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97호 2018.07.15 
글쓴이 임성근 신부 

주님의 기도를 바치기 전에 “삼가 아뢰오니”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임성근 신부 / 우동성당 부주임 pantaleon@naver.com
 

   미사 중에 다함께 “아멘”이라고 응답하고 나면, 영성체 예식을 시작하면서 사제는 이런 초대말로 주님의 기도를 인도합니다. “하느님의 자녀되어 구세주의 분부대로 삼가 아뢰오니” “삼가 아뢰다”는 말의 어감이 사극같다 여길지 모릅니다.

   헌데 그 전에 “삼가 아뢰다”는 말의 깊이를 음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표현은 그리스말 “파레시아”의 번역입니다. 이 단어는 신약성경에 40번 등장합니다. 바오로 사도는 ‘성령에 힘입어 말하다’(1 코린 12, 3) ‘담대하게 진리를 말하다’(에페 6, 19)는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합니다.

   파레시아는 유대교 회당에서 성령에 힘입어 말씀을 선포하는 모습, 그리스 문화에서 자유인이 법정이나 대중 앞에서 발언하는 모습, 순교자가 목숨을 걸고서 자신의 신앙을 떳떳이 밝히며 진리를 증언하는 모습, 영성가들이 하느님과 얼굴과 얼굴을 맞대고 대화하는 모습을 가리킵니다.

   가톨릭교회교리서는 이렇게 밝힙니다. “우리에게 주님의 기도를 드리도록 이끄시는 전능하신 성령의 힘을 동방과 서방의 전례에서는, 그리스도교의 아름답고 전형적인 표현으로써 담대함(파레시아), 단순 소박함, 자녀다운 신뢰, 기쁨에 찬 자신감, 겸손한 대담성,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 등으로 표현하였다” (가톨릭교회교리서 2778항)

   이제 “삼가 아뢰오니”라는 주님의 기도 초대말을 들으면 가슴이 벅차오르지 않으신가요?

   하느님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이십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 2189호 2012.11.25  하느님과 약속을 한 것이 있는데 계속 지키지 못해 죄책감이 듭니다. 왠지 벌 받을 것 같은 느낌도 들고, 그래서 마음이 더 불안하고, 하느님이 두렵게 느껴집니다. 하느님과 약속하는 것이 죄가 되나요? 홍성민 신부  70
35 2188호 2012.11.18  본당 신부님이 강론에서 내가 바라는 기도는 하지 말고 하느님이 원하시는 기도를 하라고 하시던데 제가 바라는 기도를 하면 안 되는지요? 어떤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  166
34 2187호 2012.11.11  도발적으로 물어봅니다. 이웃은 왜 사랑해야 하는 겁니까? ‘영원한 벌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며 미래로 떠넘기는 대답은 싫습니다. 홍경완 신부  100
33 2186호 2012.11.04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83
32 2185호 2012.10.28  인터넷으로 야한 동영상을 내려받아 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몇 번씩이나 저장된 파일을 다 지우고 다신 보지 않겠다고 다짐도 했지만, 다시 제자리입니다. 어떻게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491
31 2184호 2012.10.21  불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새 신자입니다. 불교에서 1년에 한 번 절에 가면 되는 데 천주교에서 왜 굳이 일주일에 한 번은 성당에 나오라고 하며 귀찮게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  374
30 2183호 2012.10.14  ‘성당 다니는 사람이 어쩌면 그럴 수 있니?’라며 실망하는 말을 주변에서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41
29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7
28 2181호 2012.09.30  요즘 힘들어하는 저에게, 사람들은 기도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열심히 기도해도 제가 원하는 바가 이뤄진 경험은 없습니다. 기도하면 정말 들어주시나요? 홍성민 신부  105
27 2180호 2012.09.23  우리는 구원을 어떻게 얻을 수 있습니까? 좋은 일을 많이 하면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까? 그런데 구원은 하느님의 선물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럼 착한 일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소용이 없는가요? 권순호 신부  155
26 2179호 2012.09.16  동료로부터 가톨릭은 미사 전례를 비롯한 모든 기도가 지나치게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아 대꾸조차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69
25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53
24 2177호 2012.09.02  손녀가 생후 22개월째에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그후 매일 위령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사람들이 어린이들은 하늘나라에서 천사가 되어 있을 건데 위령기도를 바친다는 것이 좀 그렇다고 합니다. 위령기도를 계속해서 바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홍성민 신부  243
23 2176호 2012.08.26  대부분의 사람은 하느님이 보시기에 죄인이기 때문에 죽으면 연옥에서 벌을 받고 난 후에야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하느님이 자비로운 분이시라면 우리를 굳이 무서운 연옥 벌을 받게 하지 않고 바로 천국으로 보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2
22 215호 2012.08.19  두 아이의 엄마입니다. 아이들을 잘 키우고 싶다는 생각에, 내 꿈과 아이들의 꿈을 섞어버려, 내 꿈이 곧 아이들의 꿈인 것처럼 착각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고민입니다. 홍경완 신부  177
21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3
20 2173호 2012.08.12  제 친구가 성당에서 같은 신자들에게 상처를 받아서 더는 신자생활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친구의 마음을 돌리고 싶은데, 뭐라고 말해 주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182
19 2172호 2012.08.05  성경에 보면 보지 않고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성당에 오면 십자가나 성물에 예수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왜 예수님의 말씀과 달리 성당에서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믿게 하려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215
18 2171호 2012.07.29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53
17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