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수 셀 줄 아는 슬기

가톨릭부산 2015.10.15 04:48 조회 수 : 51

호수 2144호 2012.01.22 
글쓴이 노영찬 신부 

날 수 셀 줄 아는 슬기

부산 가톨릭의료원장 노영찬 신부

음력 정월 초하룻날인 설은 우리 민족의 가장 큰 명절이자 새로운 한해의 기운이 강하게 꿈틀거리며 펼쳐지는 때이다. 그래서 떡국 한 그릇을 먹는 일도 그저 주린 배를 채우는 행위가 아니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특별한 행사가 된다. 설을 기점으로 나이의 단위가 올라간다는 이러한 전통적인 집단의식은 오늘 전례에 나오는 하느님 말씀과 통한다.
사실 우리네 인생살이란 하느님 편에서 보면 지극히 짧은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는다. 영원하신 하느님의 시간에 비추면 천 년도 한 토막 밤에 불과하다.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안개와 같은 삶. 아침에 피었다가 푸르렀다가, 저녁에는 시들어서 말라버리는 풀처럼 덧없다. 야고보 사도는 이렇게 말한다. “자, 이제 오늘이나 내일 어느 어느 고을에 가서 일 년 동안 그곳에서 지내며 장사를 하여 돈을 벌겠다 하고 말하는 여러분! 그렇지만 여러분은 내일 일을 알지 못합니다.”(야고 4, 13∼14) 언제 어떤 방식으로 나에게 주어진 시간이 마감될지, 그래서 본래 나의 것이 아니었던 내 생명을 언제 어떤 모양으로 거두어 가실지 아는 인간은 없다는 말씀이다. 대체로 자신에게는 아직도 많은 날들이 남아 있다고 생각하면서 살아간다.
그러기에 우리는 설을 지내면서 우리가 살아야 할 삶의 날들에 대해 시편 90장에 나타나는 절절한 말씀을 우리 각자의 염원이 되도록 각성했으면 한다. “날 수 셀 줄 알기를 가르쳐 주시어, 저희들 마음이 슬기를 얻게 하소서.” 자칫 허망과 좌절, 낙담과 우울로 가라앉는 무의미한 삶의 늪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삶의 가치와 의미를 창출하고 발견하는 슬기와 지혜를 부단히 터득해야 하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날 수 셀 줄 아는’ 태도, 다시 말하면 시간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말씀이다.
‘나는 어떤 시간대를 살아가고 있는가’라고 자문해 보면, 많은 경우 ‘지금’이라는 시간의 영역이 아니라 다른 시간대에 얽매여 허덕이는 자신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시간, 아직 오지 않은 시간을 삶의 시간으로 여기며 사는 것은 제대로 날 수를 헤아리는 태도가 아니다. 내가 숨 쉬고 살아가는 이 자리에서 나와 함께하는 순간순간이 주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생생히 체험하는 것이야말로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알차게 사는 길이다. 한번 지나가면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것이 시간이기에 정신을 가다듬고 깨어 지금의 시간을 충만히 사는 사람은 오늘 민수기가 말하는 축복의 말씀 안에 항상 머물 것이다. “주님께서 그대에게 당신 얼굴을 들어 보이시고 그대에게 평화를 베푸시리라.”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우리는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file 최정훈 신부 
2896호 2025. 11. 2  우리의 영광은 자비에 달려있습니다 file 염철호 신부 
2895호 2025. 10. 26  분심 좀 들면 어떤가요. file 최병권 신부 
2894호 2025. 10. 19  전교, 복음의 사랑으로 file 김종남 신부 
2893호 2025. 10. 12  우리가 주님을 만날 차례 file 한종민 신부 
2892호 2025. 10. 6  복음의 보름달 file 김기영 신부 
2891호 2025. 10. 5  느그 묵주 가져왔나? file 김기영 신부 
2890호 2025. 9. 28  대문 앞의 라자로를 외면하지 마십시오. file 정창식 신부 
2889호 2025. 9. 21  신적 생명에 참여하는 삶 file 조성문 신부 
2888호 2025. 9. 14  나를 죽이고 십자가를 지는 삶 file 박재범 신부 
2887호 2025. 9. 7  더 크게 사랑하기 위해서는? file 이재원 신부 
2886호 2025. 8. 31  행복을 선택하는 삶 file 박호준 신부 
2885호 2025. 8. 24  ‘좁은 문’ file 이영훈 신부 
2884호 2025. 8. 17  사랑의 불, 진리의 불 file 이영창 신부 
2883호 2025. 8. 15  마리아의 노래-신앙인의 노래! 김대성 신부 
2882호 2025. 8. 10  그리움, 기다림, 그리고 깨어있는 행복! file 김대성 신부 
2881호 2025. 8. 3  “만족하십시오.” file 이재혁 신부 
2880호 2025. 7. 27  “노인(老人)=성인(聖人)” file 정호 신부 
2879호 2025. 7. 20  마르타+마리아=참으로 좋은 몫 file 이균태 신부 
2878호 2025. 7. 13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file 계만수 신부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