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81호 2018.03.25 
글쓴이 홍경완 신부 

사순 시기에 특히 회개라는 단어를 자주 접합니다. 회개가 단순히 죄를 뉘우치는 것만은 아닌 것 같아 묻습니다. 회개의 보다 깊은 의미가 있다면 그게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jubo@catb.kr
 

  어느 글에서 회개는‘하느님에게 속한 것을 하느님께 되돌려드리는 일’이라고 읽은 적이 있습니다. 두세 단어로 회개가 무엇인지를 잘 표현하고 있으면서도 심오한 신학적 차원 또한 담고 있어 감명이 깊었습니다. 이 문장은 내가 가진 모든 것의 실제 주인이 누구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실상 엄밀히 따져보면 내 것이라 우기는 모두는 공짜로 거저 받은(마태 10,8) 것에 불과합니다. 진짜 내 것이라면 처음부터 내 것이어야 하는데, 그렇게 생각하는‘나’부터 처음에 존재하지도 않았습니다. 내 생명조차도 나의 공로와는 무관하게 그냥 주어진 것이지요. 재산도 잠시 내가 맡고 있는 것이고, 자녀도 사는 동안 내게 맡겨진 선물일 뿐입니다. 쉽지야 않겠지만 이런 생각을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훨씬 더 자유로울 것도 같습니다.
  이렇게 하느님의 것을 원주인에게 되돌릴 때 하느님의 자리가 다시 만들어집니다. 그 자리는 창조 때부터 있었고, 우리 삶에도 처음부터 있었던 자리이지만, 우리가 빼앗아 지금은 없어져 버린 자리입니다. 이 하느님 자리가 다시 회복되어야 합니다. 거기에 기쁨과 여유, 평화가 있기 때문입니다.‘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는 복음의 명령은 우리 삶 속에 바로 이 자리를 복구시키라는 간곡한 요청이기도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56 2461호 2017.11.19  “성경에 명시되지 않은 미사를 거행하는 것은 이단이 아니냐?”는 개신교 신자의 말에 곤혹스러웠습니다. 장재봉 신부  373
55 2462호 2017.11.26  위령성월의 보다 깊은 의미를 묻고 싶습니다. 단순히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하는 시간은 아닌 것 같기 때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151
54 2463호 2017.12.03  고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입니다. 솔직히 자녀들을 주일학교에도 보내고 신앙 교육도 시키고 싶지만, 당장 대학입시가 더 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녀들이 좋은 대학에도 가고 좋은 직장도 얻고 삶의 안정과 여유가 있을 때, 신앙을 찾아도 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281
53 2464호 2017.12.10  무거운 고통이 주어질 때 욥처럼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하며 참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현실적이지 못한 말씀인 듯합니다. 참으면 복이 온다는 식의 이야기는 아니겠지요? 염철호 신부  173
52 2465호 2017.12.17  예전부터 두통이 있거나, 몸살이 오면 진통제를 먹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약 없이 못 살 것 같아서 불안합니다. 안 먹어보려고도 했는데, 그러면 통증 때문에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약을 좀 더 쉽게 끊는 방법은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36
51 2466호 2017.12.24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장재봉 신부  393
50 2468호 2017.12.31  성경을 읽으며 하느님에 대해 상상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런 상상이 위험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상상하는 일이 신앙에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31
49 2470호 2018.01.07  성경에 보면, 하느님께 청하면 다 들어 주신다고 했는데, 저는 하느님께 아무리 청해도 원하는 것은 하나도 들어 주시지 않고 권순호 신부  167
48 2471호 2018.01.14  로마서 10장 10절을 보면 “마음으로 믿어 의로움을 얻고, 입으로 고백하여 구원을 얻습니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우리가 행하는 실천은 구원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268
47 2472호 2018.01.21  아이를 키우다 보면 힘들 때가 많습니다. 계속 고집을 피우거나 말을 안 들을 때는 화가 나서 손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면 죄책감이 들 때도 있고, 내 성격이 이랬나 싶어서 자괴감이 들기도 합니다. 홍성민 신부  226
46 2473호 2018.01.28  왜 성당에서는 침묵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221
45 2474호 2018.02.04  천주교는 기도 끝에“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663
44 2475호 2018.02.11  오늘도 근근이 살아가고 있는데, 미래는 더욱 캄캄해서 불안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조차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63
43 2476호 2018.02.18  요즘에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화해 분위기가 한창 조성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신앙인으로서 자유 민주주의 국가인 우리나라가 무신론을 신봉하는 공산주의의 국가와 한 팀으로 경기하는 것은 반대입니다. 하느님은 당연히 한국 편이지, 북한 편은 아니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16
42 2477호 2018.02.25  요나 4장 1절에서 예언자 요나는 니네베 사람들이 회개하여 하느님께서 재앙을 거두시자 매우 언짢아 화를 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122
41 2478호 2018.03.04  죄가 있는 상태에서 성체를 모시면, 모령성체라는 말을 듣고 불안해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성체를 모독한 죄는 고해성사로도 사함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고 더 불안해졌습니다. 사실 미사 전에 고해성사를 볼 시간이 없어서, 그냥 성체를 영한 적도 많기 때문에 벌 받을까 봐 두렵습니다. 홍성민 신부  332
40 2479호 2018.03.11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아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176
39 2480호 2018.03.18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 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장재봉 신부  206
» 2481호 2018.03.25  사순 시기에 특히 회개라는 단어를 자주 접합니다. 회개가 단순히 죄를 뉘우치는 것만은 아닌 것 같아 묻습니다. 회개의 보다 깊은 의미가 있다면 그게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117
37 2482호 2018.04.01  예수님께서는 어린이처럼 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고, 철부지 어린이에게 하느님의 뜻을 드러낸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어린이는 그렇게 순수하지도 않으며, 오히려 분별력도 참을성도 없고 미성숙합니다. 그런 미성숙한 사람이 되어야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고 하느님 뜻을 안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19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