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한 죽음

가톨릭부산 2015.10.19 01:44 조회 수 : 37

호수 2335호 2015.07.05 
글쓴이 김근배 신부 

거룩한 죽음

김근배 아벨 신부 / 금정성당 주임

오늘은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대축일입니다.

순교자란 자기가 믿음으로 증거하는 바를, 하나밖에 없는 목숨을 바치면서까지 증거한 사람입니다. 참으로 거룩한 죽음을 보여주신 분입니다.

생물학적 죽음은 우리 육체의 생명이 끊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심장의 고동이 그치고 숨결이 멎어버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거룩한 죽음은 육체의 생명이 끊어져 싸늘한 시체가 되어버린다고 해도, 그 죽음으로도 죽여 버릴 수 없는 산 정신이 남아있는 죽음입니다. 육체가 죽어버림과 동시에 모든 것이 끝나버리고 우리 기억에서 사라지고 마는 죽음은 거룩한 죽음이 될 수 없습니다.

거룩한 죽음은 그 육체가 죽었기 때문에 모든 것이 사라지는 죽음이 아니라, 그 죽음을 포함한 죽은 사람의 정신이 살아남아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기억하게 하는 죽음입니다. 죽은 사람의 산 정신이 살아남은 죽음, 그것이 바로 거룩한 죽음입니다. 하지만 세상에는 거룩하게 사는 사람도 드물지만, 거룩하게 죽은 사람은 더욱더 보기 힘듭니다. 왜냐면 거룩한 죽음은 그만큼 힘들고 어려운 죽음이기 때문입니다.

자연사도 피할 수 있으면 피하려고 하는 것이 보통 사람들의 마음일진대, 진리와 정의와 자유를 위해서 그리고 무엇보다 신앙을 위해서 목숨을 바치는 일이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거룩한 죽음은 그저 육적인 삶만을 추구하는 욕망을 가진 이에게는 찾을 수 없습니다. 거룩한 죽음은 편안하게 안락을 누리며, 원하는 것을 다 취하려고 하는 이에게는 찾을 수 없습니다. 거룩한 죽음은 거룩한 정신, 사상, 믿음을 가진 이에게서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거룩한 죽음은 진리와 정의, 자유와 평화 같은 높은 가치를 추구하는 삶의 결과에서만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이 거룩한 죽음을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께서는 믿음의 증거로써 보여주셨습니다. 오늘 이 뜻깊은 대축일을 맞이하면서, 참으로 극한 상황에서도 하느님의 섭리 속에 이루어질 하느님 나라에 대한 의연한 희망을 갖고 거룩한 죽음을 맞으신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의 굳건한 믿음을 마음에 기리며 그 삶을 본받기로 다짐합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51호 2015.10.25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심원택 신부 
2348호 2015.10.04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김두윤 신부 
2347호 2015.09.27  감사와 나눔의 한가위 이찬우 신부 
2346호 2015.09.20  내적 피 흘림의 삶을 기쁘게 삽시다. 이기정 신부 
2345호 2015.09.13  예수님의 여론 조사와 베드로 사도의 고백 김석중 신부 
2344호 2015.09.06  제대로 듣고 제대로 말하기 노영찬 신부 
2343호 2015.08.30  더 중요한 것은? 김평겸 신부 
2342호 2015.08.23  생명의 빵, 생명의 말씀 김영호 신부 
2341호 2015.08.16  미사 참례 이유 김두완 신부 
2341호 2015.08.16  은총 가득한 사람 박근범 신부 
2340호 2015.08.09  행복합니까? 살 맛이 납니까? 김옥수 신부 
2339호 2015.08.02  확고한 믿음의 표현인 영성체 정영한 신부 
2338호 2015.07.26  합심(合心) 김상호 신부 
2337호 2015.07.19  가서 좀 쉬어라 홍성민 신부 
2336호 2015.07.12  지팡이 하나만 가지고 최득수 신부 
2335호 2015.07.05  거룩한 죽음 김근배 신부 
2334호 2015.06.28  손 내밀어 다가오시는 주님 김승주 신부 
2333호 2015.06.21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마르 4, 40) 표중관 신부 
2332호 2015.06.14  하느님 나라의 역동성 권지호 신부 
2331호 2015.06.07  성체 안에 머무시는 예수님 윤경철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