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주 한 알

가톨릭부산 2018.10.04 09:39 조회 수 : 192

호수 2509호 2018.10.07 
글쓴이 천경훈 신부 

묵주 한 알
 

천경훈 신부 / 송도성당 주임
 

   요즘은 그리 흔치 않은 돌탑에 대한 기억이 있습니다. 어릴 적 마을 초입 혹은 산자락에 숙연히 서 있던 돌탑, 그 쌓이고 쌓인 작은 돌들에서 움트는 신비로움이 그립기도 합니다. 돌 하나에 마음을 담고, 손끝에 작은 염원을 모아 그렇게 돌탑은 쌓여갑니다. 오랫동안 그렇게 쌓여서 세월의 무게만큼이나 이어진 뭇사람들의 삶을 보듬고, 또 거기에 적셔진 눈물을 하늘을 향해 두 손 모으던 바로 그곳. 그래서 우리의 저 돌탑은 단순한 돌무더기가 아니라, 거룩한 기도의 합송이자, 숭고한 성가의 향연입니다.
   우리 부산교구의 수호자,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인 오늘, 묵주기도(로사리오) 그 한 알 한 알에서 정성으로 쌓여간 돌탑 위의 고운 손길들이 느껴지는 듯합니다. 묵주기도의 유래를 설명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집트 사막의 은수자들은 죽은 자들을 위해 시편 150편을 외웠는데, 작은 돌멩이나 곡식 낱알을 머리에 쓰는 관처럼 둥글게 엮어 하나씩 굴리며 기도의 횟수를 세었다고 합니다. 이때 글을 모르는 사람들은 시편 대신 ‘주님의 기도’를 150번 바치기도 했고, 수를 셀 때 불편하였기에 열매나 구슬 150개를 노끈이나 가는 줄에 꿰어 사용하였답니다. 이런 관습들이 묵주기도를 탄생시키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 교회는 마치 돌 하나에 신비를 담아 돌탑을 쌓듯, 오랫동안 신앙의 삶을 엮어서 로사리오를 바쳐왔습니다.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의 시구를 빌어 표현하자면, 묵주 한 알에 우리 순교자들에 대한 기억과, 묵주 한 알에 우리 교회의 심장에서 불타오르는 사랑과, 묵주 한 알에 우리 교구민들의 눈물과 고마움, 묵주 한 알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평화를 담아, 우리는 복되신 어머니 마리아를 부르며 정성스레 묵주 한 알 한 알을 쌓아왔습니다. 그러니 묵주기도는 우리 신앙의 삶 구비 구비에 담겨진 그 신비 속에 함께 하는 것이며 오늘 하루를 교회의 삶으로 다시금 엮어가는 신앙 고백이라 하겠습니다.
   삶의 굴곡진 굽이굽이마다 쌓아올리던 그 한 알 한 알은, 이윽고 무덤 위의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 내가 사라지고 오직 주님만이 머무시는 그 부활의 돌무덤 되어, 자랑처럼 하늘나라의 푸른 이끼로 무성할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우리는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file 최정훈 신부 
2896호 2025. 11. 2  우리의 영광은 자비에 달려있습니다 file 염철호 신부 
2895호 2025. 10. 26  분심 좀 들면 어떤가요. file 최병권 신부 
2894호 2025. 10. 19  전교, 복음의 사랑으로 file 김종남 신부 
2893호 2025. 10. 12  우리가 주님을 만날 차례 file 한종민 신부 
2892호 2025. 10. 6  복음의 보름달 file 김기영 신부 
2891호 2025. 10. 5  느그 묵주 가져왔나? file 김기영 신부 
2890호 2025. 9. 28  대문 앞의 라자로를 외면하지 마십시오. file 정창식 신부 
2889호 2025. 9. 21  신적 생명에 참여하는 삶 file 조성문 신부 
2888호 2025. 9. 14  나를 죽이고 십자가를 지는 삶 file 박재범 신부 
2887호 2025. 9. 7  더 크게 사랑하기 위해서는? file 이재원 신부 
2886호 2025. 8. 31  행복을 선택하는 삶 file 박호준 신부 
2885호 2025. 8. 24  ‘좁은 문’ file 이영훈 신부 
2884호 2025. 8. 17  사랑의 불, 진리의 불 file 이영창 신부 
2883호 2025. 8. 15  마리아의 노래-신앙인의 노래! 김대성 신부 
2882호 2025. 8. 10  그리움, 기다림, 그리고 깨어있는 행복! file 김대성 신부 
2881호 2025. 8. 3  “만족하십시오.” file 이재혁 신부 
2880호 2025. 7. 27  “노인(老人)=성인(聖人)” file 정호 신부 
2879호 2025. 7. 20  마르타+마리아=참으로 좋은 몫 file 이균태 신부 
2878호 2025. 7. 13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file 계만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