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안느와 마가렛

가톨릭부산 2018.02.28 10:22 조회 수 : 111

호수 2478호 2018.03.04 
글쓴이 김양희 레지나 

마리안느와 마가렛
 

김양희 레지나 / 동대신성당, 수필가 supil99@hanmail.net
 

  벌써 삼십여 년 전 일이다. 소록도를 방문했을 때는 천지에 잎새들이 무성할 때였다. 고흥군도 해풍에 씻긴 수목들은 참기름을 바른 듯 반들반들 초록 윤기를 머금고 있어 그곳이 서러운 섬이라기보다는 그저 사슴이 뛰노는 아름다운 섬으로 비치기도 했다.
  본당의 일행들이 소록도에 들어섰을 때 맞은편에서 녹음 가득한 오솔길 사이로 자동차 한 대가 지나갔다. 차창으로 벽안의 아름다운 두 여인이 행복하게 웃고 있었고 하얀 옷자락이 바람에 스쳐 흔들리고 있었다. 그 신선했던 기억은 영화의 한 장면이 되어 오래도록 선명한 기억으로 남게 됐다.
  그 두 여인이 마리안느와 마가렛이었다. 소록도의 두 천사. 그들은 꽃다운 젊은 나이에 가장 비참하고 도움이 필요한 곳을 찾아 동양의 작은 나라를 택했다. 매일 아침 병원을 돌며 한센인 환자들에게 따끈한 우유를 나눠주고 곪은 상처에 맨손으로 약을 발라주었으니 예수님을 대신한 사랑 그 자체였다.
  1960년과 62년에 각각 한국 땅을 밟은 마리안느와 마가렛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룩의‘그리스도 왕시녀회’소속 재속회원으로서 종신서원까지 했으나 수녀 대신 간호사로서 봉사의 삶을 선택했다.
  이십대에 소록도 땅을 찾아 이제 팔십대가 된 두 할머니. 낯선 나라에서 아낌없이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고 사십 년 넘게 환자들의 아픔과 외로움을 사랑으로 보듬고는 2005년 어느 날, 편지 한 장을 남긴 채 훌쩍 떠나갔다. 그들의 방에 붙여놓은 서툰 한글로 쓴 좌우명은‘선하고 겸손한 사람이 되자’였다.
  드물게 순수하고 품위 있고 겸손했던 사람들, 그들은 어떤 표창이나 시상식에도 결코 얼굴을 드러내지 않았다. 전남 고흥군에서는 이들의 봉사정신이 이어질 수 있도록‘마리안느 마가렛 봉사학교’를 설립 중이며 노벨평화상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방송을 위한 제작진들이 오스트리아 그들의 고향을 찾았으나 마리안느는‘대단한 일을 한 것도 아니다’라며 인터뷰를 거절했고, 마가렛은 치매 증세로 요양병원에 입원 중이었다. 더 이상 봉사의 삶이 어려워지자 남몰래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간 두 할머니의 얼굴은 여전히 품위 있는 거룩함을 간직하고 있었다. 나는 두 천사의 숭고한 인생과 우정 앞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최근에는 두 분의 이야기가 책과 영화로도 나오게 됐다. 이들의 삶이 사순절 기간에 작은 위안과 영감으로 남았으면 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97호 2025. 11. 9  2025년 부산교구 평신도의 날 행사에 초대합니다. 추승학 베드로 
2896호 2025. 11. 2  나를 돌아보게 한 눈빛 김경란 안나 
2895호 2025. 10. 26  삶의 전환점에서 소중한 만남 김지수 프리실라 
2893호 2025. 10. 12  우리는 선교사입니다. 정성호 신부 
2892호 2025. 10. 6  생손앓이 박선정 헬레나 
2891호 2025. 10. 5  시련의 터널에서 희망으로! 차재연 마리아 
2890호 2025. 9. 28  사랑은 거저 주는 것입니다. 김동섭 바오로 
2889호 2025. 9. 21  착한 이의 불행, 신앙의 대답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88호 2025. 9. 14  순교자의 십자가 우세민 윤일요한 
2887호 2025. 9. 7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마태 18,20) 권오성 아우구스티노 
2886호 2025. 8. 31  희년과 축성 생활의 해 김길자 베네딕다 수녀 
2885호 2025. 8. 24  사랑에 나이가 있나요? 탁은수 베드로 
2884호 2025. 8. 17  ‘옛날 옛적에’ 박신자 여호수아 수녀 
2883호 2025. 8. 15  허리띠로 전하는 사랑의 증표 박시현 가브리엘라 
2882호 2025. 8. 10  넘어진 자리에서 시작된 기도 조규옥 데레사 
2881호 2025. 8. 3  십자가 조정현 글리체리아 
2880호 2025. 7. 27  나도 그들처럼 그렇게 걸으리라. 도명수 안젤라 
2879호 2025. 7. 20  “농민은 지구를 지키는 파수꾼이자 하느님의 정원사입니다.” 서현진 신부 
2878호 2025. 7. 13  노년기의 은총 윤경일 아오스딩 
2877호 2025. 7. 6  그대들은 내 미래요, 내 희망입니다. 이나영 베네딕다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