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신비

가톨릭부산 2016.07.20 10:19 조회 수 : 94

호수 2392호 2016.07.24 
글쓴이 하창식 프란치스코 

신앙의 신비

하창식 프란치스코 / 수필가 csha@pnu.edu

  성실한 공무원이자 한 집안의 자상한 가장이었습니다.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가는 퇴근길에 날벼락을 맞았던 사건이 새삼 생각납니다. 투신자살하던 한 젊은이에게 부딪혀 그만 안타깝게 목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한 젊은이 때문에 애먼 목숨을 잃은 그 가장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겠지만 우리 일상생활 가운데도 비슷한 경험들을 많이 하지요. 우연히, 정말 우연히, 이런저런 불행한 일들을 많이 겪습니다. 몇 년 전에 제 동료 한 분은 건물 밖에 있는 다른 동료를 보고 반가운 마음에 쫓아 나오다가 현관 유리창에 부딪쳤습니다. 이마가 찢어지고 눈을 크게 다쳤습니다. 실명할 뻔했던 큰 사고였습니다.
  그 가장의 경우도 그렇고, 해외여행 중에 그런 아찔한 사고를 당한 그 동료도 그렇고, 우리들이 일상 중에 가끔씩 겪는 불행한 우연에 대해 많은 생각이 듭니다.
  예비자 교리를 공부할 때 가끔씩 제 머릿속을 어지럽히던 의문이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어른들이 벌인 전쟁 때문에 목숨을 잃은 죄 없는 어린이들, 이른바‘묻지 마’살인이나 테러 등으로 목숨을 잃은 안타까운 이웃들의 이야기는 말할 것도 없고, 우리들에게 일어나는 우연한 불행에 대해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은 어떨까가 궁금했습니다.‘이런 부조리한 것을 믿는 것이 신앙의 힘’이라는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그런 교회의 가르침을 머리로 이해하기가 쉽지가 않았습니다. 하지만 신앙생활의 연륜이 깊어질수록 제 마음속에 나도 모르게 배워 익히게 된 가르침 중의 하나는 바로‘받아들임의 신비’가 아닌가 합니다. 신앙이 아예 없었을 때나 새내기 신자일 때엔 저나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불행한 우연에 대해 모든 것을 운명으로 치부했습니다. 드라마 같은 하느님 구원의 역사를 머리로‘이해’하려고 애썼습니다.
  미사에 참례하여 신부님의 강론을 듣고 기도하며 성경과 신심서적을 읽는 세월이 더해 갈수록, 조금씩 생각이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웃들에게 일어난 불행한 우연에 대한 원인을 따지려고 하기보다, 알고 있든, 생면부지이든, 이웃을 위해 하느님의 자비와 은총을 구하는 기도를 먼저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내가 잘못한 게 없는데도 제게 우연히 일어난 불행에 대해서도, 감사의 기도를 드리려고 애쓰는 제 모습을 바라봅니다. 더 큰 불행이 아니라서 다행이고, 그런 불행한 우연이 또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늘 조신해야 한다는 깨우침을 갖도록 해 주신 주님의 손길을 어렴풋이 느끼게 되었습니다.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시나브로 깨달아 가는 이런 배움의 과정이 바로 신앙의 신비가 아닌가 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96호 2016.08.21  국회의원들은 최저임금으로 살 수 있을까요? 성지민 그라시아 
2395호 2016.08.14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성모님의 아름다운 군대를 아시나요? 부산 바다의 별 레지아 
2394호 2016.08.07  나를 딛고 일어나라 윤철현 프란치스코 
2393호 2016.07.31  무엇이 중헌디? 탁은수 베드로 
2392호 2016.07.24  신앙의 신비 하창식 프란치스코 
2391호 2016.07.17  불공평한 땀 이영훈 신부 
2390호 2016.07.10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부산교구 청소년사목국의 청년들 청소년사목국 
2389호 2016.07.03  나는 밀인가 가라지인가 이재웅 안토니오 
2388호 2016.06.26  힘들 때 쪼르르 달려갈 곳 박주영 첼레스티노 
2387호 2016.06.19  고우십니다 김양희 레지나 
2385호 2016.06.05  꾸르실리스따! 너는 누구냐? 이종인 디오니시오 
2384호 2016.05.29  주일학교 단상(斷想) 전영주 바오로 
2383호 2016.05.22  그리운 성당 종소리 김상진 요한 
2382호 2016.05.15  평화가 너희와 함께! 최순덕 세실리아 
2381호 2016.05.08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름‘어머니’ 김검회 엘리사벳 
2380호 2016.05.01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우리 성당 주일학교를 소개합니다 청소년사목국 
2379호 2016.04.24  부활의 삶은? 강송환 마르코 
2378호 2016.04.17  봄날은 간다 탁은수 베드로 
2377호 2016.04.10  소중하고 아름다운 ‘작은 것’ 장영희 요한 
2376호 2016.04.03  침묵의 의미와 영성생활 이영훈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