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 | 2397호 2016.08.28 |
|---|---|
| 글쓴이 | 김혜연 신부 |
공감
김혜연 사도 요한 신부 / 지산고등학교 교목
오늘 복음 중에 예수님께서는“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루카 14, 11)라고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바로 겸손에 대해서 말씀하고 계십니다.
사실 겸손의 시작은 내가 아니라 상대방을 위한 배려에서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공감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상대방을 배려한다면서 그의 처지를 고려하지 않는 것은 오히려 몰지각한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겸손은 어느 가수의 노랫말처럼 힘든 일이기도 합니다.
“돌아가신 울아버지 울어머니 겸손하라 겸손하라 하셨지만 지금까지 안되는 것 딱 한가지 그건 겸손이라네 겸손 겸손은 힘들어 겸손 겸손은 힘들어”- 조영남“겸손은 힘들어”중
생후 네 살이면 표현된다는 공감하는 능력이 오히려 나이가 들면 들수록, 높은 지위에 오를수록, 가진 것이 많을수록 옅어진다고 하니‘육체의 성장과 영혼의 성숙을 함께 이룬다는 것이 참 힘든 일이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님께서는 공감 능력이 뛰어나신 분이셨기 때문에 어느 누구나의 사정을 이해하고 그 사람의 눈높이에 맞추어 행동을 하십니다. 그러기에 예수님께서는 과부의 하나뿐인 아들을 다시 살려주십니다.(루카
7, 11 참조) 그녀의 슬픔을 너무나도 잘 아셨기에 죽은 사람을 다시 살리시는 기적을 행하셨던 것입니다.
고통받는 이에 대한 연민이 필요합니다. 그들 앞에서 나는 상관없다고 하기보다‘나 역시도’하고 겸손해지는 것이 공감입니다. 사실 우리는 우리의 고통을 대신 겪으신 그리스도를 닮은 신앙인입니다. 예수님처럼 우리도 공감한다면 슬퍼하는 이들과 함께 그 슬픔을 나누어야 합니다. 불의의 사고로 가족을 잃은 이들을 공감한다면 그들을 매도하거나 조롱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오래된 경기침체 탓으로 삶이 팍팍해져 타인의 아픔을 모른 체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우리가 서로를 형제자매라고 부르는 것은 하느님의 사랑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웃의 아픔에 공감하고 겸손해질 때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하느님 나라가 우리 안에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
| 호수 | 제목 | 글쓴이 |
|---|---|---|
| 2399호 2016.09.11 | 잃어버린 것들 | 이상윤 신부 |
| 2398호 2016.09.04 | 더 오래갈 것들 | 서진영 신부 |
| 2397호 2016.08.28 | 공감 | 김혜연 신부 |
| 2396호 2016.08.21 | 좁은 문을 지나려면… | 김남수 신부 |
| 2395호 2016.08.14 | 콩가루 집안 | 김재관 신부 |
| 2395호 2016.08.14 | 성모 승천 대축일 | 최승일 신부 |
| 2394호 2016.08.07 |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 권순호 신부 |
| 2393호 2016.07.31 | 행복한 삶 | 김두진 신부 |
| 2392호 2016.07.24 | 청하고, 찾고, 두드려라. | 민병국 신부 |
| 2391호 2016.07.17 | 필요한 것 한 가지 | 이재원 신부 |
| 2390호 2016.07.10 | 영원한 생명을 받는 길 | 이영창 신부 |
| 2389호 2016.07.03 | 오늘날의 순교의 삶 | 이재혁 신부 |
| 2388호 2016.06.26 | “예루살렘으로 가시려고 마음을 굳히셨다.”(루카 9, 51) | 정호 신부 |
| 2387호 2016.06.19 | 동상이몽(同床異夢) | 이균태 신부 |
| 2386호 2016.06.12 | 진심을 담으면 | 계만수 신부 |
| 2385호 2016.06.05 | 자비의 얼굴 | 윤기성 신부 |
| 2384호 2016.05.29 | 성체성사의 기적 | 신문갑 신부 |
| 2383호 2016.05.22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 권동성 신부 |
| 2382호 2016.05.15 | 성령의 바람에 우리의 몸을 맡기자 | 박규환 신부 |
| 2381호 2016.05.08 | 기뻐하는 주님의 증인 | 김주현 신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