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350호 2015.10.18 |
---|---|
글쓴이 | 성지민 그라시아 |
뭘 좀 더 깎으면 되나요?
성지민 그라시아 / 노동사목 free6403@hanmail.net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친구가 사진 한 장을 보여줬습니다.‘응? 이게 누구지?’갸우뚱거리고 있을 때 친구가 멋쩍은 웃음을 보이면서“니도 못 알아 보겠제? 내 이력서 사진 아이가!” 라고 합니다.‘도대체 얼마나 고치고 깎았기에 다른 사람이 되어 버린 거지?’라고 생각했지만 단순히 제 친구의 일만은 아닙니다. 이런 이력서 사진만 전문으로 찍어주는 사진관은 30분 단위로 예약이 잡혀있고, 당일 예약은 할 수도 없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많은 사람들이 똑같이 자기 얼굴을 고치고 깎아가며 누구인지 알아볼 수도 없는 사진을 찍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흔히 말하는 취업,‘노동’이라는 것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대부분의 취업준비생들이 이력서 사진을 이렇게 준비하고 있으니, 자신만 안 하면 예의(?)가 아닌 것 같아 거금 10만 원을 들여가며 스스로의 얼굴을 깎아냈다는 것입니다.
얼마 전 버스를 타고 지나가다 어떤 현수막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엄마아빠 일하는 시간 줄이고 월급 깎아 내 일자리(비정규직) 만들어 주는 것’이라는 문구로 기억합니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노동개혁과 임금피크제에 대한 이야기지요. 임금피크제를 통해 부모님의 정년을 늘려주는 대신 자식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언뜻 들으면 그럴싸하게 들리기도 하고 그렇게 해서라도 청년 일자리가 많아진다면 좋겠지요. 하지만 한 번만 더 생각해보면 고개가 갸우뚱해집니다. 지금 일자리들은 계약상 2년이 지나면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실의 기업들은 노동자들을 언제나 자르기 쉽게, 임금도 적게 주기 위해 1년도 아니고 3개월 단위로 계약을 하며 비정규직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청년고용을 의무화하기보다는 기업의 자율에 맡겨 놓고, 당연히 신입사원을 뽑아야 하는 기업의 의무조차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해주겠다는 노동개혁 정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부모님의 깎인 월급으로 제 친구들이 취업을 해도‘그래, 2년만 참으면 정규직(현 정책)이야’라고 생각했던 기간이 4년으로 늘어납니다. 다시 4년을 참고 열심히 일했지만 기업에서 경영난을 언급하며 다시 값싼 노동력을 찾아‘일반(쉬운)해고’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신의 사진을 깎으며 시작된 취업이 부모님의 임금마저 깎아야 얻을 수 있는 건가요?
노동자 스스로 자신을 깎게 만드는, 정당한 노동으로 임금을 받기 위해 더 많은 돈과 시간을 써야 하는 지금 이 상황은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요?
호수 | 제목 | 글쓴이 |
---|---|---|
1970호 2008.12.21 | 오시는 예수님을 기다리며 | 최충언 플라치도 |
1969호 2008.12.14 | 인연(因 緣) | 김영일 대건안드레아 |
1968호 2008.12.07 | ‘십당구락’과 화개 장터 |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
2352호 2015.11.01 | 맛있는 성가 이야기 | 김상진 요한 |
1967호 2008.11.30 | 소풍가던 날 | 김 루시아 수녀 |
1966호 2008.11.23 | 나만의 가을느낌 | 김욱래 아우구스티노 |
1965호 2008.11.16 | 오바마의 공감(共感) | 김영일 대건안드레아 |
1964호 2008.11.09 | 풍경 속의 작은 풍경 |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
1963호 2008.11.02 | 합의조건 | 김 루시아 수녀 |
2351호 2015.10.25 | 성가를 부르며 | 김새록 로사 |
2350호 2015.10.18 | 뭘 좀 더 깎으면 되나요? | 성지민 그라시아 |
2349호 2015.10.11 | 임마누엘 주님과 함께 다녀왔어요 | 김기영 신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