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20호 2015.03.22 
글쓴이 장재봉 신부 

부모님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 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장재봉 신부 / 선교사목국장 gajbong@hanmail.net

문득 어느 대학교수는“학생은 있어도 제자는 없다. 물질적 교환가치에 의한 거래만 남았다. 마음으로 오가던 사제의 도탑고 질박한 정은 찾아볼 길이 없게 되었다.”고 한탄하던 글이 떠오릅니다. 형제님의 글이 전해 준 안타까움이 교수의 글에 오버랩 되며 아직은 포기하지 않는 희망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우정을 쌓고 스승의 삶을 배우는 인격수양의 공간으로써의 배움터를 잃었습니다. 친구는 견주어 이겨내야 하는‘적’으로 간주하도록 경쟁을 부추기고 선생님을 학원 강사보다 못한 한심한 직장인으로 추락시킨 결과입니다. 어른으로서 깊이 참회하고 또 반성하게 되는 일입니다. 저 스스로도 모범된 스승의 삶을 살아가겠다는 각오를 다져봅니다. 참된 교육은‘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게 하는 일에서 비롯됩니다. 자신의 귀한 모습을 인식하도록 돕는 일로부터 시작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진정한 교육의 의미이며 교육의 절대적 가치입니다. 이제 더욱 부지런히, 더더욱 간절히 이 땅에서 참교육이 회복되기를 기도하겠습니다. 스승을 진심으로 존경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도록 그런 스승을 통해서 진리와 지식으로 성숙된 제자가 많아지도록 기도하겠습니다. 진심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96 2318호 2015.03.08  개신교와 천주교의 구약성경은 왜 서로 다른 거죠? 염철호 신부  321
195 2319호 2015.03.15  예수님께서 마귀들이 당신을 알아보자 그들의 입을 막으셨다는 성경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저는 이 마귀와 예수님의 행동, 둘 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마귀라면 마땅히 “이 사람은 하느님의 아들이 아니요!”라고 예수님의 존재를 부정해야 맞지 않나요? 그리고 틀린 말도 아닌데 예수님께서는 왜 그들의 입을 막으셨나요? 홍성민 신부  159
» 2320호 2015.03.22  부모님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 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장재봉 신부  86
193 2321호 2015.03.29  권위적인 교회, 권위적인 성직자들이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안타깝지만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습니다.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74
192 2322호 2015.04.05  미사 전에 기도하려고 일찍 성당에 가면 시끄럽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을 보면 마음 속에 화가 치밀어 올라 미사 내내 분심이 듭니다. 식구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등 공중도덕을 지키지 않는 모습을 봐도 화가 납니다. 그런데 주위 사람들은 저의 이런 모습을 갑갑해 합니다. 제가 잘못된 걸까요? 권순호 신부  214
191 2323호 2015.04.12  창조, 홍수 이야기 등을 읽을 때마다 현대인이 보기에 다소 허무맹랑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염철호 신부  83
190 2324호 2015.04.19  알코올에 빠졌다가 회복 중인 사람입니다. 부활 대축일 미사를 봉헌하면서 제 삶도 다시 부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술에 찌든 이 육신을 다시 갖고 싶지 않고, 그때의 기억도 모두 지우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17
189 2325호 2015.04.26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 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 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 주위에서는“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 된 도리일까요? 장재봉 신부  115
188 2326호 2015.05.03  유물론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지만 신앙과 관련해서는 헷갈립니다. 우리 신앙과 유물론은 어떤 관련에 놓여 있는지요? 홍경완 신부  72
187 2327호 2015.05.10  저는 묵주기도나 9일기도 등 다양한 기도를 매일 열심히 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다 보니 기도 지향도 많아지고 기도 시간도 많이 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기도가 부담스럽고 기도에 지친다는 느낌이 듭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권순호 신부  442
186 2328호 2015.05.17  창세 1, 26에서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며“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라고 말씀하시는데, 하느님은 한 분 아니신가요?“우리”는 누구를 말하는 걸까요? 염철호 신부  263
185 2329호 2015.05.24  아이 둘을 키우는데, 남자아이들이라서 그런지 욕을 너무 많이 합니다. 특히 컴퓨터로 게임을 하거나, 자기들끼리 이야기 할 때 욕을 많이 하는데, 마치 감탄사처럼 계속해서 욕을 내뱉습니다. 야단을 치는데도 잘 고쳐지지 않아 걱정입니다. 홍성민 신부  190
184 2330호 2015.05.31  “(…) 당신은 4일 이내에 이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 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장재봉 신부  122
183 2331호 2015.06.07  갈수록 정의보다는 불의가 더 힘을 발휘하는 세상에서 정의의 하느님이 계신다면 왜 가만히 계신 것일까 하는 의심이 점점 더 많이 듭니다. 불의가 하느님께서 계시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은 아닌가요? 불의와 부조리 속에서 신앙을 지킬 힘은 점점 더 약해집니다. 홍경완 신부  122
182 2332호 2015.06.14  요즘에 시대가 변해 결혼을 하려는 사람도 줄고 이혼도 많이 늘었습니다. 결혼 전 동거를 해보는 것이 미리 서로를 잘 알게 하여 결혼을 하더라도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천주교도 시대에 흐름에 맞게 엄격한 결혼관을 버리고 동거 생활을 허용하는 것이 어떨까요? 권순호 신부  135
181 2332호 2015.06.14  창세기 1장 27절의 말씀에서는 하느님께서 우리를 당신 모상으로 창조하셨다고 말하는데, 창세기 2장 7절의 말씀은 사람을 흙의 먼지로 빚어진 존재라고 말합니다. 사람은 처음부터 하느님 모습을 닮은 귀하고 선한 존재인가요? 아니면 흙의 먼지로 만들어진 비천한 존재인가요? 염철호 신부  330
180 2334호 2015.06.28  화를 내면 참아주고, 항상 먼저 양보해주었더니 그것을 사람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가끔은 저도 화가 나는데, 싸우기가 싫어서 그냥 혼자 분을 삭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제 안에서 화가 점점 치밀어 올라 참기가 힘이 든다는 것입니다. 홍성민 신부  50
179 2335호 2015.07.05  저희 본당에서는‘평화 예식’시간에 신부님이 제단 아래로 내려와서 신자들과 악수를 하고, 신자들에게도 권하십니다. 물론 신자들에게 좀 더 친밀감을 느끼고 활기찬 신앙생활을 하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분심이 생깁니다. 장재봉 신부  118
178 2336호 2015.07.12  하느님은 전지전능하셔서 온 누리에 다 계신데, 왜 ‘주님의 기도’에서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홍경완 신부  92
177 2337호 2015.07.19  세상을 보면 테러와 전쟁과 학살, 온갖 비리와 불의가 만연합니다. 나만 올바르게 살면 무엇합니까? 결국 이런 거대한 악의 굴레 속에 나 자신마저 빨려들어 가는 것 같고, 나에게 자유란 정말 없는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13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