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393호 2016.07.31 |
---|---|
글쓴이 | 권순호 신부 |
천주교는 세례를 받기 위해 최소한 6개월 이상 교리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일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개신교처럼 천주교도 입교의 문턱을 낮추어 짧은 기간의 교육으로 세례를 받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천주교는 다른 어떤 종교보다 입문 과정인 예비신자 교리가 쉽지 않습니다. 외울 것도 많고, 공부할 것도 많고, 그 기간도 짧지 않습니다. 어느 신학자가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참여적 지식이라고 말합니다. 내가 참여하여 변하지 않고서는 결코 알 수 없는 진리입니다. 악기나 스포츠를 배우는 것이 참여적 지식에 해당합니다. 아무리 배드민턴이나 기타에 대한 이론을 학교 교실에서 배우고 책으로 읽는다고해도, 배드민턴이나 기타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직접 참여하여 해 봐야 합니다. 그리고 단시일 만에 끝나지 않습니다. 오랜 기간 연습을 통해 배드민턴을 할 수 있는 근육이 몸에 붙어야 배웠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진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초대 그리스도교 예비신자 교리의 교육과정을 살린 그리스도교 입문 예식은 참여적 진리를 배우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단지 이론이나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교의 전례와 윤리 그리고 세계관을 몸에 익혀서 삶을 바꾸는 여정이지요. 다른 나라에서는 3년 전례 주기를 다 경험하도록 그리스도교 입문 과정을 3년으로 정하기도 합니다. 그에 비해 한국의 보편적인 6개월의 예비신자 교리는 속성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 많은 사람들은 여가 시간에 악기나 운동을 익히기 위해 많은 노력과 시간과 자금을 쓰는 데 아까워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구원에 관련된 지혜인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익히는 데 고작 6개월이라는 시간을 아까워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