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95호 2016.08.14 
글쓴이 홍성민 신부 

딸아이와 이야기하다 보면 저한테 짜증을 내고 화를 내어서 싸울까 봐 대화를 피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점점 더 서로를 이해하기 어려워지는 듯합니다. 이야기하자니 싸울 것 같고…, 하지 않자니 더 나빠지는 것 같고…,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홍성민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parvus@hanmail.net

  부모와 자식은 서로 사랑하면서도 또한 동시에 이해하기 가장 어려운 관계가 아닌가 싶습니다. 먼저 서로를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먼저 인정해야 합니다. 우리집이 뭔가 더 특별한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상대방을 이해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원래 아니라는 것입니다. 영어로 이해한다는 말을‘understand’라고 합니다.‘stand’는‘서다’라는 뜻이고,‘under’는‘아래’라는 뜻이니,‘아래로 선다’라는 뜻입니다. 즉, 자신이 위에 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의 뜻을 먼저 살펴야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저는 아래로 선다는 말이 마치 물구나무를 서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물구나무는 위아래가 바뀌는 것입니다. 즉 상대가 나를 이해시켜주는 것이 아니라,‘내가 너를 이해해보겠다.’라고 마음을 먹고, 내 입장과 내 생각을 뒤집어 상대방에 맞추어야 비로소‘이해’가 되는 것입니다. 많은 경우 문제는, 이해가 되지 않아서가 아니라, 이해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서로의 입장이나 생각이 같아져서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니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그 다름을 용서하여 화해가 이루어지면, 그 다름은 서로 배려하고, 양보하는 기회가 되고, 나아가 오히려 고마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를 만나기 전에 먼저 주님께,“제가 오늘 제 아이를 주님의 눈으로 바라보고, 주님의 마음으로 느끼게 하시어, 그 아이 안에 계신 주님을 제가 만나게 하소서!”라고 기도하시면 아이를 이해하고 대화하시는 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36 2380호 2016.05.01  성사를 볼 때마다 찝찝한 의무감에 성사를 봅니다. 저 자신이 완벽한 것은 분명히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회개’해야 할 만큼 큰 죄가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이런 제가 교만하다고 느껴지지만, 회개해야 한다면 저 자신의 어떤 점을 뉘우쳐야 하는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350
135 2381호 2016.05.08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저런 분들을 겪으면서 이제는“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 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지 않을까요? 장재봉 신부  581
134 2382호 2016.05.15  미사와 기도를 비롯한 신앙생활도 열심히 하고, 봉사활동도 나름 부지런히 하려고 애쓰며 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사는 것이 기쁘지 않습니다. 어디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307
133 2383호 2016.05.22  예수님께서 네 손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버리고, 네 발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버리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의 말씀대로라면 우리 모두 지금 장애인이 되어 있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참 받아들이기 힘든 말씀입니다. 권순호 신부  192
132 2384호 2016.05.29  성경에는 족보 이야기가 많은데 너무 지루해요. 꼭 읽어야 하나요? 염철호 신부  135
131 2385호 2016.06.05  성령 강림 대축일에 신부님께서 강론으로 성령은 우리 안에 일치를 이루신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과 하나가 되어주는 것이 성령의 뜻인가요? 만약 서로 의견이 맞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 누구의 편도 될 수 없다면 그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홍성민 신부  252
130 2386호 2016.06.12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 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 관면 혼배 등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몰라 문을 두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498
129 2387호 2016.06.19  세상은 여전히 정의보다는 불의가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고, 조금 더 이기적으로 약삭빠르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처럼 보입니다. 눈앞에 펼쳐진 것을 넘어서는 희망을 어디서 발견할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149
128 2388호 2016.06.26  자녀들이 좋은 대학과 좋은 회사에 들어가 성공하기를 기도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내 자녀가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다른 사람들은 못 들어가는 것인데, 그런 기도는 이기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녀들을 위해 어떻게 기도할지 막막합니다. 권순호 신부  317
127 2389호 2016.07.03  구약성경을 읽다보면 하느님의 천사가 나타나 이야기하다 돌연 하느님이 말씀하시는 것으로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던데 왜 그런가요? 염철호 신부  190
126 2390호 2016.07.10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 때, 무엇이 더 좋은 선택일지 몰라 불안합니다. 기도도 하지만 여전히 답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어떤 마음으로 기도해야 마음이 평화로울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144
125 2391호 2016.07.17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 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 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지… 꾸짖어 주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344
124 2392호 2016.07.24  성당에 가면 늘‘기뻐하라’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내 삶이 그리 기쁘지도 않고, 또 그리스도인이라면 왜 기뻐해야 하는지 그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35
123 2393호 2016.07.31  천주교는 세례를 받기 위해 최소한 6개월 이상 교리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일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개신교처럼 천주교도 입교의 문턱을 낮추어 짧은 기간의 교육으로 세례를 받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335
122 2394호 2016.08.07  창세기에서 야곱은 이사악을 속이고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채는데, 이 이야기를 읽다 보면 에사오가 좀 측은해 보입니다. 염철호 신부  235
» 2395호 2016.08.14  아이와 이야기하다 보면 저한테 짜증을 내고 화를 내어서 싸울까 봐 대화를 피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점점 더 서로를 이해하기 어려워지는 듯합니다. 이야기하자니 싸울 것 같고…, 하지 않자니 더 나빠지는 것 같고…,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홍성민 신부  278
120 2396호 2016.08.21  집을 방문한 지인이“성당 가니까 안 믿겠지만 우산걸이를 현관에 놓아두면 복이 나간다”는 말이 있으니 자신도 믿는 건 아니지만“치우는 게 좋지 않겠냐?”고 했습니다. 자주 오시는 분이라 상대가 편하기를 바라면서 옮겼는데, 혹시 제가 미신을 믿는 것처럼 보였을까봐 걱정이 됩니다. 장재봉 신부  377
119 2397호 2016.08.28  너무 많이 가지고 있다고 늘 반성하면서도 틈만 나면 더 가지고 싶어 합니다. 그럴수록 버리라는 성경 말씀은 더 무겁기만 합니다. 더 가지고자 하는 삶은 나쁜가요? 홍경완 신부  202
118 2398호 2016.09.04  저는 성당에서 주일학교 교사로 봉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당에서 학생들이나 다른 사람들에게는 정말 친절한데, 집에서 자녀나 남편, 부모 등 가족에게는 함부로 대하는 저의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가족을 더 사랑해야 하는데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권순호 신부  447
117 2400호 2016.09.18  감사드리며 살고자 하지만 요즘 제 삶에는 감사드릴 만한 일이 없습니다. 하는 일마다 잘 안 되고, 가족간에도 크고 작은 갈등이 늘 있어 괴롭습니다. 하루를 시작하면 제발 오늘 하루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기를 더 바라는 저에게 감사는 사치같이 느껴집니다. 홍성민 신부  401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