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 | 2510호 2018.10.14 |
|---|---|
| 글쓴이 | 박주영 첼레스티노 |
딸의 느린 엽서
박주영 첼레스티노 / 남천성당, 언론인 park21@chosun.com
고1인 제 딸이 며칠 전 엽서를 받았습니다. 제 아이가 지난해 10월 중순 부산진구 시민공원에 자율동아리 활동을 하러 갔다가 자신에게 써 보낸 편지였습니다. 그날은 아이 생일 전날이었습니다.
엽서 앞면엔 시민공원 전경 사진과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부산시민공원’, ‘느린 우체통, 1년 뒤 미래로 보내는 편지’ 등의 문구가 실려 있었습니다.
‘17살 여고생이 1년 전 16살의 자기 편지를 받으면 무슨 느낌이 들까?’ 궁금했습니다. 이런 생각이 얼굴 표정에 드러났는지 제가 전해준 엽서를 받아든 딸 아이는 “에이, 1년이 다 안 됐는데 왔네”라고 심드렁해 하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러곤 엽서를 흘깃 보더니 옆으로 툭 던졌습니다.
이 대목에 궁금한 걸 물으면 ‘꼰대’로 찍힐 게 뻔해 목구멍까지 올라온 ‘질문의 욕구’를 꿀꺽 삼켰습니다. ‘살아갈 날이 가을 새털구름보다 더 많은 고딩이 무슨 큰 감흥이 있으랴’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대신 ‘1년 전, 10년 전 내가 지금의 내게 편지를 보냈다면 무슨 내용이었을까?’, ‘지금의 내가 1년 뒤, 10년 뒤 내게 편지를 쓴다면 무얼 적을까?’ 등의 생각이 꼬리를 물었습니다.
‘1년 전’, ‘1년 후’는 시간입니다. 중년 고개를 넘고 있는 저와 ‘고딩’인 딸 아이에게 ‘시간’이란 단어가 갖는 혹은 주는 의미, 무게가 같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인간에게 시간은 신비인 지도 모릅니다.
성경 창세기는 “한 처음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지어내셨다…이렇게 첫날이 밤, 낮 하루가 지났다”(1,1~5)는 문장들로 시작됩니다. 시간이 공간보다 뒤에 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도 가이아(땅), 우라노스(하늘)에 이어 크로노스(시간)가 등장합니다. 역시 시간이 땅, 하늘이란 공간보다 뒤입니다. 저는 이걸 사람의 인지, 인식에 공간 관념이 먼저 생기고 시간은 나중에 형성되는 걸 보여준다고 해석하곤 합니다. 시간은 사람이 삶을 살아봐야 알 수 있는 거라는 얘기지요. 그런데 세월이 흐른다고 ‘시간의 신비’가 다 드러나는 건 아닙니다.
성서엔 또 이런 말씀이 나옵니다. “당신 앞에서는 천 년도 하루와 같아 지나간 어제 같고 깨어 있는 밤과 같사오니”(시편 90,4), “사랑하는 여러분, 이 한 가지를 잊지 마십시오. 주님께는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습니다.”(2베드 3,8)
지나친 욕심이겠지만 제 딸 아이가 ‘느린 엽서’를 통해 찰나라도 이런 ‘시간의 신비’를 느꼈으면 하고 바라봅니다. 물론 저 역시 ‘다 지나고 나서야 뭔가를 아는 어리석은 사람’이기에 ‘시간의 주인’께 기도합니다.
가을은 그런 기도를 하기에 좋은 계절입니다.
| 호수 | 제목 | 글쓴이 |
|---|---|---|
| 2897호 2025. 11. 9 |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 추승학 베드로 |
| 2896호 2025. 11. 2 |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 김경란 안나 |
| 2895호 2025. 10. 26 |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 김지수 프리실라 |
| 2893호 2025. 10. 12 |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 정성호 신부 |
| 2892호 2025. 10. 6 | 생손앓이 | 박선정 헬레나 |
| 2891호 2025. 10. 5 |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 차재연 마리아 |
| 2890호 2025. 9. 28 |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 김동섭 바오로 |
| 2889호 2025. 9. 21 |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
| 2888호 2025. 9. 14 | 순교자의 십자가 | 우세민 윤일요한 |
| 2887호 2025. 9. 7 |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
| 2886호 2025. 8. 31 |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
| 2885호 2025. 8. 24 |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 탁은수 베드로 |
| 2884호 2025. 8. 17 | ‘옛날 옛적에’ |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
| 2883호 2025. 8. 15 |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 박시현 가브리엘라 |
| 2882호 2025. 8. 10 |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 조규옥 데레사 |
| 2881호 2025. 8. 3 | 십자가 | 조정현 글리체리아 |
| 2880호 2025. 7. 27 |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 도명수 안젤라 |
| 2879호 2025. 7. 20 |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 서현진 신부 |
| 2878호 2025. 7. 13 | 노년기의 은총 | 윤경일 아오스딩 |
| 2877호 2025. 7. 6 |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 이나영 베네딕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