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506호 2018.09.16 |
---|---|
글쓴이 | 김나현 가브리엘라 |
우리 집 성모님
김나현 가브리엘라 / 수필가 yanni33@hanmail.net
이사 온 첫날 밤에 딸이 꿈을 꾸었다고 했다. 가슴까지 덮은 이불을 들추고서 산발한 귀신이 목을 쑥 내밀더라는 거다. 꿈에서 얼마나 놀랐는지, 꿈 얘기를 할 때 딸 표정도 다시 파랗게 질렸다.
그런 식의 꿈을 이사한 후에 더러 꾼다는 믿건 말건 하는 말을 들은 적이 있기에 내심 걱정이 되었다. 비슷한 꿈을 또 꾸면 어쩌나 해서다. 고심하던 머릿속으로 구원자가 떠올랐다. 바로 성수였다. 이보다 나은 대처는 없다는 확신으로, 딸 방과 다른 방까지 구석구석 뿌리며 중얼중얼 기도했다. 방마다 성모상과 묵주도 비치했다. 후로는 다행히 그 같은 꿈을 꾸는 일은 없었다. 성수와 성모님 덕분이라고 굳게 믿었다.
우리 집에는 성모상이 네 개 있다. 딸이 꿈을 꾼 후 서둘러 방마다 하나씩 모셔 두었다. 거실에 둔 성모상은 키가 30cm 정도의 일반적인 은혜의 성모상이다. 다른 성모상은 이래저래 상처 입었는데 이 성모상만 온전하다. 바라만 봐도 평온해지는 표정이다.
딸 방에 둔 갈색 성모상은 대수술을 두 번이나 했다. 손자가 떨어뜨려 가슴팍에서 두 동강이 났다. 나는 그때 사람이 다친 양 비명을 지르곤 접착제로 붙여 놓았다. 그 후 같은 곳이 또 부러져 땜질했다. 어깨를 앞으로 살짝 수그리고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이 늙은 내 어머니를 연상케 한다. 표정은 어찌나 정결하고 해맑고 여린지, 오히려 보듬어 주고 싶은 성모상이다.
안방 성모님도 목부터 어깻죽지까지 땜질 흔적이 있다. 역시 손자들 손에 떨어져 다쳤다. 잠자는 머리맡에 둔 성모상은 조그맣고 낡고 볼품없다. 언제 부러졌는지 조그만 손 하나가 부러져 나가고 없다. 그러나 이 성모님은 잠자는 나를 지켜주고 빛으로 당신 존재를 알린다. 야광 성모상이다. 밤중에 잠시 깰 때 환히 빛나는 형체에 눈이 닿으면 두 손을 모으거나 성호경을 긋고 자리에 눕게 된다. 잠이 오지 않을 때는 양을 한 마리 두 마리 세는 게 아니라 주모경을 외게 하는 성모님.
성모상을 한자리에 모아 오랜만에 먼지를 닦는다. 어떤 간절함이 있을 때나 닥친 큰일 앞에 기도 말고는 할 게 없어 무력할 때 묵주와 함께 찾는 우리 집 성모님들.
내 능력 밖의 지혜가 필요할 때나, 잠시 옆길을 걸을 때도 나를 변함없이 지켜보고 인도하는 성모님이 우리 집에 계시다.
호수 | 제목 | 글쓴이 |
---|---|---|
2520호 2018.12.23 | 가난한 이웃에게도 인권이 있습니다. | 김검회 엘리사벳 |
2519호 2018.12.16 | 제 마구간에 말구유가 있었으면…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517호 2018.12.2 |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코헬렛 3장) ~ 어느날의 인사 | 김효희 젤뚜르다 |
2516호 2018.11.25 | 동방의 예루살렘-북한? | 김상진 요한 |
2515호 2018.11.18 | 여권 | 하창식 프란치스코 |
2514호 2018.11.11 |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 차광준 신부 |
2513호 2018.11.04 | “식사 한 번 하시죠” | 탁은수 베드로 |
2512호 2018.10.28 | 산티아고 순례길 |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
2511호 2018.10.21 | 당신은 누구십니까? | 성지민 그라시아 |
2510호 2018.10.14 | 딸의 느린 엽서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509호 2018.10.07 |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 조수선 안나 |
2508호 2018.09.30 | ‘천주교 부산교구 노동사목센터’ 문을 열며…. | 이영훈 신부 |
2507호 2018.09.23 | 하느님 네비게이션 | 김상진 요한 |
2506호 2018.09.16 | 우리 집 성모님 | 김나현 가브리엘라 |
2505호 2018.09.09 | “주님 안에 우린 하나 - 두려워하지 마라” | 시안비 마리아 |
2504호 2018.09.02 | 신앙인의 ‘워라밸’ | 탁은수 베드로 |
2503호 2018.08.26 | 선택 | 하창식 프란치스코 |
2502호 2018.08.19 | 정치는 공동선을 추구하는 사랑의 형태입니다. | 김검회 엘리사벳 |
2501호 2018.08.12 | 착한 목자의 목소리 | 박주영 첼레스티노 |
2499호 2018.07.29 | 초심을 잊지 말아야 하느님을 신뢰 할 수 있다 | 김상원 요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