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 그것은 세상에서 하기 가장 어려운 일
김종엽 바르나바 신부 / 삼계성당 주임
교우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름 내내 지루한 장마가 우리를 힘들게 했는데, 뒤늦게 늦더위가 기승을 부립니다. 비록 햇살이 따갑지만, 그동안 힘겹게 버텨오던 곡식이며 과일들이 조금은 힘을 내는 듯해서, 마냥 싫고 힘들지만은 않습니다.
오늘 복음 말씀은 무자비한 종의 비유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왜, 그리고 무엇이 무자비한가 하니, 자기는 이해받고 용서받길 바라면서, 남의 잘못은 보고 넘기지 못하는 어리석고 못된 우리의 모습 때문입니다. 그런 것을 무자비하다고 하면,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도 무자비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못나고 이기적인 모습이 우리의 현실일까요? 주님의 자비와 사랑을 청하면서, 우리 스스로는 결코 너그러워질 수 없는 것일까요?
‘용서, 그것은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어려운 이유가 외부로부터 기인하는 것만은 아닌 듯합니다. 저 자신을 보더라도, 화가 나고 짜증나고, 이해와 용서가 힘들 때는, 외부의 문제라기보다는 스스로에게 그 까닭을 느낄 때가 더 많습니다. 기분 좋으면 마음도 넓어지고 훨씬 부드럽고 여유가 있고 너그러워지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일이 잘 안 풀리거나 피곤하고 스트레스에 쌓여 있을 때는 예민해지고 참지 못하며 못된 속을 다 보이고 맙니다. 그로 인해 부정적이고 외골수로 변해가는 자신을 보며, 나아질 것을 포기하고, 그렇게 된 이유와 책임을 세상과 이웃에서 찾고 원망합니다. 용서가 어려운 만큼 친구는 점점 사라지고, 같은 삶을 살아도 외롭고 무미건조한 일상을 살아갑니다.
‘용서 그 먼 길 끝에 당신이 있습니까?’라는 영상물에서는 말합니다. 살기 위해 용서하는 자와 분노의 힘으로 살아가는 자! 사람은 용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에, 결국 이 두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되고, 다시 행복하기 위해 우리는 용서하는 길을 걸어야 한다고 말입니다. 주님은 오늘 복음 말씀을 통해, 우리가 하느님께 많은 빚을 지고 사는 사람임을 일깨워 주십니다. 주님의 은총과 자비를 체험하면서 이웃을 용서하고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남을 용서하고 받아들일 때 주님께 빚진 우리도 주님께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용서는 ‘세상에서 가장 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그래도 하느님은 용서하길 바라십니다. 나 자신을 위하여, 다시 행복하기 위하여! 무자비한 우리의 모습을 버리고, 자비로울 줄 아는 하느님의 자녀로 나아갑니다. 선하신 하느님을 닮은 오늘 하루를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