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목자의 목소리

가톨릭부산 2018.08.08 09:45 조회 수 : 89

호수 2501호 2018.08.12 
글쓴이 박주영 첼레스티노 

착한 목자의 목소리
 

박주영 첼레스티노 / 남천성당, 언론인 park21@chosun.com
 

   요즘 영화가에선 ‘신과 함께’란 영화의 인기가 111년 만의 기록을 깼다는 ‘한증막 더위’만큼이나 뜨겁습니다. ‘신과 함께-인과 연’이라는 이 영화는 개봉 5일 동안 540만 명을 넘는 관객을 동원했다고 합니다. 매일 하루 100만 명 이상이 영화를 봤다는 겁니다.
   역대 최단 시간 500만 명 돌파, 하루 최다 관객 기록(1,466,416명) 등 종전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중이랍니다. 작년 연말 개봉한 이 영화의 1편인 ‘신과 함께-죄와 벌’은 관객 144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언론에선 “역대 관객 동원 1위인 영화 ‘명량’의 기록(1762만 명)을 뛰어넘을까?”, “1편과 2편을 합해 관객 동원 3000만 명의 대기록을 세울까?” 등으로 흥분을 하고 있습니다. 제 눈엔 이런 기록들보다 물질만능, 감각중심의 세태에 ‘신(神)’이란 글자가 들어가는 영화가 이렇듯 인기를 끄는 것이 의외로 비쳐집니다.
   물론 이 영화는 ‘신(神)’을 정통적으로 다루는 것은 아닙니다. 샤머니즘, 도교적 관점에서 본 저승의 세계를 모티브로 하고 있습니다. 만화적 상상과 영화적 흥미, 디지털 기술적 가공 등을 더해 관객몰이를 하고 있는 듯합니다.
   저는 이를 제 방식으로 다르게 읽어 봅니다. 티베트 불교에 ‘사자의 서’라는 경전이 있습니다. 티베트어로 ‘바르도 퇴돌’이란 불경입니다. ‘바르도’는 이 세계에서 저 세계로, 차안에서 피안으로 가는 사이에 있는 세계를 뜻한답니다. ‘바르도’는 우리말로 ‘중음천’쯤 됩니다. 영화, ‘신과 함께’에서 차태현 등이 지나가던 심판 단계와 비슷합니다.
   ‘퇴돌’은  ‘듣는 것을 통한 영원한 해탈’이란 의미랍니다. 이 두 단어를 합한 ‘바르도 퇴돌’은 ‘이 세계에서 저 세계로 가는 중간에서 한 소리를 들어 해탈을 한다’는 얘기가 된다. ‘사이의 세계에서 한 소리를 들어 환생과 업보의 악순환에서 벗어난다’는 정도의 뜻이라고 합니다.
   제가 훗날 세상을 떠나 저승으로 간다면 어떻게 될까요? 주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나는 착한 목자이다. 나는 내 양들을 알고 내 양들도 나를 안다…그러면 그들도 내 음성을 알아듣고 마침내 한 떼가 되어…”(요한 10,14~16)
   저는 가장 먼저 저승의 어둠 속에서 주님의 목소리를 알아들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지금, 이승에서 성경을 읽고 묵상하며 기도를 많이 해야 합니다. 또 이웃 안에서, 미사에서 주님을 뵈려 노력해야 합니다. 교우들의 연도도 큰 힘이 되겠지요.

호수 제목 글쓴이
2520호 2018.12.23  가난한 이웃에게도 인권이 있습니다. 김검회 엘리사벳 
2519호 2018.12.16  제 마구간에 말구유가 있었으면… 박주영 첼레스티노 
2517호 2018.12.2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코헬렛 3장) ~ 어느날의 인사 김효희 젤뚜르다 
2516호 2018.11.25  동방의 예루살렘-북한? 김상진 요한 
2515호 2018.11.18  여권 하창식 프란치스코 
2514호 2018.11.11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차광준 신부 
2513호 2018.11.04  “식사 한 번 하시죠” 탁은수 베드로 
2512호 2018.10.28  산티아고 순례길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2511호 2018.10.21  당신은 누구십니까? 성지민 그라시아 
2510호 2018.10.14  딸의 느린 엽서 박주영 첼레스티노 
2509호 2018.10.07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조수선 안나 
2508호 2018.09.30  ‘천주교 부산교구 노동사목센터’ 문을 열며…. 이영훈 신부 
2507호 2018.09.23  하느님 네비게이션 김상진 요한 
2506호 2018.09.16  우리 집 성모님 김나현 가브리엘라 
2505호 2018.09.09  “주님 안에 우린 하나 - 두려워하지 마라” 시안비 마리아 
2504호 2018.09.02  신앙인의 ‘워라밸’ 탁은수 베드로 
2503호 2018.08.26  선택 하창식 프란치스코 
2502호 2018.08.19  정치는 공동선을 추구하는 사랑의 형태입니다. 김검회 엘리사벳 
2501호 2018.08.12  착한 목자의 목소리 박주영 첼레스티노 
2499호 2018.07.29  초심을 잊지 말아야 하느님을 신뢰 할 수 있다 김상원 요셉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