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18호 2015.03.08 
글쓴이 염철호 신부 

개신교와 천주교의 구약성경은 왜 서로 다른 거죠?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히브리어 구약성경은 기원전 2∼3세기경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스 로마 시대의 공용어였던 그리스어로 번역되는데, 이것이 70인역 성경(Septuagint)입니다. 70인역이란 말은 70명의 원로가 각기 다른 지역에서 동시에 번역했는데, 모두 똑같았다는 전승에 따른 것입니다. 성경의 히브리말은 당시 유다인들 마저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의 옛말이었기 때문에, 디아스포라의 유다인들은 70인역 성경을 경전으로 주로 읽었습니다. 이는 타르수스 출신 바오로에게서도 잘 발견되는데, 그는 편지를 적을 때 70인역 성경을 인용합니다. 이와 같이 70인역 성경 역시 경전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었기에, 이방인 비율이 높던 그리스도교는 처음부터 70인역을 공식 성경으로 사용했습니다. 물론, 4세기경 다마소 1세 교황이 예로니모를 시켜 히브리어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한 이후(불가타 성경), 가톨릭교회는 히브리어 성경을 성경 번역의 대본으로 삼지만, 여전히 70인역의 중요성을 무시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교가 70인역 성경을 기반으로 출발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70인역에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지 않는 7권의 책이 더 있고(토빗기, 유딧기, 마카베오 상하권,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다니엘서와 에스테르기는 히브리어 성경보다 훨씬 깁니다. 오늘날도 가톨릭교회는 성경을 번역할 때 예로니모 성인이 그랬던 것처럼, 히브리어 성경을 번역하다가, 70인역에만 나오는 단락을 첨가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이와 달리, 개신교회는 히브리어 성경만을 경전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39권의 히브리어 성경만을 번역합니다. 히브리어 성경과 70인역 성경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개신교와 가톨릭교회의 신구약성경이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번역상의 문제이지, 성경 원문 자체가 다르기 때문은 아닙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56 2358호 2015.12.13  마음이 불안해서 견디기가 힘듭니다. 머리로는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마음은 여전히 불안해서 잠도 잘 자지 못하고, 해야 하는 일에도 집중하지 못합니다. 이런 불안함을 어떻게 해야 없앨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277
155 2359호 2015.12.20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쉬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207
154 2361호 2015.12.27  본당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데,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좀 지친 것 같습니다. 활동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203
153 2363호 2016.01.03  하루 중 문득 문득 나쁜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그 생각이 하루를 지배할 때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생각들을 떠오르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18
152 2364호 2016.01.10  성경을 읽다보면 ‘아멘’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339
151 2365호 2016.01.17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128
150 2366호 2016.01.24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맞습니다. 신심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391
149 2367호 2016.01.31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33
148 2368호 2016.02.07  저는 오랫동안 레지오 단장 등 여러 단체의 간부를 맡아 왔습니다. 지금은 본당 사목회 임원으로 활동합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제 자신을 살펴보니 성당 일을 하기엔 정말 형편없는 죄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72
147 2369호 2016.02.14  성경을 읽다 보면‘할렐루야’라는 표현이 종종 나옵니다. 전례 때도 자주 사용되던데, 어느 나라 말이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277
146 2370호 2016.02.21  성찬의 예식에서“스스로 원하신 수난이 다가오자”라는 사제의 기도가 머리에서 계속 맴돕니다.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스스로 원하셨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면서,‘하느님께서는 왜 이들을 도와주지 않으실까?’라는 의문이 들곤 하였는데,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이 그러셨듯이 우리도 고통을 스스로 원해서 겪기를 바라시는 것입니까? 홍성민 신부  250
145 2371호 2016.02.28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586
144 2372호 2016.03.06  가족들끼리 함께 하는 시간이 줄면서 대화도 점점 없어져 하숙집이 되어버렸습니다. 단란한 가족은 환상일 뿐인가요? 홍경완 신부  177
143 2373호 2016.03.13  매월 한 번 봉사 활동을 하러 근처 요양병원에 갑니다. 하지만, 노인들을 위해 봉사할 때 마음속에 우러나오는 사랑의 감정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의 본 모습을 숨기고, 가식적으로 그들을 위하는 척할 수도 없고, 그럴 바엔 봉사를 그만두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419
142 2374호 2016.03.20  약은 집사 이야기(루카 16, 1~8)에서 주인의 재물을 마음대로 탕감해준 집사를 주인이 도리어 칭찬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염철호 신부  224
141 2375호 2016.03.27  삼위일체 교리가 이해하기 너무나 어렵습니다. 머리로 알아듣는 교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믿는 교리라고 배웠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듣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69
140 2376호 2016.04.03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인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장재봉 신부  493
139 2377호 2016.04.10  어떤 이는 마지막까지 모든 것 다 누리다가 하느님 품으로 가고, 어떤 이는 가난과 질병의 고통 속에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하느님의 공평하심을 믿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홍경완 신부  498
138 2378호 2016.04.17  사람들은 점점 종교에 관심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교회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선교를 할 때 SNS이나 인터넷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그것이 좀 더 빠른 시간에 좀 더 효과적으로 좀 더 다각적으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수 있지 않을까요? 청소년들을 성당에 오게 하기 위해 인터넷 게임을 교리에 이용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6
137 2379호 2016.04.24  성경은 언제부터 있었나요? 예수님 시대 때도 있었나요? 염철호 신부  175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