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94호 2018.06.24 
글쓴이 권순호 신부 

예수님께서 우리에게ㅤ매일ㅤ십자가를ㅤ져야ㅤ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십자가의ㅤ고통을ㅤ받아들이는 것은ㅤ무슨ㅤ의미인가요?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고통을 피하려고 하는데, 예수님의 말씀을 따른다면, 고통 자체를 즐기라는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albkw93@hotmail.com
 

  고통은 모든 사람들이 다 피하고 싶은 것입니다. 그런 고통을 오히려 즐기는 심리적인 병을 메조키스트라고 합니다. 메조키스트는 고통 그 자체를 선택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말씀하신 십자가는 고통 그 자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여 고통을 감내하는 것이지요. 이것은 ‘위하여’의 삶을 말하는 것입니다. 어느 불의의 사고로 전신불수가 되어 10년간 침대에서 누워만 있는 30대 젊은이를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젊은이는 평소와 달리 심각한 표정으로 저에게 하느님은 왜 고통을 자신에게 주셨는지를 물었습니다. 사고로 자신의 꿈도 청춘도 다 잃고 자신이 볼 수 있는 것은 오직 조그만 차창 밖의 작은 하늘 밖에 없는데, 이런 고통이 자신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의 고통은 인류를 위해 자신을 바치시는 예수님의 십자가의 고통에 동참하시는 것이라고, 그래서 예수님을 위해 고통을 감내 해 보시라고 말했습니다. 저의 말에 그 젊은이의 눈에 빛이 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의미치료법으로 유명한 유대계 심리학자 빅터프랭클은 인간은 ‘위하여’의 존재가 되었을 때 자신의 삶을 가치를 깨닫게 된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삶 속에 고통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맞이할 수 있는 가장 처참한 고통이더라고 그것으로 끝이 아니라, 보다 높은 가치, 인류의 구원의 십자가에 동참할 수 있음을 예수님은 가르쳐 주십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 2189호 2012.11.25  하느님과 약속을 한 것이 있는데 계속 지키지 못해 죄책감이 듭니다. 왠지 벌 받을 것 같은 느낌도 들고, 그래서 마음이 더 불안하고, 하느님이 두렵게 느껴집니다. 하느님과 약속하는 것이 죄가 되나요? 홍성민 신부  70
35 2188호 2012.11.18  본당 신부님이 강론에서 내가 바라는 기도는 하지 말고 하느님이 원하시는 기도를 하라고 하시던데 제가 바라는 기도를 하면 안 되는지요? 어떤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  166
34 2187호 2012.11.11  도발적으로 물어봅니다. 이웃은 왜 사랑해야 하는 겁니까? ‘영원한 벌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며 미래로 떠넘기는 대답은 싫습니다. 홍경완 신부  100
33 2186호 2012.11.04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83
32 2185호 2012.10.28  인터넷으로 야한 동영상을 내려받아 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몇 번씩이나 저장된 파일을 다 지우고 다신 보지 않겠다고 다짐도 했지만, 다시 제자리입니다. 어떻게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491
31 2184호 2012.10.21  불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새 신자입니다. 불교에서 1년에 한 번 절에 가면 되는 데 천주교에서 왜 굳이 일주일에 한 번은 성당에 나오라고 하며 귀찮게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  374
30 2183호 2012.10.14  ‘성당 다니는 사람이 어쩌면 그럴 수 있니?’라며 실망하는 말을 주변에서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41
29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7
28 2181호 2012.09.30  요즘 힘들어하는 저에게, 사람들은 기도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열심히 기도해도 제가 원하는 바가 이뤄진 경험은 없습니다. 기도하면 정말 들어주시나요? 홍성민 신부  105
27 2180호 2012.09.23  우리는 구원을 어떻게 얻을 수 있습니까? 좋은 일을 많이 하면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까? 그런데 구원은 하느님의 선물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럼 착한 일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소용이 없는가요? 권순호 신부  155
26 2179호 2012.09.16  동료로부터 가톨릭은 미사 전례를 비롯한 모든 기도가 지나치게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아 대꾸조차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69
25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53
24 2177호 2012.09.02  손녀가 생후 22개월째에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그후 매일 위령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사람들이 어린이들은 하늘나라에서 천사가 되어 있을 건데 위령기도를 바친다는 것이 좀 그렇다고 합니다. 위령기도를 계속해서 바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홍성민 신부  243
23 2176호 2012.08.26  대부분의 사람은 하느님이 보시기에 죄인이기 때문에 죽으면 연옥에서 벌을 받고 난 후에야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하느님이 자비로운 분이시라면 우리를 굳이 무서운 연옥 벌을 받게 하지 않고 바로 천국으로 보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2
22 215호 2012.08.19  두 아이의 엄마입니다. 아이들을 잘 키우고 싶다는 생각에, 내 꿈과 아이들의 꿈을 섞어버려, 내 꿈이 곧 아이들의 꿈인 것처럼 착각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고민입니다. 홍경완 신부  177
21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3
20 2173호 2012.08.12  제 친구가 성당에서 같은 신자들에게 상처를 받아서 더는 신자생활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친구의 마음을 돌리고 싶은데, 뭐라고 말해 주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182
19 2172호 2012.08.05  성경에 보면 보지 않고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성당에 오면 십자가나 성물에 예수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왜 예수님의 말씀과 달리 성당에서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믿게 하려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215
18 2171호 2012.07.29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53
17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