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11호 2015.01.18 
글쓴이 홍경완 신부 

밖으로 보이는 것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옷이나 가방, 신발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남들과 비교를 하고 부러워합니다. 신앙인이라면 이런 것쯤은 무시하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잘 안됩니다.

홍경완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mederico@cup.ac.kr

무시하기 쉽지 않습니다. 나만 뒤처지고 초라해 보이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이게 우리 사회의 솔직한 현실입니다. 이 현실은 지난여름 교황님께서 한국 방문 때 말씀하신‘피상성의 유혹’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피상성이란‘겉으로 드러난 모양이나 성질’을 말하는데, 이것이 우리를 유혹하고 있다고 경고하신 겁니다. 이 유혹은‘무슨 자동차를 타는지, 어떤 가방을 들고 다니는지’처럼 참된 가치와는 전혀 상관없는 것들에 정신을 쏟게 하여 진정한 기쁨을 잃어버리고 살아가게 만드는 유혹입니다. 올해 우리 교구의 사목지침인‘문화 복음화’ 역시 이런 현실에 대한 자각에서 출발합니다. 사목지침은‘물질주의적 문화와 과도한 소비지향 문화, 그리고 외양을 중시하는 문화 등은 근원적인 성찰과 고민이 필요’하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고민하지 않으면 무작정 따라가게 되고, 그러다 보면 모르는 사이에 속은 텅 비어 버리고 맙니다. 삶의 참 기쁨은 그 뿌리가 밖이 아니라 우리 안에 있습니다. 삶의 주인이신 하느님께서 그 안에 머무르시기 때문입니다. 내면을 채우고자 한다면 이런 피상적인 것들은 외면해도 좋습니다. 또 하나, 부러우면 지는 겁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16 2296호 2014.10.19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71
215 2297호 2014.10.26  대학생 아들에게 왜 냉담하냐고 물었더니, 교리를 합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믿어야 할 가치를 못 찾겠다고 합니다. 어떻게 답을 해 주어야 할지 난감합니다. 홍경완 신부  77
214 2298호 2014.11.02  예수님이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신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과학이 실제로 우리 인간의 무병장수의 꿈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 영원한 생명을 인간에 가져다주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32
213 2299호 2014.11.09  술을 먹은 다음 날 아침에 자꾸 짜증이 나고, 후회하는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술자리말고는 의욕이 없고, 기분이 우울합니다. 홍성민 신부  267
212 2300호 2014.11.16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장재봉 신부  118
211 2301호 2014.11.23  그러지 말자고 하면서도 하느님의 존재를 자꾸 의심하게 됩니다. 의심하는 것이 죄라는 생각이 들어 괴롭기까지 합니다. 하느님을 의심하는 것이 정말 죄가 되나요? 홍경완 신부  209
210 2302호 2014.11.30  미사 등 천주교의 전례는 정말 지루하면서 시대에 뒤떨어진 것 같습니다. 천주교 예식에 언제나 반복되는 형식적인 것은 버리고, 좀 더 흥미롭고 재미있고 감동적인 내용을 더 한다면 젊은 세대가 더 많이 천주교에 오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81
209 2303호 2014.12.07  저 자신의 모습이 못나 보여서 우울한 기분이 듭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데, 제 처지랑 비교하다 보니 오히려 배가 아픕니다. 그리고 이런 제 모습이 더 못나 보여서 더 우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49
208 2304호 2014.12.14  타 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 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88
207 2305호 2014.12.21  좀 더 가지고 싶고 채우고 싶은 욕심이 자꾸 생깁니다. 남들과 비교하게 되고, 내가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허전한데, 그게 신앙인의 자세는 아닌 듯싶어 맘이 편치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151
206 2307호 2014.12.28  저는 결혼한 지 10년이 지난 40대의 사람입니다. 결혼 초기엔 부부가 서로 없으면 죽고 못 살 것 같았는데, 살면 살수록 서로 갈등과 미움만 심해지는 듯합니다. 요즘엔 이렇게 고통스럽게 함께 살 바에 차라리 헤어지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권순호 신부  162
205 2309호 2015.01.04  사는 게 너무 바쁜 저에게 신앙은 또 하나의 부담입니다. 안 그래도 바쁘고 힘든 삶인데 성당에 오면 열심히 기도하지 못하는 저 자신에 대해 죄책감이 들고, 성당 안에서 하게 되는 활동들에서도 부담을 느낍니다. 어쩌면 좋을까요? 홍성민 신부  180
204 2310호 2015.01.11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장재봉 신부  135
» 2311호 2015.01.18  밖으로 보이는 것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옷이나 가방, 신발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남들과 비교를 하고 부러워합니다. 신앙인이라면 이런 것쯤은 무시하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잘 안됩니다. 홍경완 신부  76
202 2312호 2015.01.25  성령 묵상회에 갔다 왔는데 성령을 받으면 어떨 땐 악마가 보인다고 하는데 저에게 악마가 보일까 무섭습니다. 그리고 간혹 잘못될 경우, 성령이 내리기는커녕 악마에게 씌기도 한다고 하던데요. 교회에 구마경이라는 것이 있다던데 필요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권순호 신부  202
201 2313호 2015.02.01  성경을 보면 하느님이 누군가를 선택하시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하느님은 왜 누구는 선택하시고, 누구는 선택하지 않으시는가요? 사람을 차별하시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137
200 2314호 2015.02.08  운전하면서 자꾸 욕을 하게 됩니다. 성사도 보고, 여러 번 다짐도 했었는데, 막상 운전대를 잡으면 저도 모르게 욕이 튀어나오고 화를 내며 운전하게 됩니다. 홍성민 신부  119
199 2315호 2015.02.15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218
198 2316호 2015.02.22  십일조와 관련해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교무금과 2차 헌금을 포함한 주일헌금, 불우이웃돕기 성금과 몇몇 단체에 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액을 합하면 수입의 10분의 1 정도 됩니다. 하지만 어떤 이는 교무금만 10분의 1을 바쳐야 한다고 말을 하기에, 제가 십일조를 잘못하고 있지 않은가 하고 생각되어 여쭙니다. 홍경완 신부  153
197 2317호 2015.03.01  성경을 한 번 다 읽어본 예비 신자입니다. 구약성경에는 하느님의 존재가 무시무시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제 기억에는 이민족의 여자와 아이까지 모조리 죽이라고 명령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하느님은 사랑의 하느님이라고 생각하는데 지나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권순호 신부  17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