 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16 2401호 2016.09.25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하다니, 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 하느님께서 옆에 있으면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444
115 2402호 2016.10.02  물질적인 것에도 그렇고, 자녀도 그렇고, 너무 많은 것들에 애착하며 살아갑니다. 자신을 버리라는 복음의 요청 앞에서 부끄럽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버리고 사는 게 과연 가능한지도 의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295
114 2403호 2016.10.09  저는 가톨릭 집안에서 자란 서른살 청년입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은 계속 신앙을 강요하시만 저의 자유에 대한 구속이라는 생각이 들어 성당에 더 가고 싶지 않습니다. 왜 저의 자유를 구속하며 신앙생활을 계속 해야 하는가요? 권순호 신부  334
113 2404호 2016.10.16  욥기를 읽다 보면 이런 의문이 듭니다. 욥은 하느님의 계명을 잘 지키며 의롭게 살았는데 왜 그토록 많은 고통을 당하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178
112 2405호 2016.10.23  미사 시작 때마다 하는 고백의 기도도 그렇고, 훈계 같은 신부님의 강론을 들으면 제 마음에서 죄책감과 수치감이 듭니다. 요즘 TV에서 하는 강연에서는 위로나 격려의 메시지가 많은데, 성당에서는 오히려 우리 죄와 부족함을 더 강조하는 듯합니다. 홍성민 신부  292
» 2406호 2016.10.30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장재봉 신부  568
110 2407호 2016.11.6  이해하지 못하면 잘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신앙생활도 그래서 힘이 들 때가 많습니다. 저를 좀 이해시켜 주십시오. 홍경완 신부  156
109 2408호 2016.11.13  20대 청년입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따르고 싶지만, 마음속에는 그와 반대되는 욕망들이 너무나 많고 강력합니다. 매번, 욕망에 쓰러져 고해성사를 보는 것도 힘들고, 피정에 가봐도 죄에 대한 분석이나 심판하는 내용은 도움이 안 됩니다. 죄의 욕망에 벗어나는 구체적인 방법은 없을까요? 권순호 신부  180
108 2409호 2016.11.20  겸손하라는 성경 말씀이 있습니다.(1베드 5, 5 참조) 어느 정도 겸손해야 하나요? 요즘은 자기 표현(PR)시대인데 교만하지만 않으면 되지 않나요? 염철호 신부  321
107 2410호 2016.11.27  성경에 나오는 부정직한 집사에 대한 비유는 요즘 우리 사회를 혼란으로 빠트린 사건과 비슷해 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주인이 그 불의한 종을 오히려 칭찬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런 비유를 드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홍성민 신부  218
106 2411호 2016.12.04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 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 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장재봉 신부  341
105 2412호 2016.12.11  현실에만 매달리며 사는 것은 교회의 가르침과 반대된다고 들었습니다. 살기 위해선 그래야 되는 것 아닌가 싶어 의문이 생깁니다. 홍경완 신부  82
104 2413호 2016.12.18  예수님께서는 재산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족까지도 버리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한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사제나 수도자가 되지 않은 이상 일반 신자가 이 말씀을 따르기는 불가능한 듯합니다.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요? 권순호 신부  153
103 2414호 2016.12.25  성경의 가르침과 현실 사이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분간이 잘 가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123
102 2415호 2017.01.01  새해를 맞이해서 술도 좀 줄이고, 담배도 끊고 싶은데, 며칠 만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면 어쩌나하는 걱정이 듭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166
101 2416호 2017.01.08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장재봉 신부  373
100 2417호 2017.01.15  교회의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겠다 하니 그냥 믿으라고 합니다. 그게 쉽지 않습니다. 무조건 받아들이는 태도 아래서만 신앙이 가능한 것인가요? 홍경완 신부  161
99 2418호 2017.01.22  우리는 종교를 선택할 때도 돈을 많이 벌고 성공하기를 바라며, 자신의 자식이 잘 되기를, 부모님이 건강하기를, 성공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순수하게 예수님의 삶을 따르기 위해서 이웃에 봉사하고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서 종교를 가지는 경우는 드문 것 같습니다. 자신의 성공과 소망을 위해서 종교를 가지는 것이 과연 잘못된 것일까요? 권순호 신부  477
98 2419호 2017.01.29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용서는 무조건적인 용서를 말하나요? 불의는 당연히 발고(發告)하고 벌을 받는 것이 맞는데 용서를 해야 한다니 현실적이지 못한 것이 아닌지요? 염철호 신부  194
97 2420호 2017.02.05  미사나 기도 중에 분심이 많이 듭니다. 저는 정말 집중해서 기도하고 싶은데, 자꾸만 쓸데없는 생각들이 들어서 속상합니다. 어떤 때는 죄책감마저 들어 고해성사를 본 적도 있는데, 그래도 여전히 여러 가지 분심에 늘 시달립니다. 홍성민 신부  293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