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507호 2018.09.23 |
---|---|
글쓴이 | 김상진 요한 |
하느님 네비게이션
김상진 요한 / 언론인 daedan57@hanmail.net
‘대중교통을 이용한 나홀로 성지순례’를 한 지 2년째다.
주교회의 성지순례사목 소위원회가 선정한 전국의 성지 111곳 중 10여 곳 밖에 찾지 못할 정도로 느리다. 그래도 나홀로 순례를 계속할 참이다. 그 이유는 단체성지 순례에서는 맛볼 수 없는 기쁨 때문이다. 그 기쁨은 길을 헤맬 때 마다 하느님이 이끌어 주시는 손길을 느끼는 것이다.
우리나라 첫 영세자 이승훈 묘를 찾아갈 때다. 부산역에서 KTX를 타고 서울로 갔다. 서울 도시철도 2호선 합정역에서 인천행 버스를 탔다. 인천 남동구 건설기술교육원 앞에 내렸다. 주변을 둘러보았으나 묘가 있을 만한 산이 보이지 않았다. 묻고 물어서 묘 앞쪽의 장수 정수장까지 갔으나 찾을 수 없었다. 지칠 때쯤 맞은편에서 중년 부부가 걸어왔다. “이승훈 묘를 아십니까” 두 사람의 얼굴이 밝아졌다. 길을 가르키는 손가락 끝에는 묵주가 들려 있었다. “아, 신자시군요” 그 부부는 정수장 담장 끝에서 시작하는 입구를 가르쳐 주었다. 그 부부가 가르켜 준대로 정수장 철조망을 따라 가니 ‘십자가의 길’ 끝에 이승훈 묘가 있었다. 한국 천주교 첫 영세자로 존경받는 이승훈도 나약한 인간이었다. 여러 번 배교를 한 끝에 순교를 했다. 나는 묘 앞에서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신앙인이 되도록 도와달라고 기도했다.
나홀로 성지순례는 항상 이랬다. 위치정보를 습득하고 출발하지만 쉽게 찾을 수 없었다. 그때마다 길을 알려주는 신자나 은인을 만났다.
되돌아보니 내 삶의 고비고비마다 방향을 잡아 주시는 하느님이 계셨다. 그 보살핌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성지순례 때마다 든다. 그분은 내가 세상살이로 헤맬 때마다 바른길로 인도해 주셨다. 하느님은 ‘내 인생의 내비게이션’이었다.
물론 관광버스로 가는 단체 성지순례나 자가용을 이용한 그룹 성지순례는 수월하다. 번거롭게 길을 물을 필요가 없다. 차에 앉아 있으면 성지까지 데려다준다. 몇 군데 성지를 한 번에 가기 때문에 시간도 절약된다.
하지만 나홀로 성지순례는 오가는 동안 기도하고 성지 공부를 할 수 있어 좋다. 성지 근처에서 헤맬 때마다 두근두근 거린다. 오늘은 어떤 안내자를 보내 주실까. 그 설렘 때문에 오늘도 나홀로 성지순례를 나선다.
오늘은 성 김대건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경축 이동일, 순교자성월이기도 하다. 가능하면 나홀로 성지순례를 통해 많은 은총을 체험하기를 기도한다.
호수 | 제목 | 글쓴이 |
---|---|---|
2522호 2018.12.30 | 가정 성화의 길로 | 김재원 세실리아 |
2520호 2018.12.23 | 가난한 이웃에게도 인권이 있습니다. | 김검회 엘리사벳 |
2519호 2018.12.16 | 제 마구간에 말구유가 있었으면…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517호 2018.12.2 |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코헬렛 3장) ~ 어느날의 인사 | 김효희 젤뚜르다 |
2516호 2018.11.25 | 동방의 예루살렘-북한? | 김상진 요한 |
2515호 2018.11.18 | 여권 | 하창식 프란치스코 |
2514호 2018.11.11 |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 차광준 신부 |
2513호 2018.11.04 | “식사 한 번 하시죠” | 탁은수 베드로 |
2512호 2018.10.28 | 산티아고 순례길 |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
2511호 2018.10.21 | 당신은 누구십니까? | 성지민 그라시아 |
2510호 2018.10.14 | 딸의 느린 엽서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509호 2018.10.07 |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 조수선 안나 |
2508호 2018.09.30 | ‘천주교 부산교구 노동사목센터’ 문을 열며…. | 이영훈 신부 |
2507호 2018.09.23 | 하느님 네비게이션 | 김상진 요한 |
2506호 2018.09.16 | 우리 집 성모님 | 김나현 가브리엘라 |
2505호 2018.09.09 | “주님 안에 우린 하나 - 두려워하지 마라” | 시안비 마리아 |
2504호 2018.09.02 | 신앙인의 ‘워라밸’ | 탁은수 베드로 |
2503호 2018.08.26 | 선택 | 하창식 프란치스코 |
2502호 2018.08.19 | 정치는 공동선을 추구하는 사랑의 형태입니다. | 김검회 엘리사벳 |
2501호 2018.08.12 | 착한 목자의 목소리 | 박주영 첼레스티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