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85호 2018.04.22 
글쓴이 임성근 신부 

제게 성소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임성근 신부 / 우동성당 부주임 pantaleon@naver.com
 

  성소에 대한 질문의 출발점은‘‘내’가 무슨 선택을 하는가?’가 아니라‘‘하느님’께서 나를 부르시는가?’입니다. 성소는 단 한 번의 결단이라기보다 오랜 시간을 두고 식별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성소를 식별할 때 세 가지를 꼽아봅시다. 우선 본인 자신의 결단과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거기에 맞갖는 실력과 자질도 겸비해야 하는데 곧,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는 인성과 사회성, 학업을 성실히 수행할 수 있는 지성, 내적인 생활과 성덕을 닦을 수 있는 영성, 그리고 타인을 돌볼 수 있는 사목적 자질이 있어야 합니다.
  둘째로 신앙 공동체입니다. 성소는 자기가 속한 신앙 공동체 안에서 시작되고 양육됩니다. 그런 면에서 자신의 성소는 소속 본당이나 공동체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것입니다. 성소에 있어서 신앙 공동체의 중요성은 사제 서품식 경문에도 드러납니다.“거룩한 어머니이신 교회는 주교님께서 여기 있는 이 부제들을 사제로 서품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라고 합니다.‘제가 하고 싶으니까 저를 서품해주세요’라고 하지 않고‘신앙 공동체가 원하니까 이 후보자를 서품해주세요’라고 표현합니다.
  셋째는 가정의 역할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은‘당신의 가정은 성소친화적입니까?’라고 물으셨습니다. 가정은‘최초의 신학교’가 되어 어린이들이“어려서부터 신앙과 기도가 무엇인지, 교회에 대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현대의 사제양성 41항) 물론 이 말은 가정이 완벽해야 성소가 생긴다는 뜻은 아닐 것입니다. 오히려 가정에서 겪은 기쁨과 슬픔, 행복과 위기 모두가 사제 성소의 밑거름이 된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 2483호 2018.04.08  마지막 날 부활 때 헤어진 가족들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부모님께서 아프실 때 해드리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습니다. 다시 만나면 꼭 해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요. 염철호 신부  311
35 2484호 2018.04.15  저는 알코올 중독자는 아닙니다만, 술을 좋아해서 가끔 건강이 염려됩니다. 배도 점점 나오고, 술 마신 다음 날은 많이 피곤합니다.‘술을 좀 줄여야 하나?’라는 생각이 드는데, 금단현상 같은 것은 없지만,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려워질까 봐 그러지를 못합니다. 홍성민 신부  127
» 2485호 2018.04.22  제게 성소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임성근 신부  143
33 2486호 2018.04.29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430
32 2487호 2018.05.06  불안한 미래 때문에 두렵습니다. 아무 것도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아 더 그렇습니다. 홍경완 신부  167
31 2488호 2018.05.13  성경을 보면 예수님은 가장 작은 계명이라도 어기면 하늘나라에서 가장 작은 이가 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런 예수님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작은 계명에 집착하는 것은 좀생이의 마음이 아닐까요? 권순호 신부  123
30 2489호 2018.05.20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직접 주님 스스로를 칭하시며“우리”라는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이 구절을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한 주님의 계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염철호 신부  116
29 2490호 2018.05.27  아이에게 평소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지만, 제가 다른 사람들을 만나거나, 일해야 할 때는 스마트폰을 주곤 하였는데 후회하고 있습니다. 점점 빠져드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129
28 2491호 2018.06.03  신부님 제의에 IHS라는 글자가 무슨 뜻인가요? 임성근 신부  296
27 2492호 2018.06.10  어머니, 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 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 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 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장재봉 신부  174
26 2493호 2018.06.17  아들과 관계가 점점 힘이 들더니 이젠 아예 틀어졌습니다. 아무리 애써도 그 녀석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17
25 2494호 2018.06.24  예수님께서 우리에게ㅤ매일ㅤ십자가를ㅤ져야ㅤ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십자가의ㅤ고통을ㅤ받아들이는 것은ㅤ무슨ㅤ의미인가요?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고통을 피하려고 하는데, 예수님의 말씀을 따른다면, 고통 자체를 즐기라는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166
24 2495호 2018.07.01  창세 18,2에 아브라함을 찾아온 세 분의 천사가 하느님으로 밝혀지는데, 주님께서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습으로 찾아오신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염철호 신부  165
23 2496호 2018.07.08  제가 ‘일 중독’인 듯합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께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일에 과도하게 애착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안다고 해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딱히 일 말고는 관심 있는 일이 없고, 일을 유능하게 해낼 때의 성취감이 가장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건강에 여러 문제가 생기고, 인간관계에도 어려움이 많아 스트레스도 받습니다. 홍성민 신부  113
22 2497호 2018.07.15  주님의 기도를 바치기 전에 “삼가 아뢰오니”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임성근 신부  269
21 2498호 2018.07.22  인간들이 자유를 잘못 사용할 때마다 하느님이 바로잡아 주면, 죄를 짓지 않을 테고 죄로 인한 고통도 당하지 않을 텐데 왜 그렇게 하지 않나요? 장재봉 신부  134
20 2499호 2018.07.29  미사나 기도할 때 손을 꼭 모아야 하나요? 홍경완 신부  209
19 2501호 2018.08.12  저는 항상 돈을 엄청 많이 벌기를 기도합니다. 이렇게 기도하는 것이 틀렸는가요? 돈이 많아야 남들에게 베풀 수도 있고 성당에 헌금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0
18 2502호 2018.08.19  여러 책에서 아마겟돈에서 인류 최후의 전쟁이 벌어진다고들 말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염철호 신부  112
17 2503호 2018년 8월 26일  저는 지금 어떤 직업을 선택해서 앞으로 살아야 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직업을 두고 고민하다 보면, 그 직업이 사회적으로 악용되는 부분이나, 비윤리적인 부분이 보여서 고민입니다.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아가기 위해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홍성민 신부  9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