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수 | 2498호 2018.07.22 |
|---|---|
| 글쓴이 | 변미정 모니카 |
귀 기울이는 교회
변미정 모니카 / 초량성당, 노동사목 free6403@hanmail.net
세상에는 수많은 죽음이 있다. 삶과 죽음이 하나라고 하지만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의 반응, 방식, 태도는 다 다르다.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람이었냐에 따라 슬픔의 깊이가 달라질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르는 이의 죽음 앞에서도 그가 생전에 어떤 사람이었든 애도의 마음을 가지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쌍용자동차에서 정리해고 된 노동자가 죽었다. 고인은 해고 후 복직이나 취업이 되지 않아 신용불량자가 됐고, 공사장과 운전 일 등을 하며 생계를 이어오다 지난달 평택의 한 야산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쌍용차 정리해고 사태와 연관해 목숨을 잃은 30번째 사망자다. 노조와 대책위원회가 대한문 앞에 분향소를 설치했지만 보수단체 회원들은 조롱과 폭언, 의자 등을 던지면서 조문을 방해했다는 기사를 봤다. 세월호 유족들이 단식하는 앞에서 폭식 이벤트를 벌인 사람들이 오버랩되었다. 긴 탄식과 함께 절로 기도가 나왔다.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어쩌다 우리 사회가 이렇게 되었을까?
노동사목은 지난 해부터 준비해오던 노동자와 사회활동가 심리치유 모임을 올해부터 진행하고 있다. 근로기준법을 지키라며 1년 여의 시간을 고공농성했던 노동자, KTX 여승무원들처럼 장기 투쟁 사업장의 노동자, 노조조차 만들 수 없는 수많은 비정규직 노동자, 위험한 일은 다 맡고 있지만 언제 계약종료 될지 모르는 파견노동자, 온갖 궂은일은 다하며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현장 실습생이라는 이름의 청년 노동자, 최저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알바노동자 등 먹고 살기 위해 힘겹게 일하는 노동자들이 겪는 아픔과 슬픔 그리고 삶의 벼랑 끝에 서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의 처지를 살피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자리가 되고자 한다.
노동사목이 얼마 후면 교구에서 마련해 준 곳으로 이사를 간다. 우연찮게도 30여 년 전 가톨릭노동상담소가 첫 문을 열었던 지역이다. 고맙게도 사상성당과 담을 같이 쓰는 이웃이 된다. 비록 오래되고 낡은 건물이지만 신부님과 많은 노동자들이 몇 달 동안 땀 흘리며 노동자들을 위한 소박한 공간으로 만들었다. 돈이 우상이 되어버린 세상에서 가난하고 힘없는 노동자들을 위한 사목이란 게 어떤 의미를 가질까? 생각해본 적이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봉사(serve)하고, 동반(accompany)하며, 변호(advocate)해주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 믿는다. 이 또한 대부분 자신의 노동으로 살아가고 있는 우리 평신도들이 관심을 가지고 함께 기도와 힘을 모아줄 때 ‘노동사목’의 역할은 보다 풍성해질 수 있을 것이다.
| 호수 | 제목 | 글쓴이 |
|---|---|---|
| 2897호 2025. 11. 9 |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 추승학 베드로 |
| 2896호 2025. 11. 2 |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 김경란 안나 |
| 2895호 2025. 10. 26 |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 김지수 프리실라 |
| 2893호 2025. 10. 12 |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 정성호 신부 |
| 2892호 2025. 10. 6 | 생손앓이 | 박선정 헬레나 |
| 2891호 2025. 10. 5 |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 차재연 마리아 |
| 2890호 2025. 9. 28 |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 김동섭 바오로 |
| 2889호 2025. 9. 21 |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
| 2888호 2025. 9. 14 | 순교자의 십자가 | 우세민 윤일요한 |
| 2887호 2025. 9. 7 |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
| 2886호 2025. 8. 31 |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
| 2885호 2025. 8. 24 |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 탁은수 베드로 |
| 2884호 2025. 8. 17 | ‘옛날 옛적에’ |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
| 2883호 2025. 8. 15 |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 박시현 가브리엘라 |
| 2882호 2025. 8. 10 |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 조규옥 데레사 |
| 2881호 2025. 8. 3 | 십자가 | 조정현 글리체리아 |
| 2880호 2025. 7. 27 |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 도명수 안젤라 |
| 2879호 2025. 7. 20 |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 서현진 신부 |
| 2878호 2025. 7. 13 | 노년기의 은총 | 윤경일 아오스딩 |
| 2877호 2025. 7. 6 |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 이나영 베네딕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