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오래갈 것들

가톨릭부산 2016.08.31 10:03 조회 수 : 142

호수 2398호 2016.09.04 
글쓴이 서진영 신부 

더 오래갈 것들

서진영 미카엘 신부 / 대양전자통신고 교목

  세상엔 참 좋은 것들이 많습니다. 소중히 간직하고 싶은 것도, 곱게 물려주고 싶은 것도 참 많습니다.
  사랑, 우정, 희망 같은 아름다운 어휘들과 이를 위한 약속, 계획, 실천 같은 단어들 그리고 이를 드러내는 감사, 성취, 보람 등이죠. 이 조합들이 특정 상황에서 우리를 미소 짓게도 하고 울리기도 합니다. 그 자체로 묵묵히 살아갈 힘이 되어 주기도 합니다.
  비록 지금은 아닐지라도 언젠가라는 희망에서 참으로 좋은 말들을 많이도 하고, 많이도 퍼 나릅니다.“만약 사랑에도 유효기간이 있다면, 나의 사랑은 만년으로 하고 싶다.”(영화‘중경삼림’에서) 손발이 오그라들 정도로 멋진 말입니다. 그러나 그만큼 오래 살 자신이 없어서.
  어떤 이가 간절히 기도한 끝에 하느님과 대화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하느님, 천 년도 당신 눈에는 지나간 어제 같죠.”“성가 423장에 그렇다고 하더구나.”“하느님, 그럼 천억도 주님 보시기엔 그저 1원 정도겠죠?”“그 정도겠네.”“그럼 그 1원 저에게 주시면 안 돼요?”“그래. 내일 줄게.” 이제 기쁘게 천년을 기다려야겠지요. 그래도 유통기간‘만년’보다는 짧습니다.
  사실 우리는 그렇게 기다릴 자신도 능력도 없습니다.“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깨어 기도하여라. 마음은 간절하나 몸이 따르지 못한다.”(마태 26, 41)는 말씀이 맞습니다. 우리는 아쉽게도, 생각하는 것에 비해 많이 부족합니다. 계획은 쉽게 세우지만 그것을 실행하기는 어렵고, 특히 오랫동안 지켜가기는 너무나 허약합니다.
  복음에 나오는‘탑 짓는 이들’처럼 시작은 했으나 끝을 보지 못하는 성급함이 우리 대부분의 결점입니다. 물자와 자본이 넘치는 호황기에 시작해서 정작 완성될 때는 낭패를 보게 되는‘마천루의 저주’가 예사 이야기 아닌 고민해야 할 현실이 된 상황에서 우리는 따져 보아야 합니다.
  말 한마디 먼저 했다고 해서, 그 약속이 좀 더 크다고 해서, 그 범위가 더 넓다고 해서 아름답거나 특별히 더 기억될 수 없다는 것을 압니다.‘천년만년’은 아니지만 이 짧은‘백 년’을 두고, 더 오래가고 아름다울 봉헌을 위해 얼마나 열심히 살아야 할지, 얼마나 충실해야 할지 주님 앞에서 셈해 보았으면 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99호 2016.09.11  잃어버린 것들 이상윤 신부 
2398호 2016.09.04  더 오래갈 것들 서진영 신부 
2397호 2016.08.28  공감 김혜연 신부 
2396호 2016.08.21  좁은 문을 지나려면… 김남수 신부 
2395호 2016.08.14  콩가루 집안 김재관 신부 
2395호 2016.08.14  성모 승천 대축일 최승일 신부 
2394호 2016.08.07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권순호 신부 
2393호 2016.07.31  행복한 삶 김두진 신부 
2392호 2016.07.24  청하고, 찾고, 두드려라. 민병국 신부 
2391호 2016.07.17  필요한 것 한 가지 이재원 신부 
2390호 2016.07.10  영원한 생명을 받는 길 이영창 신부 
2389호 2016.07.03  오늘날의 순교의 삶 이재혁 신부 
2388호 2016.06.26  “예루살렘으로 가시려고 마음을 굳히셨다.”(루카 9, 51) 정호 신부 
2387호 2016.06.19  동상이몽(同床異夢) 이균태 신부 
2386호 2016.06.12  진심을 담으면 계만수 신부 
2385호 2016.06.05  자비의 얼굴 윤기성 신부 
2384호 2016.05.29  성체성사의 기적 신문갑 신부 
2383호 2016.05.22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권동성 신부 
2382호 2016.05.15  성령의 바람에 우리의 몸을 맡기자 박규환 신부 
2381호 2016.05.08  기뻐하는 주님의 증인 김주현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